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스타크래프트 시리즈/건물]] [목차][[파일:SC_FM_robotics_facility.jpg|width=600&align=right]][clearfix] == 개요 == >{{{+1 '''로봇공학 시설'''}}}, ~工學 施設, Robotics Facility, 로보틱스 퍼실리티 >---- >[[프로토스]]는 부대의 수를 늘리고 프로토스 전사의 손실을 막기 위하여 자동화된 [[로봇]] 전사를 많이 이용한다. 로봇공학 시설은 이러한 로봇 장비를 제작하기 위하여 필요하다. 하지만 그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다른 보조 건물을 건설해야 한다. [[스타크래프트]]에 나오는 [[프로토스]]의 [[로봇]] 생산 건물. 이름이 길기 때문에 보통 줄여서 로보틱스(스타1), 로공(스타2)이라고도 한다. 관문과 우주관문에서는 warp, 즉 아이어에서 소환하는 것이지만, 연결체와 이 건물은 Build, 즉 현지에서 직접 생산한다. == [[스타크래프트]] 1 == [include(틀:스타크래프트 1/프로토스)] {{{#!wiki style="float:left" [[파일:SCR_192_Robotics_Facility.png]]}}}{{{#!wiki style="float:left" || 소환 비용 ||<-3> [include(틀:스타크래프트/비용, protoss=, mineral=200, vespene=200, time=80(+5))] || || 요구사항 || [[인공제어소|사이버네틱스 코어]][br][[수정탑|파일론]] 동력 안에 있어야 함 || 단축키 || R || || 생명력 || [[파일:SC_Icon_HP.png|height=16]] 500 [[프로토스 보호막|[[파일:SC_Icon_Shield.png|height=16]]]] 500 || 방어력 || 1 || || 특성 || 지상, 건물 || 크기 || 대형 || || 면적 || 3 × 2 || 시야 || 10 || ||<-4>{{{#!wiki style="margin: -15px -9px" ||{{{#!wiki style="margin: -4px -9px" [[파일:SCR_Icon_310_Plasma_Shields.png|width=80]]}}}||'''프로토스 플라스마 보호막''' [br] Protoss Plasma Shields||}}}||}}}[clearfix] ||{{{#!wiki style="margin: -4px -9px" [[파일:SCR_Icon_069_Shuttle.png|width=80]]}}} ||'''왕복선 생산''' Build Shuttle (S) [br] [include(틀:스타크래프트/비용, protoss=, mineral=200, supply=2, time=60)] ||{{{#!wiki style="margin: -4px -9px" [[파일:SCR_Icon_081_Reaver.png|width=80]]}}} ||'''파괴자 생산''' Build Reaver (V) [br] [include(틀:스타크래프트/비용, protoss=, mineral=200, vespene=100, supply=4, time=70)] || ||{{{#!wiki style="margin: -4px -9px" [[파일:SCR_Icon_084_Observer.png|width=80]]}}} ||'''관측선 생산''' Build Observer (O) [br] [include(틀:스타크래프트/비용, protoss=, mineral=25, vespene=75, supply=1, time=40)] ||{{{#!wiki style="margin: -4px -9px" [[파일:SCR_Icon_286_Set_Rally_Point.png|width=80]]}}} ||'''집결 지점 설정''' Set Rally Point (R) || 프로토스의 로보틱스 테크 유닛인 [[왕복선|셔틀]], [[파괴자(스타크래프트 시리즈)|리버]], [[관측선|옵저버]]를 생산할 수 있는 건물. 건물의 이름과 같이 로봇공학, 즉 셋 다 무생체 유닛이란 특징이 있어,[* 심지어 리버가 만드는 스캐럽도 포함.] 생산되는 3유닛 모두 대사가 전혀없이 기계음 뿐이다.