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로니 존슨}}}[br]Lonnie Johnso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A-307232-1621652142-2860.jpeg.jpg|width=100%]]}}} || || '''본명''' ||알론조 존슨[br]Alonzo Johnson|| ||<|2> '''출생''' ||1889/94/99년 2월 8일|| ||[[미국]] [[루이지애나주]][* [[뉴올리언스]]와 포트 앨런으로 갈린다.]|| ||<|2> '''사망''' ||1970년 6월 16일 (향년 71/76/81세)|| ||[[캐나다]] [[토론토]]|| || '''직업''' ||[[싱어송라이터]], 음악가|| || '''장르''' ||[[재즈]], [[블루스]]|| || '''악기''' ||[[보컬리스트|보컬]], [[기타]], [[바이올린]], [[밴조]]|| || '''형''' ||[[제임스 존슨(음악가)|제임스 존슨]]||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음악가. 영향력 있는 블루스 음악가들 중 한 명이며, 재즈 기타의 선구자들 중 한 명이다. == 생애 == === 초기 === 출생정보가 명확하지 않다. 생년월일부터 갈리는데, * 1889년생 자료 (추정 포함): [* Edward Komara · Peter Lee, "The Blues Encyclopedia" (Routledge · 2004.7.1.), 532쪽, [[https://books.google.co.kr/books?id=Hwk3AgAAQBAJ&lpg=PA532&dq=The%20Blues%20Encyclopedia%20lonnie%20johnson&hl=ko&pg=PA532#v=onepage&q&f=false|#]]][*A "[[https://missouriencyclopedia.org/people/johnson-alonzo-lonnie|Alonzo “Lonnie” Johnson (1889–1970)]]", missouriencyclopedia.org][*B "[[https://www.britannica.com/biography/Lonnie-Johnson|Lonnie Johnson: American musician]]", [[브리태니커 대백과사전]]] * 1894년생 자료: [* James Sallis, "The Guitar Players: One Instrument and Its Masters in American Music"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 1994), 33쪽, [[https://books.google.co.kr/books?redir_esc=y&hl=ko&id=LgXaAAAAMAAJ&dq=The+Guitar+Players+One+Instrument+and+Its+Masters+in+American+Music&focus=searchwithinvolume&q=1894|#]]][*C Bob L. Eagle · Eric S. LeBlanc, "Blues: A Regional Experience" (ABC-CLIO · 2013.5.1.), 168쪽][*D Gérard Herzhaft, "Encyclopedia of the Blues-2nd (p)" (University of Arkansas Press · 1992), 99쪽, [[https://books.google.co.kr/books?id=sOKZKESWys0C&lpg=PA99&dq=The%20Blues%20Encyclopedia%20lonnie%20johnson&hl=ko&pg=PA99#v=onepage&q&f=false|#]]] * 1899년생 자료: [*E Bill Dahl, "[[https://www.allmusic.com/artist/lonnie-johnson-mn0000275401/biography|Lonnie Johnson: Biography]]", [[올뮤직]]] 거의 모든 자료에서 [[뉴올리언스]]에서 태어났다고 하지만, 밥 L. 이글과 에릭 S. 르블랑은 포트 앨런이 출생지라고 주장했다.[*C] 음악가 대가족의 아들로 태어난 그는[*B], 바이올린 연주자였던 아버지를 따라[*A] 본래 바이올린을 연주했으며[*E][*F Joel Rose, "[[https://www.npr.org/2008/03/28/89186801/saluting-lonnie-johnson-original-guitar-hero|Saluting Lonnie Johnson, Original Guitar Hero]]", 「[[NPR]]」, 2008.3.28.] 연회와 결혼식, 길모퉁이에서 연주하던[*G Lonnie Johnson, "Lonnie Johnson" (Alfred Music Publishing · 1993), 6쪽, [[https://books.google.co.kr/books?id=FWQlM83-AkMC&lpg=PA6&dq=lonnie%20johnson%20father's%20band&hl=ko&pg=PA6#v=onepage&q&f=false|#]]] 아버지의 스트링 밴드에서도 바이올리니스트로 활동했다.[*B] === 활동 === 그는 어렸을 적에 학교를 관두고 목재 하치장에서 일하기 시작했으며[*A], 1910년부터 17년까지 [[홍등가]]이던 루이지애나주 스토리빌의 성매매 업소 · 술집 · [[카바레]]에서 기타와 바이올린을 연주하며 활동했다.