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91f40, #ba0021)" '''{{{#ffffff 로드 커류의 수상 이력 / 보유 기록}}}'''}}}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미네소타 트윈스 영구결번)] ---- [include(틀: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영구결번)] ---- [include(틀:미네소타 트윈스 명예의 전당)] ---- [include(틀:에인절스 명예의 전당)] ---- ||<-2>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파일:MLB 로고.svg|width=38&height=21]]]] '''[[미국 야구 명예의 전당|{{{#white 명예의 전당}}}]] {{{#white 헌액자}}}''' || ||<-2> [[파일:external/baseballhall.org/Carew%20Rod%20Plaque%2096_NBL_0.png|width=250]] || ||<-2> '''[[http://baseballhall.org/hof/Carew-Rod|로드 커류]]''' || || 헌액 연도 || [[1991년]] || || 헌액 방식 || 기자단(BBWAA) 투표 || || 투표 결과 || 90.51% (1회) || ---- ||<-5> [[아메리칸 리그|[[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width=auto&height=20]]]] '''{{{#ffffff 1977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MVP}}}''' || || [[서먼 먼슨]][br]([[뉴욕 양키스]]) || → || '''로드 커류[br]([[미네소타 트윈스]])''' || → || [[짐 라이스]][br]([[보스턴 레드삭스]]) || ---- ||<-5> [[아메리칸 리그|[[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width=auto&height=20]]]] '''{{{#ffffff 1967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신인왕}}}''' || || 토미 에이지[br]([[시카고 화이트삭스]]) || → || '''로드 커류[br]([[미네소타 트윈스]])''' || → || 스탠 반슨[br]([[뉴욕 양키스]]) ||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785, #ed174b)"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파일:MLB 로고.svg|width=auto&height=20]]]] '''{{{#ffffff 1977년 메이저 리그 로베르토 클레멘테 상}}}'''}}} || || [[피트 로즈]] [br] ([[신시내티 레즈]]) || → || '''로드 커류[br] ([[미네소타 트윈스]])''' || → || 그레그 러진스키[br] ([[필라델피아 필리스]]) || }}}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arew-2teams.jpg|width=100%]]}}} || ||<-2> '''{{{#ccac00 미네소타 트윈스 No.29}}}''' || '''{{{#ccac00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No.29}}}'''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31e34, #003263)" '''{{{#ffffff {{{+2 로드니 클라인 "로드" 커류}}} [br] Rodney Cline "Rod" Carew}}}'''}}} || || '''생년월일''' ||<-2>[[1945년]] [[10월 1일]] ([age(1945-10-01)]세) || || '''국적''' ||<-2>[include(틀:국기, 국명=파나마)]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어릴 때 미국으로 이민. ] || || '''출신지''' ||<-2>파나마 운하 || || '''포지션''' ||<-2>'''[[2루수]]''', [[1루수]] || || '''투타''' ||<-2>[[우투좌타]] || || '''신체''' ||<-2>183cm, 77kg || || '''프로입단''' ||<-2>1964년 [[미네소타 트윈스]] 자유계약 || || '''소속팀''' ||<-2>'''[[미네소타 트윈스]] (1967~1978)''' [br]'''[[캘리포니아 에인절스]] (1979~1985)''' || [목차] [clearfix] == 개요 == 전 [[미국]]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소속 야구 선수. [[토니 그윈]] 이전 가장 정교한 컨택을 보여줬던 타자 중 한 명이다. 