[* 단, [[관측선|옵저버]]는 반복 클릭시 대사가 나온다.] [[관측선|옵저버]], [[커세어 리버]][* 해당 조합은 후속작에서 [[거사조]]로 비슷하게 계승되었다.]를 굴리기 위해서는 반드시 지어야 되는 건물이다. 사실 프로토스가 가진 [[탐지기]] 유닛이 옵저버라 [[게릴라]] 전술을 펼치기 위해서는 셔틀도 굴려야 되므로 지을 수밖에 없는 건물이다. 그 때문에 어느 테크를 선택하건 로봇공학 테크 쪽이 강제되는 경향이 있고, 다른 테크도 올려야 되는 프로토스 입장에서는 이래저래 자원 소모가 막심한 것이 특징. 프로토스를 해 본 사람은 알겠지만 저 가스 200이 참 압박스럽다. 코어 이후의 세 테크 가운데, [[저프전/스타크래프트|저프전]]의 경우에는 스타게이트를 먼저 올려서 [[해적선(스타크래프트 시리즈)|커세어]]를 뽑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테프전/스타크래프트|테프전]]이나 [[프프전/스타크래프트|프프전]]에서는 [[패스트 다크템플러]]의 경우를 제외하면 보통 로보틱스 퍼실리티부터 올리는 것이 일반적이다. 혹은 대테란전에서는 테란에게 빠른 공격, 혹은 정찰이 되지 않는 기습 공격을 위한 [[전진 로보틱스]]나, 이를 변형한 심리전도 사용된다. 대표적으로 이런 변형된 심리전은 로봇공학시설을 전진하여 지어 상대가 발견하면 상대가 대개 견제를 위한 파괴자라고 생각하기 쉽게 한다. 따라서 상대방은 [[미사일 포탑|터렛]]을 많이 지어 방어에 돈을 많이 쓰게 되고 그런 틈을 타서 [[트리플 넥서스]]를 돌리는 수법이다. 아니면 본진 안에 드랍 대비로 마인을 깔고 탱크를 배치하게끔 해서 앞마당 수비를 부실하게 한 후 드라군(+ 셔틀, 질럿)으로 정면으로 뚫거나. [[EVER 스타리그 2009]] 결승전 1경기의 [[단장의 능선(스타크래프트)|신 단장의 능선]]에서 [[진영화]]가 [[이영호]]를 상대로 최초로 써먹은 전략이고[* 이 수법 자체는 통했는데, 이영호가 서플라이로 소위 보급고장성을 쌓아서 회전형 맵인 단장의 능선에서 두 축 중 한 축을 서플라이로 틀어막아버려서 토스가 병력을 돌려서 유격전을 할 수 없게 한 후 토스 부대를 쭉쭉 코너로 몰아가면서 승리했다.(...)], 그 후에 [[빅파일 MSL]]의 하부리그인 [[서바이버 토너먼트]] 6조 3경기 승자전의 [[매치포인트#s-2]]에서 [[장윤철]]이 [[정명훈(프로게이머)|정명훈]]에게 심리적으로 우위를 차지하는 빌드도 바로 이 빌드다. 사실상 [[CJ 엔투스/스타크래프트|CJ 엔투스]] 고유의 빌드라고 봐도 무방한 심리전 전략. 그리고 하나만 짓는 것이 보통이지만 리버를 다수 운용하거나 좀 빠른 타이밍에 리버 두 기를 이용하여 상대 진영을 흔들 생각이 있는 경우 2개를 지어서 굴리는 경우도 있다. 심지어 강민이 [[수비형 프로토스]]로 한창 [[커세어 리버]]를 굴려 먹을 때는 로보틱스 2개 짓는 게 유행 수준이었다. 2010년식 [[커세어 리버]]에는 로공을 두 개 짓는 그런 뻘짓은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 그러나 2020년 이후 테란전에 있어 소위 [[속업셔틀]]이 아비터를 밀어내고 정석 메타로 올라서면서, 이 건물을 두 개 짓는 경우가 상당히 자주 보인다. 특히 [[장윤철]], [[변현제]]의 경기에서. 위에서 말했듯이 로보틱스 하나 지으려는 타이밍에 보통 프로토스는 미네랄이 부족하다는 메시지보다 '''가스가 부족하다고 뜬다'''. 여담이지만, 유닛을 뽑을 때 유닛에 마우스를 대면 다른 프로토스 유닛은 차원 관문 여는 중(Opening Warp Gate)이라 나오지만 이 건물만은 제작 중(Building)이라 뜬다. 프로토스 건물 중에서는 [[연결체|넥서스]]와 더불어 직접 생산하는 2개의 건물 중 하나. 스1의 모든 유닛을 생산하는 건물은 4×3 크기인데[* 테란([[사령부(스타크래프트 시리즈)|커맨드 센터]], [[병영(스타크래프트 시리즈)|배럭스]], [[군수공장(스타크래프트 시리즈)|팩토리]], [[우주공항|스타포트]]), 저그([[부화장|해처리]], [[번식지|레어]], [[군락(스타크래프트 시리즈)|하이브]]), 프로토스([[연결체|넥서스]], [[관문(스타크래프트 시리즈)|게이트웨이]], 로보틱스, [[우주관문|스타게이트]])], 이 건물만 3×2로 작다. 게이트웨이와 마찬가지로 유닛 생산 중에 어떤 모션도 취하지 않기 때문에 상대편 입장에서 이 건물이 유닛을 생산하고 있는지 어떤지는 알 수 없다. 