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북한의 산업시설)] ||<-2> {{{-2 '''[[북한|[[파일:북한 국기.svg|height=15]]]] [[함경남도|{{{#white 함경남도}}}]]의 [[농장|{{{#white 국영농장}}}]]'''}}}[br]{{{#!wiki style="margin: -10px -10px" || [[북한|[[파일:북한 국장.svg|height=60]]]]||'''{{{+1 련포온실농장[br]蓮浦溫室農場}}}[br]{{{-2 Ryŏnpho Greenhouse Farm}}}''' || }}} || || '''설립''' ||[[2022년]] [[10월 10일]] {{{-2 (준공식)}}} || || '''연혁'''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련포비행장]] {{{-2 (1940s~2021)}}}[br]련포온실농장 {{{-2 (2022~ )}}}}}} || || '''목적''' ||✔ [[함경남도]] 주민에게 공급하기 위한 [[채소|채소류]] 재배[br]✔ 농장원을 위한 주택, 복지시설 등 || || '''규모''' ||{{{-2 부지면적}}} 2.77㎢[br]{{{-2 생산시설}}} 850여 동[br]{{{-2 주택}}} 1,000여 세대 || || '''주소''' ||{{{#!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39.792591%2c127.533090, 너비=100%, 높이=250)]}}} ---- {{{#!wiki style="padding: 2px 10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ED1C27; color: white" '''[[북한|[[파일:북한 국장.svg|width=20]]]] 련포온실농장'''}}} {{{-2 ([[함경남도]] [[함주군]] 련포지구)}}} || [목차] [clearfix] == 개요 == [[북한]]의 [[농장|국영농장]]. [[함경남도]] [[함주군]] 련포지구에 있다. == 특징 == || [[연합뉴스TV|[[파일:연합뉴스TV 로고.sv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v5ERXULQ5uw, width=100%)]}}} || || '''련포온실농장 준공[br](2022년 10월 11일 방송분)''' || [[련포비행장]]을 헐고 그 자리에 새롭게 지은 [[채소|채소류{{{-2 (문화어: 남새)}}}]] 전용 농장이다. 바닷가 근처에 위치하고 있으며, 농장원들을 위한 주택과 학교, 복지시설 등이 있다. [[http://www.tf.co.kr/read/photomovie/1970902.htm|기사{{{-2 (더팩트)}}}]] [[비닐하우스]]가 한 번에 셀 수 없을 정도로 많이 보이는데, 북한 국영농장 중에서도 규모가 매우 큰 편인 거를 넘어 온실농장 규모만 보면 이전까지 최대 온실 단지로 알려졌던 [[네덜란드]]의 애그리포트(Agriport) A7(2.11제곱킬로미터)보다 큰, '''세계 최대의 온실농장'''이다.[* 이전에 북한이 세계적 수준이라고 자랑하던 [[평양국제비행장]]과 [[대성백화점]]이 남한에서는 지방 수준에도 미치지 못한 것과는 대조적이다.] 이 농장에 '''[[김정은]]의 모자이크 벽화가 처음으로 설치됐다.''' [[2022년]] [[10월 12일]], [[조선중앙텔레비죤]]을 통해서 이 농장에 [[김정은]] 모자이크 벽화가 설치된 것이 드러났다. [[https://www.yna.co.kr/view/AKR20221012060900504|기사{{{-2 (연합뉴스)}}}]] 김정은 그림이 설치된 건 최초로서, 북한 내부에서는 이전 지도자들과 비슷한 반열에 올라섰다는 걸 상징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다만 그동안 김정은 초상화가 이전 지도자의 초상화와 함께 내걸린다든지, 또는 이전 지도자의 초상화가 아예 떼어진다든지 하는 전조적 사건이 있어오긴 했다. [[2022년]] [[10월 14일]], [[로동신문]]은 련포온실농장의 마을 모습을 보도했다. [[https://www.news1.kr/photos/view/?5627864|기사#1{{{-2 (뉴스1)}}}]] [[https://www.news1.kr/photos/view/?5627862|#2]] [[https://www.news1.kr/photos/view/?5627861|#3]] [[https://www.news1.kr/photos/view/?5627863|#4]] [[https://www.news1.kr/photos/view/?5627859|#5]] [[https://www.news1.kr/photos/view/?5627860|#6]] 자기들 입장에서는 잘 지었는지 이 마을을 '련포의 [[경루동]][* [[평양]] [[중구역]] 보통강변에 위치한 호화 주택가로, 북한 내 최충성층들이 사는 곳이다.]'