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eamwr-3_e7a321.png|width=100%]]}}} || ||<-3> '''{{{#000000 팀 WRT No.41}}}''' || ||<-3> '''{{{#000 '''로베르트''' 유제프 '''쿠비차'''[* /rɔbɛrt kuˈbit͡sa/] [br] ('''Robert''' Józef '''Kubica''')}}}''' || ||<-2> '''{{{#ffffff 생년월일}}}''' ||[[1984년]] [[12월 7일]] ([age(1984-12-07)]세) || ||<-2> '''{{{#ffffff 국적}}}''' ||[[파일:폴란드 국기.svg|width=25]] '''[[폴란드]]''' || ||<-2> '''{{{#ffffff 출신지}}}''' ||[[마워폴스카]] 주 [[크라쿠프]] || ||<|3> '''{{{#ffffff 소속 팀}}}''' || {{{#e32211 F1}}} ||[[BMW 자우버 F1 팀]] (2006~2009) [br] [[르노 스포트 F1 팀]] (2010) [br] [[윌리엄스 마티니 레이싱]] (2018 / ^^리저브 드라이버^^) [br] 로킷 윌리엄스 레이싱 (2019) [br] [[알파 로메오 레이싱 올렌]] (2020~2021 / ^^리저브 드라이버^^) [br] [[알파 로메오 F1 팀 올렌]] (2022 / ^^리저브 드라이버^^) || || {{{#e32211 WRC}}} ||개인 참가 (2013) [br] RK M-스포트 월드 랠리 팀 (2014) [br] 개인 참가 (2015) [br] BRC 레이싱 팀 (2016) || || {{{#e32211 LMP2}}} ||[[팀 WRT]] (2021, ELMS) [br] 하이클래스 레이싱 (2021, IMSA 스포츠카 챔피언십) [br] 프레마 올렌 레이싱(2022, WEC) [br] [[팀 WRT]] (2023, WEC) || ||<-3> '''{{{#000 F1 커리어}}}''' || ||<-2> '''{{{#ffffff 출전 횟수}}}''' ||97경기 || ||<-2> '''{{{#ffffff 월드 챔피언}}}''' ||0회 || ||<-2> '''{{{#ffffff 그랑프리 우승}}}''' ||1회 || ||<-2> '''{{{#ffffff 포디움}}}''' ||12회 || ||<-2> '''{{{#ffffff 폴 포지션}}}''' ||1회 || ||<-2> '''{{{#ffffff 패스티스트 랩}}}''' ||1회 || ||<-2> '''{{{#ffffff 첫번째 경기}}}''' ||[[포뮬러 1/2006시즌|2006년]] [[헝가로링|헝가리 그랑프리]] || ||<-2> '''{{{#ffffff 첫번째 우승}}}''' ||<|2>[[포뮬러 1/2008시즌|2008년]] [[질 빌르너브 서킷|캐나다 그랑프리]] || ||<-2> '''{{{#ffffff 마지막 우승}}}''' || ||<-2> '''{{{#ffffff 마지막 경기}}}''' ||[[포뮬러 1/2021시즌|2021년]] [[국립 몬차 자동차 경주장|이탈리아 그랑프리]] || ||[[파일:5CFEF2D6-EFFE-44C4-9E84-D318150797E1.jpg|width=300]]|| || 쿠비차의 로고 || [목차] [clearfix] == 개요 == [[폴란드]] 출신의 [[F1]], [[WRC]] 드라이버. 1984년 12월 7일생. 롤러코스터와 같은 F1 경력을 가진 선수이다. --[[김광규(배우)|김광규]] 선생님?