클릭할 시 로보틱스 유닛을 생산하는 것을 반영하듯 기계가 작동하는 소리가 들린다. == [[스타크래프트 2]] == [include(틀:스타크래프트 2/프로토스)] || [[파일:btn-building-protoss-roboticsfacility.png]] [br] 기본 || [[파일:btn-building-protoss-roboticsfacility-forged.png]] [br] 벼려진 자 || [[파일:btn-building-protoss-roboticsfacility-ihanrii.png]] [br] 이한 리 || {{{#!wiki style="text-align:center; max-width:80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width:50%" [[파일:SC2Pic_Pst_robotics_facility.gif]] [br] 기본 상태}}}{{{#!wiki style="display:inline-block; width:50%" [[파일:SC2Pic_Pst_robotics_facility_work.gif]] [br] 소환 중[* 게이트웨이와 마찬가지로 전작과는 달리 유닛 생산 확인이 된다.]}}}}}} ||
<^|1>{{{#!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btn-building-protoss-roboticsfacility.png|width=76]]}}}||{{{+1 '''로봇공학 시설'''}}} ,,Robotics Facility,, 프로토스 로봇 유닛을 소환합니다.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argin:-10px 1px; vertical-align:top" ||
비용 ||<-3> [include(틀:스타크래프트 2/비용,protoss=, mineral=150, vespene=100, time=65 (아주 빠름 기준 46))] ||<|6>{{{#!wiki style="margin:-4px -9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파일:btn-armor-protoss-buildingplating.png|width=76]]{{{#!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margin:0 20px 0 10px" '''프로토스 장갑''' [br] ,,Protoss Building Plating,,}}}}}}}}}|| || 요구 사항 || [[인공제어소]][br][[수정탑]] 동력 안에 있어야 함 || 단축키 || V-R || || 보호막 || 450 || 체력 || 450 || || 보호막 방어력 || 0 (+1) || 방어력 || 1 || || 시야 || 9 || 건물 크기 || 3 x 3 || || 특성 ||<-3> 중장갑 - 구조물 ||}}} ||
<-2> {{{+1 '''기능'''}}} || ||<^|1>{{{#!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btn-unit-protoss-observer.png|width=76]]}}}||'''관측선 소환''' ,,Warp In Observer,, ({{{#fff B}}}) [include(틀:스타크래프트 2/비용, protoss=, m=25, g=75, s=1, t=30 (아주 빠름 기준 21))] 정찰용 비행 유닛입니다. 은폐 능력이 있으며, 탐지 능력이 없는 적에게는 보이지 않습니다. {{{#ffe303 탐지기}}} || ||<^|1>{{{#!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btn-unit-protoss-warpprism.png|width=76]]}}}||'''차원 분광기 소환''' ,,Warp In Warp Prism,, ({{{#fff A}}}) [include(틀:스타크래프트 2/비용,protoss=, mineral=250, supply=2, time=50 (아주 빠름 기준 36))] 비행 수송기입니다. 떨어져 있는 유닛을 들일 수 있으며 동력장을 생성하도록 배치할 수 있습니다. || ||<^|1>{{{#!