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태양계)] ||<-5><#999> MPC 번호 순 [[소행성체|{{{#fff 소행성체 (Minor Planet)}}}]] 찾기 || ||<:>541131 2004 RC,,145,,||←||<:>'''541132 렐레아쿠호누아'''||→||<:>541133 2002 QN,,103,,|| ||<:><-2> 541132 Leleākūhonua[br](2015 TG,,387,,)[br](V302126)[br]--([[V774104]])--|| ||<:> '''구분'''||해왕성 바깥 천체[br][[세드나족]] 천체|| ||<:> '''크기'''||220^^+28^^,,{{{#!html -20}}},, km[* 출처 : Buie, Marc W.; Leiva, Rodrigo; Keller, John M.; Desmars, Josselin; Sicardy, Bruno; Kavelaars, J. J.; et al. (April 2020). "A Single-chord Stellar Occultation by the Extreme Trans-Neptunian Object (541132) Leleākūhonua". The Astronomical Journal. 159 (5). Bibcode:[[https://ui.adsabs.harvard.edu/abs/2020AJ....159..230B|2020AJ....159..230B]]. doi:[[https://doi.org/10.3847%2F1538-3881%2Fab8630|10.3847/1538-3881/ab8630]].]|| ||<:> '''궤도 장반경'''||1010.3855±96.661 [[천문단위]](AU) || ||<:> '''[[원일점]]'''||1955.68905±187.1 천문단위(AU)|| ||<:> '''[[근일점]]'''||65.0819±0.21223 천문단위(AU)|| ||<:> '''궤도 경사각'''||11.6580486°±0.00063654°|| ||<:> '''이심률'''||0.935587057±0.0063684|| ||<:> '''공전 주기'''||32,117.29±4,609년|| ||<:> '''절대 등급'''||+5.5||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541132 Leleākūhonua orbit viewer snapshot.jpg|width=100%]]}}}|| || 렐레아쿠호누아의 궤도와 2026년 1월 1일 기준 위치.[* 안쪽에 있는 것은 해왕성과 천왕성의 궤도다. 이 때가 태양에서 75.5 AU 떨어진 위치로, 태양-해왕성 평균 거리의 약 2.5배 정도다.] || 렐레아쿠호누아(Leleākūhonua)는 [[마우나케아 천문대]]가 카이퍼 절벽(Kuiper cliff)[* 47.8 AU부터 시작하는, [[카이퍼 벨트]] 천체 수가 급감하는 영역. 원인은 현재까지 불명이며 [[지구]]나 [[화성]] 만한 천체의 영향이라는 설이 있다. ] 너머에서 발견한 천체로, [[세드나]]와 [[2012 VP113|2012 VP,,113,,]]에 이어 세번째로 발견된 세드나족 천체다. 임시 명칭은 '''2015 TG,,387,,'''으로 2019년 10월 10일에 이 천체 단 하나만 번호가 붙었으며, [[고블린]]이라는 별칭이 있었다. 이름은 2020년 6월 명명되었으며. [[하와이]]의 신화 쿠물리포(Kumulipo)에서 언급된 생명체가 모티브다. [[반사율]] 0.09 기준으로 약 352 km의 직경을 가진다. 다만 2018년 10월 20일 캐나다에서 관측된 별 [[엄폐]] 현상으로 직경은 약 220km로 나타났으며, 여기서 추산한 반사율은 0.21^^+0.03^^,,{{{#!html -0.05}}},,이다. 궤도 장반경은 세드나의 두 배에 공전 주기는 3배 가량이며, 이로 인해 [[제9행성]]의 존재 근거 중 하나로 쓰이기도 했다. [[2078년]] 근일점에 도달 예정이다. 2020년 6월 기준 3개의 세드나족 천체 중 원일점이 가장 먼 2,000 AU로, 힐스 구름의 구성원으로 추정하고 있다. 해당 천체의 발견으로 현재의 기술로 탐지하기 어려운 천체 여러 개가 먼 곳에 있을 가능성을 시사했으며, 힐스 구름에만 40km 이상의 크기를 가진 천체를 약 200만 개 가량으로 추산했다. 이 정도만 해도 이미 소행성대의 몇 배에 달하는 규모이며, [[명왕성]] 질량의 77%에 달한다. 평균 온도는 -264~-265℃로 [[세드나]]보다 낮다고 추정된다. 원일점에서의 표면 온도는 -267°C(6K) 가량으로 추정된다.[* 항성의 열을 거의 받지 않는 공간도 표면온도가 -270℃는 되고, 행성의 표면온도가 더 낮을 수는 없기 때문에 그 이상 떨어지지 않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 천체가 [[V774104]]와 같은 천체라는 이야기도 있었다. 자세한 건 해당 항목 참조. [[분류:세드나족]][[분류:태양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