-- == 선수 경력 == === [[BMW 자우버 F1 팀]] === || [[파일:Robert Kubica 2008.jpg|height=420]] || [[파일:Robert Kubica 2008 Sauber.jpg|width=100%]] || ==== 2006 시즌 ==== 2006년 8월 자크 빌르너브를 대신해 자우버 소속으로 [[헝가리]] 그랑프리에서 최초의 폴란드 F1 드라이버로 데뷔. 단 세번째 경기만인 [[이탈리아]] 그랑프리에서 3위로 [[포디엄]]에 오르면서 주목을 받게 된다. ==== 2007 시즌 ==== 2년차인 2007년에는 [[닉 하이트펠트]]와 호흡을 맞춰 [[BMW]]로 인수된 자우버가 컨스트럭터 2위로 도약하는데 크게 도움을 줬다. 단, 본인은 39포인트로 팀메이트에 비해 다소 부진했는데[* 하이트펠트는 61포인트를 획득.] 이는 [[캐나다]] 그랑프리에서 대형 사고로 부상을 입었기 때문.[* 차가 박살나서 쿠비차의 발이 밖에서 보일 정도였다.] 이 때문에 다음 경기인 [[미국]] 그랑프리에서는 결장해야 했는데, 이는 前 F1 1인자인 [[제바스티안 페텔]]이 F1에 데뷔하는 계기가 된다.[* 당시 BMW-자우버의 리저브 드라이버였다.] ==== 2008 시즌 ==== 그럼에도 불구하고 2008년에는 자신이 작년에 중상을 입었던 [[캐나다]] 그랑프리에서 데뷔 첫 승리를 했고 7 포디움으로 75포인트를 기록했다. 시즌 드라이버 순위는 4위로 당당히 BMW 자우버의 1인자로 떠올랐다. 이렇게 승승장구하는 듯 했으나.... ==== 2009 시즌 ==== 2009년에는 BMW 자우버가 급추락하면서 쿠비차의 성적도 저점을 찍었다. 17포인트로 이전시즌 4위에서 무려 14위로 10위나 떨어지면서 한 시즌만에 급추락하였다. === [[르노 F1 팀]] === || [[파일:Robert Kubica 2010.jpg|height=420]] || [[파일:Robert Kubica 2010 Renault.jpg|width=100%]] || ==== 2010 시즌 ==== 2009년 후 BMW까지 자우버에서 손을 떼면서 쿠비차도 팀을 떠나기로 결심하게 되었고, [[크래쉬 게이트]] 이후 팀 재건에 여념이 없던 [[르노]]가 그의 새 둥지가 되었다. 빗길이라는 난전을 찍었던 호주 그랑프리에서 당당하게 2위로 포디엄에 입성하면서 기량이 건재함을 보였고, 모나코 그랑프리에서는 퀄리파잉에서 무려 2등, 본 경기에서 3등으로 포디엄에 올랐으며, 벨기에 그랑프리에서도 포디엄에 오른다. 이적 첫해 136포인트로 8위를 기록하면서 르노의 에이스로 자리잡았다. [* 현재 르노의 마직막 패스티스트랩을 기록한 선수이다.] 팀도 지니 캐피탈이라는 새 주인을 찾았고 이제 위로 치고 올라갈 일만 남았는가 했는데... === 사고와 시즌 아웃 === ==== 2011년 ==== 다시 한번 부상이 그를 덮쳤다. 2011년 2월 6일 이탈리아 제노바 인근에서 열린 랠리에 참가 도중 가드레일을 들이받는 사고로 인해 손, 오른팔, 다리 등에 골절상을 입고 후송된 것. 운전석 쪽으로 충돌해서 쿠비차 자신의 오른쪽 발 뒤꿈치부터 어깨까지 모든 뼈가 부러졌었다고 한다. 7시간 동안의 수술을 통해 팔을 다시 봉합했고 이후로도 17번이나 추가적으로 수술을 하였다. 다행히 수술이 성공적으로 끝났지만 부상이 매우 심해서 팔뚝의 일부분을 절단해야 했고, 회복에 장시간이 소요된다는 진단에 따라 결국 그는 시즌 아웃 처리되고 말았다. 대체 드라이버로는 자신의 옛 동료였던 [[닉 하이트펠트]]가 들어왔다.