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7976b4ff5c466a66434fda214ee846ff.jpg]] [목차] == 프로필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Robert_Stone_Pro--3ca5fd1c330319b7d5a7915544a6f5a9.png|width=340]]}}} |||| ||||<-2><#FD5900> {{{#ffffff '''NXT'''}}} || || '''본명''' || Robert Strauss || || '''링네임''' || Robert Strauss [br] Mr. Sacowea [br] Rob Eckos [br] Robbie E [br] '''Robert Stone''' [br] '''Mr. Stone''' || || '''생년월일''' || [[1983년]] [[10월 1일]] || || '''출신지''' || [[미국]] 뉴저지 주 알파인 || || '''신장''' || 180cm || || '''체중''' || 91kg || || '''주요 커리어''' || 카오틱 레슬링 태그팀 챔피언 1회 [br] CSWF 크루저웨이트 챔피언 1회 [br] D2W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br] DDT 아이언맨 헤비메탈웨이트 챔피언 1회 [br] 다이나스티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br] ECWA 미드 애틀랜틱 챔피언 1회 [br] ECWA 태그팀 챔피언 2회 [br] GLCW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br] HW 라이트웨이트 챔피언 1회 [br] ISPW 트라이 스테이트 챔피언 1회 [br] JCW 크루저웨이트 챔피언 1회 [br] NCW 태그팀 챔피언 1회 [br] NYWC 태그팀 챔피언 1회 [br] NYWC 인터스테이트 챔피언 1회 [br] NEW 태그팀 챔피언 1회 [br] PWP 태그팀 챔피언 1회 [br] SSCW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br] SSCW 라이트웨이트 챔피언 1회 [br] [[TNA 킹 오브 더 마운틴 챔피언십|TNA 텔레비전 챔피언]] 1회 [br] [[임팩트 X 디비전 챔피언십|TNA X 디비전 챔피언]] 1회 [br] [[임팩트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TNA 월드 태그팀 챔피언]] 2회 [br] UWC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챔피언 1회 [br] UIW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 == 커리어 == === 초창기 === 2000년에 데뷔해 인디에서 활동하다가 2005년 당시 WWE에 처음으로 모습을 보이며 5월 5일에 방영된 스맥다운에서 [[맷 모건]]에게 패하는 자버로 등장했고, 2006년 1월 6일 RAW에서 자동차 운전자로 등장 [[릭 플레어]]로 분장한 [[에지(프로레슬러)|에지]]에게 공격당하는 엑스트라 역할로 나오기도 했다. 스맥다운에선 [[마크 헨리]]의 복귀전 상대로 등장한 자버 3명중 1명으로 등장했다. 2008년 1월에 ECW에서 [[코피 킹스턴]]을 상대하는 2번째 자버로 등장한 적이 있고 코피 킹스턴에게 패했다. === [[TNA]] === 2010년에 TNA에서 입단테스트를 받고 TNA가 라비 E에게 계약을 제안히며 흔쾌히 수락하고, 2010년 10월 7일자 TNA 임팩트에서 여성 레슬러 쿠키[* ROH에서 활동했던 베키 베일리스]와 함께 커플 기믹으로 데뷔, 한동안 쿠키가 라비 E의 매니저 역을 수행했다. 