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1 로버트 프랭크}}}'''[br]Robert Frank}}}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issue18_Breukel_Koos_09-785x1024.jpg|width=100%]]}}}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스위스, 크기=22)]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2> '''출생''' ||[[1924년]] [[11월 9일]] || ||[[취리히]] || ||<|2> '''사망''' ||[[2019년]] [[9월 9일]] (항년 95세) || ||[include(틀:국기, 국명=캐나다)] [[인버네스]] || || '''직업''' ||[[사진가]] || || '''가족''' ||아버지 헤르만 프랭크, 어머니 로사 프랑크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사진가. '''현대사진의 아버지'''라 불리고 있다. == 특징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obertFrank The Americans.jpg|width=100%]]}}} || ||<#ddd> '''<미국인들, The Americans>, 1958년''' || 대표작인 〈미국인들, The Americans>에서는 대개의 [[사진]]처럼 [[주제]]를 결정하고 주제에 맞는 특징적인 대상을 찾아 사진을 찍은 것이 아니라 지극히 일상적인 생활에 시선을 두고서 [[미국인]]의 실상을 아주 근접하게 표현하고 있다. [[20세기]] 후반기의 현대사진은 그를 접어두고는 언급할 수 없을 만큼 사진사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다. 현대사진은 프랭크를 중심으로 그 이전과 이후로 크게 시대적 구분이 되기도 한다. == 상세 == 1924년 스위스 취리히에서 태어났고 18세에 사진을 시작한다. 상업사진가의 조수로 들어갔고, 영화사의 스틸사진을 찍기도 했다. 본격적인 활동을 위해 [[파리(프랑스)|파리]]로 갔다가 새로운 발돋움을 위해 [[1947년]] 미국으로 이주한다. [[뉴욕]]으로 온 그는 [[프리랜서]]로 활동했으며, 때때로 『[[뉴욕 타임즈]]』지의 [[광고]] 사진도 찍었다. [[1953년]]에는 와 [[뉴욕현대미술관]]이 기획한 「전후 유럽 사진가전」을 준비하기 위해 에드워드 스타이켄과 함께 [[유럽]]으로 건너가 사진 작품을 수집하는 데 한몫을 거들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rank2.jpg|width=100%]]}}} || [[1955년]]에는 [[구겐하임]] [[재단]]의 기금을 받아 [[1956년]]까지 1년 남짓 전 미국을 두루 다니며 사진을 찍었다. [[1958년]] 프랭크는 이것을 『아메리카인들, The Americans』이라는 이름의 사진집으로 묶어서 세상에 펴냈다. 그런데 의외의 결과가 벌어졌다. [[앙리 카르티에 브레송]]은 이 사진집을 보고 "[[폭탄]]이 터진 것 같은 [[충격]]"이라고 했고 워커 에반스는 1958년도 『유에스 사진연감』에서 최대의 찬사를 아끼지 않았으며 [[영국]]의 빌 브란트도 이를 높이 평가하고 나섰다. 한 시대를 변혁하는 역사적인 업적에는 으레 찬성과 반대의 의견대립이 따르기 마련이듯이, 한편에서는 그의 사진집이 미국 사람에 대한 일종의 극단적인 [[왜곡]]이며 [[편견]]이라는 의견도 분분하였다. 사진집 『아메리카인들』은 사진 표현형식이나 내용에 있어서 그 전시대와는 뚜렷하게 구별되는 것이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rank_Robert_The_Americans_5.png|width=100%]]}}} || 프랭크는 이 사진집을 낸 1958년부터는 [[영화]]에 [[관심]]이 쏠려 사진에서 멀어졌다가 [[1970년대]]에 다시 사진계로 되돌아왔다. [[1972년]] 이제까지의 사진,가 생활을 통틀어 마무리 짓는 의미에서 자서전적인 사진집 『나의 손금, The Lines of My Hand』를 냈고, [[1976년]] 다시 사진을 추리고 보충해서 사진집 『로버트 프랭크, Robert Frank』를 출판했다. 그러나 사진계로 돌아와 그가 보여준 일련의 일들은 지나온 [[과거]]의 업적을 마무리하는 데 그 의미가 있을 뿐, 그 이후의 다른 진전은 별로 보이지 않았다. 결국 프랭크의 사진세계는 사진집 『아메리카인들』에 전체적인 핵심이 집약되는 것이다. 이 사진집은 파리의 로베르 데르피르 [[서점]]에서 먼저 출판을 했고, 이듬해 미국에서 영어판으로 발행되었다. 책은 보통 크기보다 조금 작고, 편집은 한쪽에 사진을 넣고 맞은편에는 글을 실어서 사진과 함께 보고 읽도록 하였다. 글은 주로 알랭 보스케가 책임을 맡아 시몬느 드 보브와르, 어스킨 콜드철, 에이브링컨, 앙드레 모로아, 존 스타인벡, 헨리 밀러의 글을 발췌했을 뿐만 아니라, 이제까지의 미국 및 미국인에 관한 글이나 여러 가지 설문조사 및 통계까지 폭넓게 실음으로써, 영상언어와 문자언어가 함께 동원된 미국인론(美國人論)으로 편집하였다. 이러한 편집의도에 비추어 사진의 경향은 자연히 [[에세이]] 성격을 띤 종합적인 [[다큐멘터리]] 사진임을 짐작하게 된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989_226.jpg|width=100%]]}}} || 프랭크의 사진집 『아메리카인들』은 현대사진의 고전이며, 사진사의 새로운 분수령이라는 역사적인 평가가 내려진 기념비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이 사진집을 통해서 나타난 그의 사진세계는, 주체로서의 사진가 자신의 의식과 대상을 바라보는 인식행위가 재래적인 기록의 수법과는 전혀 다른 것이었다. 이러한 탈바꿈은 그 자신의 독특한 [[개성]]의 차원을 넘어서 새로운 시대의식의 사진적인 자각현상인 것이다. 그의 사진세계가 이룬 변신이 한 시대를 대표하게 된 근본적인 요인은 무엇보다도 대표적인 의식의 변혁에서 말미암은 것이다. 그리고 그의 의식구조는 전통적인 [[합리주의]]의 궤도를 벗어난 자의식의 [[갈등]]과 괴리의 [[그림자]]가 짙게 깔린 복합적인 것이다. 이는 [[르네상스]] 시대 이래로 지속되어 온 사고방식 즉 자아를 원점으로 논리적 체계 안에서 세계를 내다보는 합리주의의 절대적인 신앙이 [[20세기]]에 들어와 허물어지는 곳에서부터 시작되었다. 즉 대상을 인식하는데 있어서 [[원근법]]의 고정된 시점의 [[붕괴]]를 의미하는 것이다. 그의 사진에 깔린 의식구조는 자아를 기점으로 하는 원근법적인 인식의 논리를 벗어난 복합적인 성질을 드러내 보인다. 자아와 대상과의 대응관계가 논리적인 인과법칙으로 명쾌하게 보편적인 개념을 추출해 낼 수 없는 복합적이고 심층적인 것이 되는 것이다. == 기타 == * [[롤링 스톤즈]]의 [[Exile on Main St.]] 앨범 커버 사진을 찍기도 했다. 직후 투어 다큐멘터리도 만들었는데, 문제는 멤버들과 소송전으로 번졌고 덕분에 공개되지 못했다. [[분류:스위스의 인물]][[분류:미국의 사진가]][[분류:1924년 출생]][[분류:2019년 사망]][[분류:노바스코샤주 출신 인물]][[분류:복수국적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