[* 여담이지만 쿠비차는 평소에도 비시즌 기간에 랠리를 즐겼는데, 팀에서는 이를 두고 부상을 염려하여 참가를 자제할 것을 요구해왔다. 결국 팀의 요구를 무시한 것이 크나큰 화를 부른 셈. 이게 당시 어느 정도 사고였나면 가드레일이 캐빈룸으로 들어왔다. 다행히도 코드라이버였던 Jakub Gerber는 멀쩡했고 무사히 나와서 사고에 대한 인터뷰까지 했다. 하지만 가드레일이 제대로 연결되어 있지 않아서 운전석 쪽을 파고든 굉장히 위험한 상황이었다. 약간만 더 운전석 쪽으로 박았으면 그 자리에서 사망했을 정도. 그리고 이 사고를 일반인이 당했다면 사망했을 가능성이 높았다고 한다. F1 드라이버의 체력이 워낙 뛰어나다 보니 이러한 큰 부상에도 견딜 수 있어 다행이라고. 특히 쿠비차의 오른팔은 거의 절단에 가까운 부상을 당했으며, 재활로 어느 정도 극복하긴 했지만 2019년까지도 제한적인 기능만을 수행하고 있다.] 이 사건 때문에 드라이빙 도중 힘이 부친다는 얘기가 나오기도 했으며, 쿠비차가 차기 시트 확보를 하지 못할것이라는 애기가 돌기도 하였다. ==== 2012년 ==== 이번 시즌 복귀를 목표로 순조롭게 재활중이었으나 2012시즌 로터스의 시트를 두고 경쟁자가 많아[* [[로맹 그로장]], [[브루노 세나]], [[비탈리 페트로프]] 등등] 과연 무사히 르노의 시트로 돌아올 수 있을지는 조금 더 두고 봐야 할듯. 결국 2012 시즌 로터스의 시트가 [[키미 라이코넨]]과 [[로맹 그로장]]으로 확정되면서 이번 시즌에 F1으로 복귀하지 못했다. [[페라리]]가 2012시즌을 끝으로 계약이 만료되는 [[펠리페 마싸]]의 대안으로 눈독들이고 있다는 루머가 있었지만 이 역시 루머로 끝이 나버렸다. === [[WRC]]와 2013 시즌 === 2013년 페라리 시트의 주인도 알론소와 마싸로 최종 결정. [[포스 인디아]]의 시트도 1년 쉬었던 [[아드리안 수틸]]을 복귀시켰고, 쿠비차는 랠리를 뛰다가 또 사고를 냈다고 한다. 사실 그전부터 몸 상태가 좋지 않아 F1 복귀에 부정적이라는 뉴스도 있긴 했지만 그나마 실낱같은 희망을 가지고 있던 팬들의 억장은 무너져 내렸다. F1 대신 랠리쪽으로 관심을 돌리는듯 하다. 2013-14 시즌엔 유로피안 랠리와 WRC에 꾸준히 나오는 중이다. ==== 2014 시즌 ==== 결국 2014시즌은 F1이 아닌 WRC에 모습을 드러냈다. WRC2에서 속성으로 챔피언을 해먹더니 WRC에 가볍게 승격했다. 하지만 워크스 팀 소속이 아닌 개인팀으로 풀시즌 출전을 했으나 피에스타의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퍼포먼스와 개인팀이면 어쩔 수 없는 자금 조달 부족 엔지니어의 부족등으로 몇 시즌 내내 이렇다 할 성적은 보여주지 못했다. (이따금씩 가공할 만한 기록으로 스테이지 우승을 했지만 그게 랠리 우승으로 이어지진 못했다.) ==== 2015 시즌 ==== 결국 올해부터 WRC 출전이 슬슬 뜸해지더니 참가 포기 선언을 해버렸다. 랠리쪽으로는 이제 슬슬 관심을 접는것 같다. ==== 2016 시즌 ==== 2016년엔 온로드 레이싱으로 복귀했다! 르노 RS 컵과 같은 GT 레이싱에 주로 출전하며 올해를 보냈다. 그리고 2017년 드디어 WEC 바이콜레스 팀에 워크스 드라이버로 풀 시즌 출전이 확정되었다. === 2017년 === '''2017년 실로 오랜만에 르노 F1팀에서 공식 테스트를 받았다.''' 헝가로링 인시즌 테스트에 참가했으며 ''' 랩타임은 매우 고무적이었다고.''' 