또한, [[파나마]] 출신 선수로는 최초로 [[메이저리그 명예의 전당]]에 입성한 선수다. == 선수 시절 == [[파일:1967-0921-Rod-Carew-001300233.jpg]] 젊은 시절 미국으로 이민을 와서 해병대 예비군에서 복무한 뒤 1964년 [[미네소타 트윈스]]와 계약을 맺은 커류는 1967년 신인왕에 올랐고 1969년부터 .332의 타율로 첫 타격왕에 올랐다. 그렇게 커류는 주전 2루수로서 트윈스의 프랜차이즈 스타로 자리매김하였다. 비록 똑딱이로서 그리 좋은 장타력을 지니진 못해 선수 시절 통산 홈런은 100개 미만이었지만, 적극적인 타격과 좋은 선구안을 바탕으로 정교함을 발휘하였다. 그의 타격의 비밀은 배트를 완전히 옆구리 근처로 눕혀 어떠한 공에도 대처할 수 있었고, 오직 손목힘과 공의 반발력만으로 내야를 뚫으며 좌/우/중앙에 이르는 고른 방향으로 안타를 만들어내는 그만의 타격기술에 있었다. 1969년부터 1983년까지 '''15년 연속 타율 3할'''은 [[타이 콥]], [[스탠 뮤지얼]], [[호너스 와그너]], [[토니 그윈]]만이 이룩한 대기록이며, 그중에는 1972~75년의 '''4년 연속 타격왕''' 기록, 3번의 최다안타 1위, 4번의 출루율 1위가 포함되어 있다. 1977년에는 타율 .388 출루율 .449 장타율 .570 14홈런 100타점을 비롯하여 선수로서 최고의 해를 기록했으며, 아메리칸리그 MVP에 선정되었다.[* 이 해에 그가 기록한 .388의 타율은 테드 윌리엄스가 4할을 친 이후 메이저리그 최고 타율이었는데, 아깝게도 3년 후인 1980년 캔자스시티 로열스의 [[조지 브렛]]이 .390을 치면서 밀려났다.] 그러나 미네소타에서 그는 구단주 캘빈 그리피스와 마찰을 빚어 [[캘리포니아 에인절스]]로 트레이드되었다.[* 커류가 미네소타를 떠난 데에는 캘빈 구단주의 인종차별도 한몫했다는 견해도 있는데, 1978년 와세카의 라이온스 클럽 [[https://m.startribune.com/sept-28-1978-calvin-griffith-spares-few-targets-in-waseca-remarks/482828011/|연설]]에서 커류를 두고 "멍청해서 훨씬 돈을 적게 받고 뛰고 있다"는 발언이 이를 뒷받침했다. 다만 커류 본인은 2020년 캘빈 그리피스 전 구단주의 동상이 철거될 당시 그 결정을 지지하면서도, 캘빈이 구단주로 있던 때는 물론 1991년 커류 자신이 명예의 전당에 헌액될 적 캘빈이 먼저 전화를 건 일 등으로 보아 그 사람의 인종차별적인 징후를 보지 못했다고 했다.[[https://m.startribune.com/sept-28-1978-calvin-griffith-spares-few-targets-in-waseca-remarks/482828011/|#]]] 캘리포니아로 떠난 그는 주로 1루수로 나서며 5년 더 3할 시즌을 만들어냈고, 6년 연속으로 올스타에 선정되어 통산 18회의 올스타 출전 기록을 작성했다. 그리고 앤젤스에서의 7번째이자 마지막 시즌인 1985년 8월, 친정팀 트윈스의 [[프랭크 비올라]]를 상대로 통산 3,000안타를 달성, [[쿠퍼스타운]]에 자신의 자리를 예약하며 그 시즌을 끝으로 은퇴했다.[* 흥미롭게도 이날 뉴욕에서는 1969년 뉴욕 메츠의 첫 우승(일명 '어메이징 메츠')을 이끌었던 명투수 [[톰 시버]]도 양키즈와의 원정경기에 승리하여 통산 300승을 기록, 야구팬들의 환호를 동시에 받았다.] 통산 3,053안타에 .328의 타율을 기록했다. 1991년, [[메이저리그 명예의 전당]] 첫 투표에서 90.5%의 지지율로 헌액되었고, 미네소타 트윈스의 모자를 쓰고 쿠퍼스타운에 입성했다. 헌액에 앞선 1986년과 87년에는 각각 앤젤스와 트윈스에서 일찌감치 영구결번으로 지정되었다. 은퇴 후에는 에인절스와 [[밀워키 브루어스]]에서 타격코치로 일했으며, [[개럿 앤더슨]], [[짐 에드몬즈]], [[팀 새먼]] 등을 길러냈다. [[파일:external/ecx.images-amazon.com/51wFScJ9JjL._SL500_.jpg]] 한 시대를 풍미했던 교타자답게, 타격 이론서를 출간하기도 했다. 국내에서는 1990년 <주간야구>란 잡지에서 '타격왕이 되는 길'이란 제목으로 번역 연재한 바 있다. 책의 표지 사진은 1985년의 3,000번째 안타를 치는 모습이다. == [[명예의 전당 통계]](Hall of Fame Statistics) == * [[명예의 전당 통계|블랙잉크]], [[명예의 전당 통계|그레이잉크]], [[명예의 전당 통계|명예의 전당 모니터]], [[명예의 전당 통계|명예의 전당 스탠다드]] || ||블랙잉크||그레이잉크||HOF 모니터||HOF 스탠다드|| || 로드 커류 || 42 || 148 || 242 || 55 || ||HOF 입성자 평균|| 27 || 144 || 100 || 50 || * [[명예의 전당 통계|JAWS]] - Second Base (6th) || ||career WAR||7yr-peak WAR||JAWS|| || 로드 커류 || 81.1 || 49.7 || 65.4 || ||2루수 HOF 입성자 평균|| 69.4 || 44.5 || 56.9 || == 이모저모 == * 첫 아내가 유대인인데, 그녀와의 사이에서 태어난 아이들은 모두 유대교 신자이다. 