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btn-unit-protoss-immortal.png|width=76]]}}}||'''불멸자 소환''' ,,Warp In Immortal,, ({{{#fff I}}}) [include(틀:스타크래프트 2/비용, protoss=, m=275, g=100, s=4, t=55 (아주 빠름 기준 39))] 돌격형 4족 보행 유닛입니다. 방어막을 사용해 피해를 흡수할 수 있습니다. {{{#ffff8a 지상 유닛 공격 가능}}} || ||<^|1>{{{#!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btn-unit-protoss-colossus.png|width=76]]}}}||'''거신 소환''' ,,Warp In Colossus,, ({{{#fff C}}}) ''''''[include(틀:스타크래프트 2/비용, protoss=, m=300, g=200, s=6, time=75 (아주 빠름 기준 54))] / 요구 사항: 로봇공학 지원소 강력한 범위 공격 능력을 갖춘 4족 보행 전투 기계입니다. 언덕을 오르내릴 수 있습니다. 대공 공격을 받을 수 있습니다. {{{#ffff8a 지상 유닛 공격 가능}}} || ||<^|1>{{{#!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btn-unit-protoss-disruptor.png|width=76]]}}}||'''분열기 소환''' ,,Warp In Disruptor,, ({{{#fff D}}}) ''''''[include(틀:스타크래프트 2/비용, protoss=, m=150, g=150, s=4, time=50 (아주 빠름 기준 36))] / 요구 사항: 로봇공학 지원소 로봇 분열 유닛입니다. 정화 폭발을 사용하여 큰 범위 피해를 줄 수 있습니다. || {{{#!folding  [ 패치 내역   펼치기 · 접기 ] * 자유의 날개 * 베타 0.8.0: 관측선 생산 비용 25/75 → 50/100, 생산 시간 33 → 40 * 베타 0.11.0: 불멸자 생산 시간 40 → 50 * 1.2.0: 관측선 생산 비용 50/100 → 25/75 * 1.4.3 BU: 관측선 생산 시간 40 → 30 * 공허의 유산 * 베타 2.5.2: 여러 건물 선택시 유닛 창에 표시되는 순서 조정 관문 (관문 > 차원 관문) > 로봇공학 시설 > 우주 관문 * 베타 2.5.3 BU: 분열기 생산 비용 가격 100/200로 감소 * 베타 2.5.5 BU #2: 분열기 생산 비용 100/200 → 150/150 * 4.8.2: 건설 비용 200/100 → 150/100, 불멸자 생산 비용 250/100 → 275/100 * 4.10.1 BU: 차원 분광기 생산 비용 200 → 250 * 5.0.12[* 커뮤니티 의회 의견: 테란과의 경기 중후반부에 대규모 분광기 부대의 위력을 감소시키되, 경기 초반 압박 빌드를 사용하거나 적 공격을 방어할 때 분광기 생산이 너무 어렵지 않도록 조정했습니다.]: 분열기 보급품 3 → 4 }}} ---- [[스타크래프트 2]]에서도 등장하는데 디자인의 변경이 상당히 크다.[* 사실 전반적인 틀은 전작에서 따오긴 했다. 다만 전작 중앙부에 달린 팔이 없어지고 건물 형태 또한 둥글어졌으며 중앙 그물망 부분이 사이오닉 매트릭스와 비슷한 모습으로 교체되어 제법 모습이 많이 달라졌다.] 성능상으로도 많이 변화가 되었는데 건설 시간이 15초 감소하고 광물이 50, 가스가 '''100 감소하여''' 테란의 군수공장과 비용이 같아졌다.[* 전술했듯 스타1에서 로보틱스를 처음 올릴 타이밍에는 십중팔구 가스 부족 메세지가 떴던 점을 생각해보면 엄청난 버프다. 대신 로봇공학 지원소의 자원 요구량이 200/200으로 늘면서 스타1과 정반대의 상황이 되긴 했다.] 다만 보호막과 체력이 각각 50씩 감소하여 내구력이 전반적으로 떨어졌다. 전작과 달리 [[관측선]]이 별도의 건물을 필요로 하지 않고 나오고, 전투 유닛이 [[파괴자(스타크래프트 시리즈)|하나]]밖에 없던 전작과는 달리 [[불멸자(스타크래프트 2)|불멸자]], [[분열기]], [[거신(스타크래프트 2)|거신]]으로 셋이나 되어 이 셋을 주축으로 한 조합인 '로공토스'라는 용어가 새로 만들어졌다. 중장갑 유닛의 천적인 불멸자와 지상 최강의 유닛 거신이 로봇공학 시설에서 나오기 때문에 전작에 비해서 중요도가 매우 높아졌다. 