르노는 한 때 쿠비차의 복귀를 고민했으나 결국 [[카를로스 사인츠 주니어]]를 선택하였다. 랩타임은 괜찮았으나 레이스 모드에서 다쳤던 팔 덕분에 조금 무리가 있다고 판단한 모양. 현재는 F1 시트를 알아보고 있는 중인 듯 하다. 다만 안타깝게도 다친 팔 때문에 [[바이콜레스 레이싱]]에서의 WEC 풀시즌 참전은 무산되었다. === [[윌리엄스 레이싱]] === || [[파일:Robert Kubica 2019.jpg|height=410]] || [[파일:Robert Kubica 2019 Williams.jpg|width=100%]] || ==== 2018 시즌 ==== 2018시즌 윌리엄스의 리저브 드라이버로 영입되었다. 머니싸움에서 [[세르게이 시로트킨]]에게 밀려 결국 리저브 드라이버로 영입된 듯 하다. 이후 [[랜스 스트롤]]이 아버지가 인수한 포스 인디아에 중도 영입되는 것이 기정 사실화되며 그의 복귀 여부에도 주목이 쏠리고 있다. 하지만 윌리엄스의 두 시트 중 하나가 메르세데스의 주니어 드라이버인 [[조지 러셀]]에게 넘어간 덕분에, 포스 인디아에서 쫓겨나는 게 기정사실화된 [[에스테반 오콘]]과의 시트 경쟁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오콘의 경우 아직 경력이 짧고, 러셀 또한 신인이기 때문에 쿠비차에게 유리한 상황. 팀에 한 명은 베테랑 드라이버가 있어야 차가 완성되므로 큰 문제가 없지만 오콘은 아직 그 정도 경력은 아니다. 오콘 또한 한 시즌을 결장해야 하지만 자신의 F1 경력이 끝나는 것은 아니라는 인터뷰를 하기도 했다. '''결국 2019 시즌에 [[https://www.formula1.com/en/latest/article.kubica-to-make-fairy-tale-f1-racing-return-with-williams-in-2019.6zTE6l2mVGA6OiG60MoY2W.html|윌리엄스의 정식 드라이버가 되는 것이 확정되었다.]]''' 2010 시즌 이후 9년만에 F1에 복귀하게 된 것. ==== F1 복귀, 그리고 2019 시즌 ==== 쿠비차의 복귀 후 첫 시즌이 되는 2019년은 번호를 [[리오 하리안토]]가 사용하던 88번으로 선택했다. 처음에는 [[로맹 그로장]]의 8번을 선택하려 했으나 이미 사용중이었고 이탈리아인들이 같은 번호 2개를 쓰면 행운이 될거라는 관습을 따라 88번을 골랐다고 밝혔다. 개막전 호주 GP부터 사고에 휘말려 사이드미러와 프론트 윙에 손상을 입어 피트인했고, 결국 3바퀴나 쳐지며 꼴찌로 들어왔다.[* 윌리엄스의 차량 성능을 생각하면 앞으로의 경기도 힘들어보인다. 이는 팀메이트인 [[조지 러셀]]도 마찬가지.] 이후 바레인 GP, 중국 GP, 아제르바이잔 GP에서도 최하위만을 담당하고 있다. 인간승리의 표본이자 노장의 복귀임에도 본인의 한계에 너무나도 성능이 뒤떨어지는 윌리엄스의 차라는 악재가 겹치는 안타까운 상황. 다행히 독일 GP의 혼돈의 레이스에서 10위를 기록하며 귀중한 1포인트를 선물했다. 다만 이 이후로 시즌 내내 포인트 추가 획득은 없었다. 러셀은 단 1포인트도 얻지 못하면서 윌리엄스의 2019시즌 유일한 포인트가 되었다. 이후에도 최하위권에 계속 머무르는 중. 시즌 최종전인 아부다비 GP에서는 19위로 경기를 마쳤다. 