[include(틀:역대 중프랑크인의 왕)] || '''이름''' ||Clothar II (클로타르 2세, 고대 프랑크어)[br]Ludher II (루드헤르 2세, 고대 고지 [[독일어]])[br]Lotharius II (로타리우스 2세, [[라틴어]])[br]Lotharius II (로타리위스 2세. [[네덜란드어]])[br]Lotario II (로타리오 2세, [[이탈리아어]])[br]Lothar II (로타어 2세, [[독일어]])[br]Lothaire II (로테르 2세, [[프랑스어]]) || || '''생몰년도''' || 830년/835년 ~ 869년 (38세/33세) || || '''재위기간''' || 855년 ~ 869년 || || '''종교''' || [[기독교]] {{{-2 ([[로마 가톨릭]])}}} || 로타르 2세 (Lothair II, 830년/835년 - 869년 8월 8일)은 [[카롤링거 왕조]] 출신 [[로타링기아]]의 국왕으로 [[신성 로마 제국]] 황제 [[로타르 1세]]의 차남이다. 그를 이탈리아의 군주로 보는 경우 로타리오 2세를 로타리오 3세로 보기도 한다. 또한 [[서프랑크 왕국]]의 [[로테르]]는 로테르 3세로 부르기도 한다. 자신의 아들을 낳아준 첩 발트라다와 결혼하기 위해 결혼을 취소하려 함으로써 많은 논란을 일으켰고, 이를 거부한 교황 [[니콜라오 1세]]와 심하게 싸웠다. [[855년]] 아버지 로타르 1세에 의해 프륌 조약을 체결하고 [[로타링기아]]와 [[알사스]], [[벨기에]] 일대를 물려받았다. 로타르 2세는 [[북해]]에서 [[알프스 산맥|알프스]]에 이르는 [[라인 강]] 서쪽지역을 물려받았는데, 이 지역은 '[[로타링기아 왕국]]'(Regnum Lotharingium)로 알려지게 되었다. 그는 아버지 로타르 1세에 의해 토이트베르가와 정략결혼을 하였으나 자녀가 없었다. 로타르 2세는 자신의 아들을 낳아 준 정부 발트다라와 정식 결혼하기 위해 아내 토이트베르가에게 간통 누명을 씌우려 했지만, 교회의 반대로 번번히 무산되었다. 아버지 로타르 1세가 은퇴할 때 미성년자에 간질환자였던 동생 샤를 2세(프로방스의 샤를)에게 상속 포기를 강요하기도 했다. 후에 간질로 고생하던 프로방스의 샤를은 자신이 죽게 될 경우 영토를 로타르 2세에게 남긴다고 하였는데, 맏형 이탈리아인 [[루도비코 2세|루트비히 2세]]가 이에 반발하여 갈등이 벌어지기도 했다. [[860년]] 일부 주교들의 허락을 얻어 토이트베르가와 이혼하고 [[862년]] 발라다와 결혼했지만 교황 니콜라오 1세에 의해 취소, 무효화되었다. [[863년]] 1월 동생인 프로방스의 샤를이 후계자 없이 죽자 형 [[루도비코 2세|루트비히]]와 함께 샤를의 왕국을 분할, 루트비히 2세는 프로방스 지역을, 로타르 2세는 빈과 리옹 부근 지역을 차지했다. 아내 토이트베르가와 이혼하고 정부 발트라다와 결혼하는 것과 이를 위해 자신의 형 이탈리아인 루트비히 2세, 두 삼촌들, [[샤를 2세|샤를 대머리왕]]과 [[루트비히 2세|루트비히 독일왕]]의 영향력을 얻기 위한 노력으로 점철되었다. 결국 이 무리한 시도로 결국 그는 자신의 영지를 지키지 못하게 된다. [[869년]] [[교황청]]을 설득하려 [[로마]]를 다녀오던 중 [[피아첸차]]에서 [[말라리아]] 열병으로 사망했다. 남겨진 발트라다의 아들 위고는 즉각 샤를 대머리왕과 루트비히 독일왕에 의해 불법적인 사생아로 선포되었고, 그의 영토는 870년 [[메르센 조약]]으로 두 명의 삼촌 샤를 대머리왕과 루트비히 독일왕에게 분할되어 넘어가고 말았다. [[분류:카롤루스 가문]][[분류:869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