지상전으로 한정할 경우 로봇공학 유닛만 있으면 사실상 대적할 적이 없다. 하지만 '''공중 유닛'''이 나오면 지대지 유닛들만 나오는 로봇공학 시설만으로는 [[버틸 수가 없다!|버틸 수가 없다]]. 지상 힘 싸움에 매우 중요한 [[불멸자(스타크래프트 2)|불멸자]]와 [[거신(스타크래프트 2)|거신]]이 나오는 만큼 1개만 짓던 전작과는 달리 2개나 3개까지도 짓는다. 초중반을 제외하면 부담없이 지을 수 있다.[* [[저프전/스타크래프트 2|저그전]] 후반은 제외. 저그가 [[무감타]] 체제를 완성하면 [[관측선]]이나 [[공생충(스타크래프트 시리즈)|공생충]]을 제거할 거신 소수와 견제할 [[차원 분광기]] 몇 기 말고는 만들 일이 적기 때문에 한두 개만 돌리는 게 좋다.] 다만 '''나오는 유닛이 자원을 무지막지하게 소모'''하므로 그 이상 늘리는 건 의미가 없다.[* 프로토스는 로봇공학 시설 말고도 [[차원 관문]]도 돌려야 한다.] 후반부 관문 병력의 의미 없는 상황에서 간혹 지상전을 위해 3개까지 짓기도 한다. 전술했지만 로공 테크는 전작과 마찬가지로 '''대공 수단이 전무'''하다. 불멸자, 분열기, 거신 모두 대공능력이 없으며 불멸자의 강화 보호막도 공대지 유닛인 [[밴시(스타크래프트 2)|밴시]], [[뮤탈리스크]], [[전투순양함]], [[무리 군주]], [[공허 포격기]]뿐만 아니라 [[우주모함]]과 비전투 유닛인 [[모선(스타크래프트 2)|모선]]에게까지 '''효과를 거의 못 보다시피'''한데다 거신은 '''아예 공중 공격을 맞는 유닛이다.'''[* 캠페인을 포함하더라도 대공이 가능한 로공 유닛은 일일이 지정해줘야 하는 [[말살자]]의 그림자 포와 선딜이 매우 긴 [[분노수호자]]밖에 없다. 차원 분광기와 관측선은 원래 공격기능이 없으므로 논외. 다만 협동전에서는 알라라크의 전쟁 분광기가 대공이 가능하고, 로봇공학 시설의 바리에이션인 피조물 시설에서 나오는 불멸자의 바리에이션인 젤나가 집행자도 대공이 가능하다.] 즉 상대방이 공중 유닛을 보유하고 있다면, 점멸 [[추적자(스타크래프트 2)|추적자]]나 [[우주관문]]의 지원이 필수. 아무튼 지상 전투 능력은 막강해서 [[기사단 기록보관소|기사단 테크]]까지 갔다면 지상에선 어떠한 종족도 정면 대결에서 이길 수 없다.[* 저그가 [[무감타]] 테크로 간 이유이자 [[테프전/스타크래프트 2|테란전]]에서 [[마의 25분]]이 나온 원인이다. 실제로 마의 25분에 대항하는 수단으로 가장 적합하다고 평가받는 게 전투순양함을 주력으로 생산하는 [[스카이 테란]]이었으나 군심에선 그 놈의 [[폭풍함]] 때문에 사실상 사장.] 팀플레이의 경우 제공권을 동맹에게 맡기고 로공 유닛으로만 200을 채우면 혼자서 1.5~2인분의 병력을 잡아먹는다. '''공성 전차 라인을 포함해서.''' 공허의 유산에서는 [[분열기]]가 로봇공학 시설의 신규 유닛으로 추가되었다. 거신의 피해량이 15x2에서 12x2로 깎였고[* 베타 당시에는 업글 시 사거리가 9에서 8로 감소한 너프까지 받았다가 이후 롤백되기도 했다.], 업그레이드시 공격력 증가폭도 군심에 비해 줄어들었다. 불멸자는 강화 보호막이 사라지고, 대신 100의 피해를 흡수하는 특수 보호막을 달게 되었다. 분광기는 유닛들을 원거리에서도 태울 수 있게 상향을 받았다. 협동전에선 카락스와 제라툴이 특히 애용하는 건물. 카락스는 관측선을 많이 쓰는데다 지상 주력이 로공 유닛이고, 제라툴도 로공 유닛 비중이 높다. 그 외 아르타니스나 피닉스도 탐지기인 관측선은 뽑아야 하기에 웬만하면 짓는다. [[파일:btn-building-protoss-roboticswarpfacility.png]] 파생형으로 공허의 유산 캠페인이나 [[아르타니스/협동전 임무|협동전 아르타니스]]에서는 가운데에 검은 공이 들어가 있는 형태의 차원 로봇공학 시설이 존재한다. '차원'이라는 말이 붙어 있듯 '''[[차원 관문]]의 로봇공학 시설 버전'''이다. 성능상으로는 아무래도 상관없지만, 전작이랑은 달리 생산 유닛 중 [[불멸자(스타크래프트 2)|순수 로봇이 아닌 유닛]]이 존재한다. 사실 원래 불멸자가 관문 테크 유닛이였다가 밸런스 조정 이유로 넘어오게 되었기 때문이다.[* 정반대로 순수 로봇인 [[파수기]]는 관문 테크로 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