이라고 자랑하고 있다. == 역사 == [[2022년]] [[1월 27일]], [[김정은]] [[조선로동당 총비서]]는 건설예정지인 구 련포비행장 지역을 들렀다. [[https://www.news1.kr/photos/view/?5192380|기사{{{-2 (뉴스1)}}}]] 북한 측의 보도에 따르면 농장 건설은 [[2019년]]부터 계획되었다고 한다. [[https://www.news1.kr/articles/?4579327|기사{{{-2 (뉴스1)}}}]] 불과 [[2021년]] [[3월 25일]]까지만 해도 단거리탄도미사일인 [[KN-24]]를 발사한 군사기지였으나 결국 헐렸다.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10326/106089710/1|기사{{{-2 (동아일보)}}}]] [[2022년]] [[2월 18일]], 김정은은 또 다시 건설예정지를 찾아서 착공식을 했다. [[https://www.hani.co.kr/arti/politics/defense/1031756.html|기사{{{-2 (한겨레)}}}]] 이 자리에서 "[[김정은|당중앙]]은 동부전선의 중요 군사기지를 나라의 경제와 과학기술발전에서 큰 몫을 맡아 수고가 많은 [[함흥시]]의 노동계급과 과학자들, [[함경남도]] 인민들을 위해 복무하는 현대적인 남새생산기지로 전변시키기로 결심하고 제8기 제4차 전원회의[* [[2021년]] [[12월 27일]]부터 [[12월 31일]]까지 진행.]에서 련포온실농장 건설을 올해의 가장 중요한 건설 대상으로 결정했다."라고 떠들었다고 한다. [[2022년]] [[10월 10일]], [[조선로동당]] 창건 77주년 기념일에 해당하는 날임에도 김정은은 이곳 준공식을 찾았다. [[https://www.yna.co.kr/view/AKR20221011007200504|기사{{{-2 (연합뉴스)}}}]] 준공식 도중 "나라의 경제와 과학기술발전에서 큰 몫을 맡아 수고가 많은 [[함흥시]]의 로동계급과 과학자들, [[함경남도]] 인민들에게 사철 신선한 남새를 정상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되었다."라며 발언했다. 그리고 같은 날 김정은은 해군사령관인 [[김명식(북한)|김명식]]{{{-2 ([[조선인민군 해군|해군]] [[대장(계급)#조선인민군|대장]])}}}과 모자를 바꿔 쓰고 어깨동무를 하는 파격적인 행보를 보인다. [[https://www.yna.co.kr/view/PYH20221011116800042|기사{{{-2 (연합뉴스)}}}]] 김명식에 대한 신임이 두터운 것으로 추정되며, [[조선인민군 해군]] 병력들도 모여서 [[1호 사진|기념사진]]을 촬영한 것으로 보아 해군 병력이 이 농장 건설에 깊이 관여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북한 사정상 해군 병력들이 해상에서 군사훈련을 하거나 기타 지원 임무는 안 하고 삽질만 불나게 했을 가능성이 농후하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모자 바꿔쓴 김정은-김명식.jpg|width=100%]]}}} || || '''김정은과 해군 병력의 기념사진[br](2022년 10월 11일 공개분)''' || 실제로 북한군이 대거 투입된 사실이 확인됐다. [[2022년]] [[10월 14일]]자 [[로동신문]]은 "련포의 신화를 창조한 병사들의 위훈 조국은 잊지 않을 것이다." 따위 발언으로 선전하면서 관련 사진을 공개했다. [[https://www.news1.kr/photos/view/?5627853|기사#1{{{-2 (뉴스1)}}}]] [[https://www.news1.kr/photos/view/?5627850|#2]] [[https://www.news1.kr/photos/view/?5627854|#3]] [[https://www.news1.kr/photos/view/?5627849|#4]] [[https://www.news1.kr/photos/view/?5627856|#5]] [[https://www.news1.kr/photos/view/?5627855|#6]] 2023년 4월 6일에는 18세 여성 병사가 북한식 표현으로는 전투 임무 사망, 정상적인 관점에서는 고되고 열악한 건설 노동 환경에서 사망하였다고 보도했다. [[https://www.nknews.org/2023/04/north-korea-says-virgin-girl-soldier-died-for-kim-jong-un-at-construction-site|#]] [[분류:북한의 건축물]][[분류:함경남도]][[분류:2022년 설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