[*A][*H John Cohassey, "[[https://www.allaboutjazz.com/musicians/lonnie-johnson|Lonnie Johnson]]", allaboutjazz.com] 이후 로니는 아버지의 스트링 밴드에 다시 합류해 연주했다.[*A] 1917년에 뮤지컬 그룹에 합류해 [[런던]]에서 활동하다 1919년에 집으로 돌아오게 되는데[*B], 집으로 돌아와보니 형 제임스 외에는 아버지를 포함한 가족 10명이 모두 1918년에 유행한 [[스페인 독감]]으로 죽어있었다.[*F] 이후 그는 북쪽으로 향했고, [[유람선]] 악단에서 활동하다가 [[세인트루이스]]에 정착하게 되었다.[*F] 그가 언제 기타로 악기를 바꿨는지는 불명이나 이 시기엔 확실히 기타로 옮긴 상태였다.[*E] 그는 1920년부터 22년까지 형과 찰리 크레스의 밴드에서 바이올리니스트로 활동했다.[*A] 이후 다른 밴드에 합류해 활동했으며, 1925년엔 메리 스미스와 결혼했다.[*G] 같은 해 블루스 콘테스트에서 우승하여 오케 레코드와 녹음 계약을 맺게 되었다.[*F] 그는 1925년부터 32년까지 약 130곡을 녹음했고[*D] 이 중 상당수는 상업적 성공을 거뒀다. 1929년엔 백인인 에디 랭과 녹음하기도 했다.[* Chris Thomas King, "The Blues: The Authentic Narrative of My Music and Culture" (Chicago Review Press · 2021.6.8.), 156쪽, [[https://books.google.co.kr/books?id=yQX3DwAAQBAJ&lpg=PT156&dq=lonnie%20johnson%20eddie%20lang&hl=ko&pg=PT156#v=onepage&q&f=false|#]]] 그는 [[베시 스미스]]와 투어를 했고[*D], 투어 후 그는 [[시카고]]로 이주하였다.[*H] 그러나 [[대공황]]이 닥치면서 음반 판매량이 급감했다.[*A] 녹음 계약은 1930년대 초에 만료됐고, 그는 대공황이 닥치자 이스트세인트루이스에 있는 [[제철소]]로 돌아가 5년 간 바쁘게 일했다.[*F] 1932년엔 6명의 자녀를 두고 메리와 이혼했으며[* Michael Taft, "Talkin' to Myself: Blues Lyrics, 1921-1942" (Routledge · 2013.10.8.), 375쪽, [[https://books.google.co.kr/books?id=NTpFAQAAQBAJ&lpg=PT375&dq=lonnie%20johnson%201932&hl=ko&pg=PT375#v=onepage&q&f=false|#]]][* Scott Yanow, "[[https://www.allmusic.com/album/complete-works-in-chronological-order-1929-1936-mw0000054362|Complete Works in Chronological Order (1929-1936)]]", [[올뮤직]]] [[클리블랜드]]에 정착하여 음악 활동을 이어갔고, 1939년까지 라디오 프로그램에 자주 출연하기도 했다.[*H] 그는 1930년대 대부분을 [[나이트 클럽]]에서 솔로나 작은 밴드와 함께 연주하는 것으로 보냈다.[*A] 그는 1937년부터 녹음을 재개했으며, 1939년엔 블루버드 레코드로 레이블을 옮겼다.[* Theodore Roosevelt, "From the Alleghanies to the Mississippi, 1769-1776 - - v. 2. From the Alleghanies to the Mississippi, 1777-1783" (U of Nebraska Press · 1995.1.1.), 46쪽, [[https://books.google.co.kr/books?id=0jmfI9SqYzMC&lpg=PP56&dq=lonnie%20johnson%201937&hl=ko&pg=PP56#v=onepage&q&f=false|#]]] 1939년 녹음 때 처음으로 [[일렉트릭 기타]]를 사용했다고 한다. 이후 5년 간 그는 34곡을 녹음했으며 좋은 판매량을 거뒀다.[*H] 1947년엔 [[오하이오주]] [[신시내티]]로 이주했고, 이후 킹 레코드에 합류했으며 1948년에 [[발라드]] 곡 [[https://www.youtube.com/watch?v=POnWb_fJc4I|Tomorrow Night]]가 R&B 차트에서 7주 1위를 거두며 크게 성공했다.[*E][*I Lonnie Johnson, "Lonnie Johnson" (Alfred Music Publishing · 1993), 10쪽, [[https://books.google.co.kr/books?id=FWQlM83-AkMC&lpg=PA10&dq=lonnie%20johnson%20tomorrow%20night&hl=ko&pg=PA10#v=onepage&q&f=false|#]]] 1952년엔 영국을 방문하기도 했으나 스탠리 댄스에게 혹평을 듣기도 했다.[* Lawrence Davies, "[[https://allthirteenkeys.wordpress.com/2014/06/22/on-a-kind-of-vacation-reexamining-african-american-blues-musicians-visits-to-britain-1950-58/|ALLTHIRTEENKEYS Blues and Jazz in all thirteen keys.]]", allthirteenkeys.wordpress.com] === 재조명 === 11개월의 영국 활동 이후, 그는 미국으로 돌아왔고 잠깐 신시내티에 머물다 [[필라델피아]]로 이주했다.