그 이후 쿠키가 방출 되자 라비 E는 [[랍 테리]][* WWE와 수련생 계약을 맺고 FCW에서 활동했으나 방출당한 인물.]를 매니저로 영입. 이때 랍 테리는 라비 T라는 링네임으로 바꾼다. 분열 후에는 대립을 가지기도 했으며, X 디비전과 TNA 텔레비전 챔피언에도 등극하게 된다. 2013년 부터는 [[제시 가더즈]]와 같이 브로맨스(The BroMans)를 결성하며 2015년까지 태그팀 디비전에서도 활동했다. 서로 분열 후에는 대립을 가지기도 했다. 2017년에 라비 E는 TNA를 그만둔다. === [[WWE NXT]] === 인디단체에서 활동하다가 WWE에 입단테스트를 받게되고, 통과하며 WWE와 수련생 계약을 맺고 NXT에서 활동하게 된다. '''로버트 스톤'''이라는 링네임을 부여받았지만, 그의 활용은 선수가 아닌 매니저였고, 매일 하우스쇼에서 여러선수[* [[인두스 셰어]]의 매니저 및 아웃라이어스([[도리안 막]] & [[리딕 모스]])의 매니저]의 매니저로 활용하며 시험대상으로 썼으나 전부다 계획이 수정되어 최종적으로 남성선수 매니저가 아닌 여성선수 매니저로 바꾸며 '''로버스 스톤 브랜드'''라는 스테이블을 만들게 된다. ==== [[첼시 그린]]의 매니저 ==== 2020년 1월 8일 NXT에서 [[미아 임]] & [[케이든 카터]]의 경기 후에 난입한 첼시 그린과 같이 나타나면서 첼시 그린의 매니저로 활동하게 된다. 별 문제없이 진행되었으나 첼시 그린이 [[샬럿 플레어]]의 미스터리 파트너로 등장한 후부터 첼시 그린은 로버트스 스톤을 매니저 직에서 해고하며 갈라진다.[* 분열 계획의 구체적 사유는 [[첼시 그린]]을 메인으로 콜업시킬 준비예정이었고, 첼시 그린을 샬럿 플레어와 듀오를 맺어 활동시킬 계획을 짲으나 빈스 맥마흔의 강한 반대로 이 계획은 실행되지 않았고, 첼시 그린의 콜업은 계속되는 빈스 맥마흔의 계획 수정으로 늦어지고 부상당하는 상황까지 생겨 얼마안가 방출되었다.] ==== [[알리야(프로레슬러)|알리야]]의 매니저 ==== 첼시 그린에게 버림받고 술에 찌들다가 알리야는 로버트 스톤에게 인정받기 위해 매달리게 되고, 결국 로버트 스톤이 받아들이면서 같이 다니게 되는데, [[리아 리플리]]와 대립중인 [[메르세데스 마르티네즈]]를 끌어들이며 메르세데스 마르티네즈도 로버트 스톤에 가입을 하지만 메르세데스 마르티네즈는 로버트 스톤과 서로 안맞에 탈퇴한다. 로버트 스톤은 [[쇼치 블랙하트]]의 모빌에 발이 짓밟히는 굴욕도 당하고, 해가갈수록 알리야와 같이 개그 듀오로 가다가 알랴와 같이 리아 리플리를 상대로 핸디캡 매치를 벌이지만 패한다. 2021년에 여성부 [[더스티 로즈 태그팀 클래식]]이 벌어지면서 알리야도 참가하게 되면서 파트너로는 NXT내에서 만년초짜 기믹에서 못벗어나는 [[제시 카메아]]였고, 알리야 & 제시 카메아는 [[다코타 카이]] & [[라켈 곤잘레스]]라는 강적들에게 패해 탈락된다. 이후부터 로버트 스톤 브랜드에 제시 카메아도 자동적으로 가입하나 매 경기마다 이기는 경기는 없었고, 전 멤버였던 메르세데스 마르티네즈를 섭외해 알리야와 같이 엠버 문 & 쇼치 블랙하트를 상대로 NXT 위민스 태그팀 챔피언십을 벌이지만 패하고, 메르세데스 마르티네즈는 고용한 돈을 지불받지 못해 로버트 스톤에게 화를 내고, 제시 카메아가 메르세데스 마르티네즈에게 대들면서 격돌하지만 실력이 앞선 메르세데스 마르티네즈에게 패하고 메르세데스 마르티네즈는 고용비를 가져가버린다.[* 메르세데스 마르티네즈는 나중에 해고러쉬에 포함돼 방출당한다.] 그러다가 [[프랭키 모넷]]이 등장하면서 로버트 스톤 브랜드의 분열 조짐이 시작되고, 프랭키 모넷이 알리야 & 제시 카메에게 로버트 스톤에 있어도 못뜬다는 진심어린 충고를 하게 되고, 계속되는 패배로 알리야는 로버트 스톤에게 화를내며 로버트 스톤을 폭행하고는 로버트 스톤 브랜드를 탈퇴한다. ==== [[프랭키 모넷]]의 매니저 ==== 알리야의 탈퇴로 제시 카메아가 프랭키 모넷을 따라가자 자신의 위치가 위태로워진 로버트 스톤은 프랭키 모넷을 따라가게 된다. 