그런데 막내 딸이 백혈병에 걸렸을 때 파나마-유대인 혈통이라는 특수한 혈통 때문에 골수 이식을 받는데 어려움을 겪었고 결국 1996년 세상을 떠났다. * [[류현진|선수생활 내내]] [[토니 그윈|씹는 담배를 애용하였으며]] 이 때문에 은퇴 후 이 치료에다 많은 돈을 쏟아부어야 했다고 한다. 현재는 금연 중이라고 한다.[* 그나마 의료보험이 적용되니 다행.] * 2016년 12월 12일, 29살의 젊은 나이로 뇌종양으로 요절한 [[샌프란시스코 포티나이너스]]와 [[볼티모어 레이븐스]]에서 뛰었던 타이트엔드 콘래드 로이랜드의 유족이 그에게 심장 기증 의사를 밝혔다.[* 생전에 그는 미식축구 생활을 하면서 장기기증 의사를 꾸준히 밝혔던 터라 어찌보면 사망자의 뜻을 존중한 셈이다.] 커류 본인은 선천적으로 심장이 좋지 않았었는데, 새로이 심장을 이식받아 새 삶을 살게 된 것 같아 감사하다고 소회를 표현했다. 그리고 매년 세상을 떠난 콘래드의 기일을 챙기게 되었다.[* 2023년 기준 77세의 고령이긴 하지만, 건강이 허락되는 동안에 꾸준히 참석하고 있다.] * 파나마 최고의 야구영웅으로 추앙받고 있다. 간단히 생각하자면 한국 야구팬들이 [[장훈(야구선수)|장훈]]에 대해 갖는 존경심, 경외감과 비슷한 셈. 커류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2004년엔 [[파나마 시티]]에 있는 국립 경기장의 이름을 '''[[로드 커류 국립 야구장|로드 커류 스타디움]]'''으로 개명하기도 했다. 이 경기장은 [[201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의 예선 라운드 개최 장소 중 하나다. * [[MVP 베이스볼 시리즈]]의 최종작인 MVP 베이스볼 2005에 그의 타격폼이 묘사되어 있는데, 상당히 독특하다. 배트가 등 뒤로 넘어가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땅과 수직이 될 정도로 엄청나게 뒤로 눕혀서 쳤다. [[https://www.mlb.com/video/laa-rod-carew-no-29-c20048345|여기에서도 확인 가능하다]] 미네소타의 홈구장인 [[타깃 필드]] 야외에도 그의 타격폼을 묘사한 동상이 세워져 있다. * 2016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에서 메이저리그 사무국은 2016년부터 아메리칸리그 타격왕 타이틀을 '''로드 커류 상'''이라고 명명하겠다고 공식 발표했다. 이는 내셔널리그도 동일하게 적용하며 [[토니 그윈]] 상으로 명명. * 메이저리그 역사에 남을 타자지만 아쉽게도 월드시리즈와는 인연이 없었다. 아메리칸 챔피언쉽 시리즈는 총 4회 진출했다. (미네소타 2회(1969, 1970), 에인절스 2회(1979, 1982)) == 연도별 성적 == ||<-19>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파일:MLB 로고.svg|width=35]]]] {{{#FFFFFF '''로드 커류의 역대 MLB 기록'''}}} || || 연도 || 팀 || G || PA || H || 2B || 3B || HR || R || RBI || SB || BB || SO || AVG || OBP || SLG || OPS || fWAR || bWAR || || 1967 ||<|12> [[미네소타 트윈스|MIN]] || 137 || 561 || 150 || 22 || 7 || 8 || 66 || 51 || 5 || 37 || 91 || .292 || .341 || .409 || .750 || 2.9 || 2.8 || || 1968 || 127 || 492 || 126 || 27 || 2 || 1 || 46 || 42 || 12 || 26 || 71 || .273 || .312 || .347 || .659 || 1.7 || 1.8 || || 1969 || 123 || 504 || 152 || 30 || 4 || 8 || 79 || 56 || 19 || 37 || 72 || '''.332''' || .386 || .467 || .853 || 5.0 || 5.5 || || 1970 || 51 || 204 || 70 || 12 || 3 || 4 || 27 || 28 || 4 || 11 || 28 || .366 || .407 || .524 || .930 || 2.0 || 2.1 || || 1971 || 147 || 632 || 177 || 16 || 10 || 2 || 88 || 48 || 6 || 45 || 81 || .307 || .356 || .380 || .736 || 1.8 || 2.4 || || 1972 || 142 || 591 || 170 || 21 || 6 || 0 || 61 || 51 || 12 || 43 || 60 || '''.318''' || .369 || .379 || .749 || 4.3 || 5.4 || || 1973 || 149 || 657 || '''203''' || 30 || '''11''' || 6 || 98 || 62 || 41 || 62 || 55 || '''.350''' || .411 || .471 || .881 || 6.3 || 7.0 || || 1974 || 153 || 690 || '''218''' || 30 || 5 || 3 || 86 || 55 || 38 || 74 || 49 || '''.364''' || '''.433''' || .446 || .879 || 6.6 || '''7.5''' || || 1975 || 143 || 617 || 192 || 24 || 4 || 14 || 89 || 80 || 35 || 64 || 40 || '''.359''' || '''.421''' || .497 || .919 || 7.1 || '''7.9''' || || 1976 || 156 || 687 || 200 || 29 || 12 || 9 || 97 || 90 || 49 || 67 || 52 || .331 || .395 || .463 || .858 || 6.4 || 6.8 || || 1977 || 155 || 694 || '''{{{#blue,#0000ff 239}}}''' || 38 || '''16''' || 14 || '''128''' || 100 || 23 || 69 || 55 || '''{{{#blue,#0000ff .388}}}''' || '''.449''' || .570 || '''1.019''' || '''{{{#blue,#0000ff 8.6}}}''' || '''{{{#blue,#0000ff 9.7}}}''' || || 1978 || 152 || 651 || 188 || 26 || 10 || 5 || 85 || 70 || 27 || 78 || 62 || '''.333''' || '''.411''' || .441 || .853 || 4.4 || 5.0 || || 연도 || 팀 || G || PA || H || 2B || 3B || HR || R || RBI || SB || BB || SO || AVG || OBP || SLG || OPS || fWAR || bWAR || || 1979 ||<|7> [[캘리포니아 에인절스|CAL]] || 110 || 493 || 130 || 15 || 3 || 3 || 78 || 44 || 18 || 73 || 46 || .318 || .419 || .391 || .810 || 2.2 || 2.6 || || 1980 || 144 || 612 || 179 || 34 || 7 || 3 || 74 || 59 || 23 || 59 || 38 || .331 || .396 || .437 || .833 || 3.0 || 3.4 || || 1981 || 93 || 421 || 111 || 17 || 1 || 2 || 57 || 21 || 16 || 45 || 45 || .305 || .380 || .374 || .753 || 2.6 || 3.0 || || 1982 || 138 || 612 || 167 || 25 || 5 || 3 || 88 || 44 || 10 || 67 || 49 || .319 || .396 || .403 || .799 || 4.3 || 4.7 || || 1983 || 129 || 536 || 160 || 24 || 2 || 2 || 66 || 44 || 6 || 57 || 48 || .339 || .409 || .411 || .820 || 2.2 || 2.3 || || 1984 || 93 || 378 || 97 || 8 || 1 || 3 || 42 || 31 || 4 || 40 || 39 || .296 || .367 || .353 || .720 || 1.0 || 0.9 || || 1985 || 127 || 518 || 124 || 17 || 3 || 2 || 69 || 39 || 5 || 64 || 47 || .280 || .371 || .345 || .717 || 0.1 || 0.5 || ||<-2> '''[[MLB]] 통산[br](19시즌)''' || 2469 || 10550 || 3053 || 445 || 112 || 92 || 1424 || 1015 || 353 || 1018 || 1028 || .328 || .393 || .429 || .822 || 72.3 || 81.2 || [각주] [[분류:미국 야구 명예의 전당 헌액자]] [[분류:파나마의 야구 선수]][[분류:미국의 야구 선수]][[분류:MLB MVP]][[분류:1945년 출생]][[분류:1967년 데뷔]][[분류:1985년 은퇴]][[분류:콜론 주(파나마) 출신 인물]][[분류:내야수]][[분류:우투좌타]][[분류:미네소타 트윈스/은퇴, 이적]][[분류: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은퇴, 이적]][[분류:MLB 신인왕]][[분류:복수국적자]][[분류:MLB 영구결번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