많은 기대를 받았으나 퀄리파잉에서는 러셀을 한번도 이기지 못했고 레이스에서도 인상깊은 모습을 보여주지 못했다. === [[알파 로메오 레이싱]] === [[파일:Robert Kubica Alfa Romeo 2020.jpg|width=600]] ==== 2020 시즌 ==== 많은 기대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여러 문제로 인해 좋은 성적을 거두지 못했고, 결국 [[https://www.formula1.com/en/latest/article.kubica-and-williams-to-part-company-at-the-end-of-2019.sP5AC5N65CUhxOkZ4BDcQ.html|2020 시즌 윌리엄스 시트 확보에는 실패했다.]] 대신 [[알파 로메오 레이싱]]의 2020시즌 리저브 드라이버 자리를 따냈다고 한다. 물론 쿠비차의 오랜 개인 스폰서인 PKN 올렌도 알파 로메오로 따라가 타이틀 스폰서 자격을 얻었다. 간간이 연습주행 단계에서 랩을 돌며 리저브 드라이버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 2021 시즌 ==== 작년과 같이 알파로메오의 리저브로 남았고, [[데이토나 24시]]에서 하이클래스 레이싱 20번 소속[* [[케빈 마그누센]]의 아버지인 [[얀 마그누센]]과 같은 차량을 탄다.]으로 LMP2에 참가하는 것이 확정되었다. 안타깝게도 시작한지 얼마 안된 시점에서 차량 이상으로 게러지에서 몇시간을 소비하다가 리타이어했다. 특별한 일 없으면 DTM 대신 LMP2에 계속 도전할 것이라고 한다. 2021년 부터 벨기에 국적의 '''팀 WRT''' 소속으로 유로피언 [[르망 시리즈]]에 참가한다. [[파일:ELMS Barcelona LMP2 WIN.jpg]] 그리고.. [[바르셀로나-카탈루냐 서킷|바르셀로나]]에서 열린 ELMS 4시간 경기에서 팀 WRT 41번 차량으로 종합 우승을 차지하였다! 오랜만에 F1 헝가리 GP FP1에서 키미 라이코넨을 대신하여 참가하였다. [[르망 24시]]에서는 여러 번의 순위 쟁탈 끝에 LMP2 클래스 1위를 차지하는 듯 싶었으나 '''5분을 남겨두고 차량 문제로 리타이어하게 되었다(...)''' 쿠비차와 동료 드라이버였던 루이 델라트라즈와 예 이페이를 포함하여 모두 개러지에서 한참을 좌절한 것은 덤.[* 결국 우승은 같은 팀 소속의 31번 차량에게 돌아갔다.] 이어, 13R [[파크 잔드보르트 서킷|네덜란드 GP]]에서 소속팀의 [[키미 라이코넨]]이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아 그를 대신하여 출전하게 되었다. 퀄리파잉 18위에 레이스는 안정적으로 달리며 15위로 완주하였다. 바로 다음 경기인 몬자에서도 키미를 대신하여 달리게 되었다. 결국 ELMS의 파이널 라운드인 포르티망에서 2위로 피니시하면서 '''2021 ELMS LMP2 챔피언'''에 등극하였다. === [[월드 인듀어런스 챔피언십|WEC]] === ==== 2022 시즌 ==== 작년에는 팀 WRT 소속으로 파트 출전을 한 이후, 올해부터는 새롭게 출전하는 프레마 레이싱으로 이적하여, WEC 풀시즌에 참전하는 것이 확정되었다. 