[*H] 그의 인기는 점차 거의 잊혀질 정도로까지 감소했으며[*F], 그는 제철소 · 석탄 광부 · 호텔 청소부 (1950년대 말) 로 일하였다.[*A] 그러다 1960년 [[재즈]] [[디스크자키]]인 크리스 알버트슨이 벤자민 프랭클린 호텔에서 청소부로 일하던 그를 재발견해냈다.[*I] 알버트슨은 그를 자신의 쇼에 여러 번 출연시키고, 당시 미국 사회에 일어났단 아메리칸 포크 뮤직 리바이벌[* 쉽게 말해 블루스 같은 음악들이 재조명받던 시기.] 속에서 그가 복귀할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 그의 음반 제작에 직접 나서기도 했다.[*F] 이로 인해 로니는 청소부 일을 그만두고 음악으로 복귀했으며, 1960년부터 61년까지 [[뉴욕시]]에서 열린 타운 홀 콘서트에서 공연했다.[*H] 1963년에는 [[머디 워터스(음악가)|머디 워터스]], [[소니 보이 윌리엄슨 2세]], 빅토리아 스파이비, 빅 조 윌리엄스와 같은 유명한 음악가들과 아메리칸 포크 블루스 페스티벌에 참여해 [[유럽]]에서 연주했다.[* Gérard Herzhaft, "Encyclopedia of the Blues" (University of Arkansas Press · 1997.1.1.), 195쪽, [[https://books.google.co.kr/books?id=uA6CEAAAQBAJ&lpg=PA195&dq=lonnie%20johnson%20american%20folk%20blues%20festival&hl=ko&pg=PA195#v=onepage&q&f=false|#]]] [[코펜하겐]]에선 오티스 스판과 음반 작업을 하기도 했다.[* Dean Alger, "The Original Guitar Hero and the Power of Music: The Legendary Lonnie Johnson, Music, and Civil Rights" (University of North Texas Press · 2014.4.15.), 252쪽, [[https://books.google.co.kr/books?id=lRFlAwAAQBAJ&lpg=PA252&dq=lonnie%20johnson%20otis%20spann&hl=ko&pg=PA252#v=onepage&q&f=false|#]]] === 말년 === 그는 1965년에 [[토론토]]에 정착했으며, 그 소유의 클럽인 홈 오브 더 블루스 클럽을 열었다.[*J Lonnie Johnson, "Lonnie Johnson" (Alfred Music Publishing · 1993), 11쪽, [[https://books.google.co.kr/books?id=FWQlM83-AkMC&lpg=PA11&dq=lonnie%20johnson%20toronto&hl=ko&pg=PA11#v=onepage&q&f=false|#]]] 그러다 1969년 3월, 토론토에서 버스 정류장에 있다가 교통사고를 당해 큰 부상을 입었다. 이로 인해 다시는 기타를 칠 수 없게 되었다.[* Jas Obrecht, "Early Blues: The First Stars of Blues Guitar" (U of Minnesota Press · 2015.11.9.), 183쪽, [[https://books.google.co.kr/books?id=rzB0DwAAQBAJ&lpg=PT183&dq=lonnie%20johnson%20toronto&hl=ko&pg=PT183#v=onepage&q&f=false|#]]][*J] 같은 해 5월 4일에 자선 콘서트가 열려 [[존 리 후커]] 같은 약 20명의 음악가들이 공연했다.[*K "[[https://en.wikipedia.org/wiki/Lonnie_Johnson_(musician)|Lonnie Johnson (musician)]]", [[위키피디아]]] 1970년 2월, 토론토의 메시 홀에서 [[버디 가이]]와 공연했다. 버디 가이는 [[어쿠스틱 기타]]를 연주했고 그는 노래를 불렀다. 이것이 그의 마지막 공연이었고 수많은 젊은 팬들이 있었다. 그는 무대를 떠날 때 눈물을 흘렸다고 한다.[*J][* Jas Obrecht, "Early Blues: The First Stars of Blues Guitar" (U of Minnesota Press · 2015.11.9.), 184쪽, [[https://books.google.co.kr/books?id=rzB0DwAAQBAJ&lpg=PT183&dq=lonnie%20johnson%20toronto&hl=ko&pg=PT184#v=onepage&q&f=false|#]]] 이후 1970년 6월 16일에 토론토에 있는 자택에서 [[뇌졸중]]으로[*A] 숨을 거뒀다.[*C] 사후 [[펜실베이니아주]] 벅스 카운티에 있는 화이트 체펠 메모리얼 파크에 안장되었다.[* "[[https://www.wirz.de/music/johnsonl.htm|Lonnie Johnson discography]]", wirz.de] 사망 당시 사실상 파산한 상태였다고 한다.[*K] 사후 2014년경 더 킬러 블루스 헤드스톤 프로젝트란 단체에서 그의 묘비를 사들였다. [[분류:미국 남가수]][[분류:미국의 기타리스트]][[분류:미국의 바이올리니스트]][[분류:1970년 사망]][[분류:블루스 음악가]][[분류:미국의 재즈 아티스트]][[분류:루이지애나 주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