하지만 알리야때와 같이 경기에 개입하다가 프랭키 모넷이 패하는 상황만 생기고, 프랭키 모넷이 라켈 곤잘레스의 NXT 위민스 챔피언 자리를 노리며 대립이 형성되지만 프랭키 모넷이 패하게 되고, 이후에 등장한 톡식 어트렉션([[맨디 로즈]] & [[지지 돌린]] & [[제이시 제인]])에 의해 프랭키 모넷 & 제시 카메아 & 로버트 스톤이 구타당하고, 매주마다 엑스트라 역할로 쓰인 끝에 해고러쉬가 터지면서 프랭키 모넷 & 제시 카메아가 방출당하며 로버트 스톤 브랜드는 해체된다. ==== [[본 와그너]] & [[맥신 듀프리|소피아 크롬웰]]의 매니저 ==== 로버트 스톤은 이후로 매주마다 선수들 경기를 보며 누굴 자신의 편으로 끌어들일지 물색하기 시작한다. [[본 와그너]]를 계속 주시하면서 그를 자신의 편으로 만들고 그의 매니저가 된다. 그러다가 매주마다 관중석에 등장하는 소피아 크롬웰과도 엮이기 시작하며 소피아 크롬웰도 로버트 스톤과 같이 다닌다. 그러다가 소피아 크롬웰은 7월 22일에 스맥다운으로 콜업되면서 로버트 스톤은 본 와그너의 매니저로만 활동한다. 본 와그너가 어느정도는 뜨지만 지는일이 늘기 시작하고 2023년에 본 와그너가 지는 일이 늘자 로버트 스톤은 본 와그너에게 실망감을 표하며 분열을 암시한다. 계속되는 본 와그너의 연패로 본 와그너가 [[일야 드라구노프]]에게 시비를 걸면서 11일에 본 와그너가 일야 드라구노프를 상대하게 되지만 로버트 스톤은 이번에도 본 와그너가 패하면 본 와그너의 매니저직을 그만두겠다고 하면서 본 와그너가 패하자 로버트 스톤은 본 와그너에게 실망하며 갈라선다. 그러나 본 와그너가 매주마다 자신의 위치에 위기를 느껴 로버트 스톤에게 매달리며 관계를 유지하는 모습을 보인다. 본 와그너가 [[브론 브레이커]]에게 당해 잠시 활동을 못하자 로버트 스톤은 NXT 노 머시 2023에서 벌어진 브론 브레이커 VS [[배런 코빈]] 경기에 본 와그너의 복수를 하기위해 난입해서 브론 브레이커를 패하게 만들고, 브론 브레이커가 자신을 방해해 패하게 만든 로버트 스톤에게 [[NXT 할로윈 해벅(2023)]]에서 맞붙자며 도전하지만 무적같은 브론 브레이커에게 패하고, 경기 후 본 와그너가 복귀해 브론 브레이커를 공격하고 본 와그너는 철제계단을 들고 브론 브레이커가 자신에게 했던걸 그대로 돌려주려고 했지만 브론 브레이커가 피하며 실패하고 둘간의 대립은 이어진다. 11월 7일에 브론 브레이커 VS 본 와그너의 경기가 다시 잡히면서 본 와그너를 도와줄려고 했지만 경기는 본 와그너가 패하고 경기 후 브론 브레이커가 로버트 스톤을 처리할려고 하자 본 와그너가 구해주면서 본 와그나가 브론 브레이커를 아나운서 테이블쪽으로 파워밤을 알리고 본 와그너는 로버트 스톤과 계속 동행한다. == 기타 == * 슬하에 쌍둥이 아들이 있는 유부남이다. 결혼한 부인과는 2011년에 결혼했다가 2013년에 이혼하고 2015년에 재결합했다. * 저주라도 있는것처럼 로버트 스톤과 엮이는 (여성)선수들은 '''대부분이 방출당하는 악재'''가 생긴다.[* [[첼시 그린]] & [[메르세데스 마르티네즈]] & [[프랭키 모넷]] & [[제시 카메아]].] * TNA시절 활동한 [[브룩 애덤스]]와 같이 Amazing Race의 25번째 시즌에 참가한적이 있다. * 타이탄스 게임스 시즌 2에 참가한적이 있다. [[분류:미국의 프로레슬링 선수]][[분류:1983년 출생]][[분류:2000년 데뷔]][[분류:버건 카운티 출신 인물]][[분류:유대계 미국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