세브링에서의 프롤로그 1일차에서는 각각 클래스 3위와 1위를, 2일차에서는 6위와 3위를 하며 좋은 시작을 알렸다. 2022년 [[르망 24시]]에서 LMP2 클래스 2위로 피니시하며, 지난해의 설욕을 조금이나마 만회할수 있게 되었다. == 연도별 성적 == || '''{{{#ffffff 시즌}}}''' || '''{{{#ffffff 시리즈}}}''' || '''{{{#ffffff 팀}}}''' || '''{{{#ffffff 경기}}}''' || '''{{{#ffffff 우승}}}''' || '''{{{#ffffff 폴포지션}}}''' || '''{{{#ffffff 패스티스트 랩}}}''' || '''{{{#ffffff 포디움}}}''' || '''{{{#ffffff 포인트}}}''' || '''{{{#ffffff 순위}}}''' || ||<|2> 2001 || 포뮬러 르노 2000 유로컵 ||<|4> RC 모터스포츠 || 10 || 0 || 1 || 0 || 1 || 46 || 14위 || || 이탈리아 포뮬러 르노 2000 || 5 || 0 || 0 || 1 || 1 || 27 || 13위 || ||<|3> 2002 || 포뮬러 르노 2000 유로컵 || 8 || 0 || 1 || 0 || 2 || 80 || 7위 || || 이탈리아 포뮬러 르노 2000 || 10 || 4 || 3 || 5 || 6 || 188 ||<#cac4ce> '''2위''' || || 브라질 포뮬러 르노 2000 || RS2 || 1 || 1 || 1 || 1 || 1 || - || - || ||<|5> 2003 || 포뮬러 3 유로 시리즈 ||<|3> 프레마 파워팀 || 14 || 1 || 0 || 3 || 2 || 31 || 12위 || || 영국 포뮬러 3 || 2 || 0 || 0 || 0 || 0 || - || - || || 마스터스 오브[br]포뮬러 3 || 1 || 0 || 0 || 0 || 0 || - || 33위 || || [[마카오 그랑프리]] ||<|2> 타겟 레이싱 || 1 || 0 || 0 || 0 || 0 || - || - || || [[창원 시가지 서킷|한국 슈퍼 프릭스]] || 1 || 0 || 0 || 0 || 0 || - || 6위 || ||<|2> 2004 || 포뮬러 3 유로 시리즈 || 뮈케 모터스포츠 || 20 || 0 || 0 || 0 || 3 || 53 || 7위 || || [[마카오 그랑프리]] || 매노어 모터스포츠 || 1 || 0 || 1 || 1 || 1 || - ||<#cac4ce> '''2위''' || ||<|2> 2005 || 포뮬러 르노 3.5 || 엡실론 유스카디 || 17 || 4 || 3 || 1 || 11 || 154 ||<#ffd700> '''1위''' || || [[마카오 그랑프리]] || 칼린 모터스포츠 || 1 || 0 || 0 || 0 || 1 || - ||<#cac4ce> '''2위''' || || 2006 ||<|5> [[포뮬러 1]] ||<|4> [[BMW 자우버 F1 팀]] || 6 || 0 || 0 || 0 || 1 || 6 || 16위 || || 2007 || 16 || 0 || 0 || 0 || 0 || 39 || 6위 || || 2008 || 18 || 1 || 1 || 0 || 7 || 75 || 4위 || || 2009 || 17 || 0 || 0 || 0 || 1 || 17 || 14위 || || 2010 || [[르노 F1 팀]] || 19 || 0 || 0 || 1 || 3 || 136 || 8위 || ||<|3> 2013 || 유럽 랠리 챔피언십 || [[시트로엥|PH 스포츠]] || 4 || 0 || - || - || 0 || 17 || 29위 || || [[WRC]]2 ||<|2> 개인 참가[* 시트로엥 차량으로 출전] || 7 || 5 || - || - || 6 || 143 ||<#ffd700> '''1위''' || || [[WRC]] || 8 || 0 || - || - || 0 || 18 || 13위 || ||<|2> 2014 || 유럽 랠리 챔피언십 ||<|2> RK M 스포트 WRT || 1 || 1 || - || - || 1 || 39 || 13위 || ||<|3> [[WRC]] || 13 || 0 || - || - || 0 || 14 || 16위 || || 2015 || 개인 참가[* [[포드 피에스타]] 차량으로 출전] || 11 || 0 || - || - || 0 || 11 || 12위 || ||<|3> 2016 || BRC 레이싱 팀 || 1 || 0 || - || - || 0 || 0 || - || || 르노 스포트 트로피[br]- 프로 클래스 ||<|2> 듀퀸 엔지니어링 || 1 || 0 || 0 || 0 || 0 || 0 || - || || 르노 스포트[br]인듀어런스 트로피 || 1 || 0 || 0 || 0 || 1 || 0 || - || || 2019 || [[포뮬러 1]] || [[로킷 윌리엄스 레이싱]] || 21 || 0 || 0 || 0 || 0 || 1 || 19위 || || 2020 || [[DTM]] || [[BMW|BMW 올렌 팀 ART]] || 18 || 0 || 0 || 0 || 1 || 20 || 15위 || ||<|5> 2021 || 유로피언 [[르망 시리즈]] ||<|2> 팀 WRT || 6 || 3 || 0 || 0 || 4 || 118 ||<#ffd700> '''1위''' || || [[르망 24시]] || 1 || 0 || 0 || 0 || 0 || - || NC[* 리타이어] || || [[WEC]] ||<|2> 하이 클래스 레이싱 || 2 || 0 || 0 || 0 || 0 || 10 || 21위 || || [[웨더텍 스포츠카 챔피언십|웨더텍 스포츠카[br]챔피언십 - LMP2]] || 1 || 0 || 0 || 0 || 0 || 0 || NC || || [[포뮬러 1]] || [[알파 로메오 레이싱 올렌]] || 2 || 0 || 0 || 0 || 0 || 0 || 20위 || || 2022 || [[WEC]] || 프레마 올렌 레이싱 || || || || || || || || == 여담 == * [[탈모]]가 있다. 이것 때문인지, 한국 F1팬들 사이에서는 배우 [[김광규(배우)|김광규]]를 닮았다는 얘기도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5jTtAAMF_34&ab_channel=SauberMotorsport|이 영상]]을 보면, 크리스마스에 같은 팀 드라이버인 [[안토니오 지오비나치]]에게 가발을 만들게 머리카락을 좀 잘라서 달라고 [[바리캉]]을 보내기도 했다.(...) * 2020년 [[뉘르부르크링]] 전문 유튜버 Misha Charoudin의 [[https://youtu.be/GwCIEjdzvCk|채널]]에 출연했다. 랠리에서의 큰부상으로 제 1선에서 물러났음에도 [[BMW M4]]를 몰고 엄청난 기량을 보여주었다. 녹색 지옥이라 불리는 뉘르부르크링에서 어지간한 슈퍼카는 다 몰아본 전문 유튜버도 속도감에 당황할 정도였으며 [[F1 드라이버]]와 아마추어 레이서의 기량 차이가 어느정도 인지 보여주었다. [[분류:폴란드의 인물]][[분류:포뮬러 1 드라이버]][[분류:1984년 출생]][[분류:2006년 데뷔]][[분류:크라쿠프 출신 인물]][[분류:자우버 F1 팀-알파 로메오 레이싱/은퇴, 이적]][[분류:윌리엄스 레이싱/은퇴, 이적]][[분류:FIA 드라이버 등급/플래티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