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다른 의미, rd1=랜치)] [include(틀:공구)] [목차] == 개요 == 렌치 Wrench 스패너 Spanner [[스크루드라이버]]와 비슷하게 [[너트]]나 [[볼트]] 따위를 죄고 풀며 물체를 조립하고 분해할 때 사용하는 도구. 단어 뜻자체는 '비틀다'는 뜻이다. 스패너나 렌치나 동일한 것으로, 영국, 호주, 뉴질랜드 같은 나라들에서는 스패너라고 부르고 미국식 영어로는 렌치라고 부른다. == 목록 == === 수동 렌치 === ## 가나다abc순 정렬 * [[래칫 렌치]](ratchet wrench): 일명 깔깔이 * 링/폐구형/고리형 스패너: 스패너를 끼우는 방향과 자세가 제한된다. 대신 큰 힘을 주어도 스패너가 쉽게 부러지지 않고, 볼트의 모서리도 잘 뭉개지지 않는다. 공사판 은어로 양쪽 모두 폐구형인 스패너를 메가네라고 한다.[* 일본어 메가네렌치(メガネレンチ)에서 유래한 표현] * [[몽키스패너]](Monkey Spanner) / 구경조절 스패너 (Adjustable Spanner) * [[육각렌치]](hex key, allen wrench): 육각 머리 볼트나 스크류 따위를 조이거나 풀 때 사용한다. 자전거 조립시에 사용하는 육각 렌치가 바로 그것. 한국어로도 "헥스 키"라고 곧잘 부른다. * 잉글리시/C형/개방형 스패너: 다양한 방향에서 다양한 자세로 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대신 너무 큰 힘을 주게 되면 스패너가 빠지거나 턱이 부러지기 쉬우며, 볼트의 모서리가 뭉개지기도 쉽다. * 컴비네이션 렌치: 자루의 한쪽 머리는 링 형태이고, 다른 한쪽은 C형인 스패너. 공사판 은어로 '가다'로 불린다.[* 일본어 카타(片,かた)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 그러나 일본에서는 콤비네이션 렌치(コンビネーション レンチ)라고 부른다.] * 크로스 휠 스패너: 십자가 형태. 십자가 각 끝에 서로 다른 구경으로 4개의 머리가 달렸다. 주로 차량 정비에 쓰인다. 스패너를 볼트/너트에 끼운 후 자동차 운전하듯이 돌려서 볼트/너트를 끼우거나 푼다. * [[토크 렌치]] * 핀붙이 스패너: 스프링으로 볼트 머리의 구경을 자동으로 맞추는 스패너. * 필터 렌치: 카메라, 자동차용으로 사용된다. (물론 각각 다른 제품이다.) 카메라용은 꽉 조여져서 맨손으로 빼낼 수 없는 렌즈나 필터를 돌려서 빼는 용도로 사용되며, 자동차용은 연료 필터 등에 동일한 원리가 적용된다. 집에서 꽉 닫혀진 [[병조림]], [[잼]] 뚜껑 등을 지렛대의 원리로 열어주는 주방용품도([[https://www.simplygoodstuff.com/easy-twist-opener.html|예]]) 메커니즘이 이것과 거의 동일하니 렌치라고 부를 수 있을지도. * 훅 스패너: 갈고리 형태의 스패너. 둥근 나사를 돌린다. * Strap Spanner: 머리가 끈으로 된 스패너. 다양한 구경을 조이거나 풀 때 사용한다. * Chain wrench: 머리가 전기톱처럼 사슬로 된 스패너. 둥근 물체를 조이거나 풀 때 사용한다. * 오프셋(Offset): 옵셋 렌치라고도 부른다. 양 머리 부분이 몸통과 높이 차는 있으나, 평행하다. * U Shaped: 렌치 전체 모양이 U자 형태이다. 간혹 C형 렌치를 의미할 때도 있다. * S Shaped: 렌치 전체 모양이 S자 형태이다. * Twisted: 트위스트 렌치. 양 머리가 직각을 이루도록, 몸통 중간이 90도 뒤틀렸다. * 플렉서블 스패너(Flexible Spanner): 머리 쪽과 몸통 사이에 접음쇠가 들어가, 다양한 각도를 줄 수 있다. * 잭 렌치(Jack wrench): 쟈키/작키/자키/쟉키 등 다양하게 부른다. 특정 물체를 띄우기 위해 쓴다. === 파이프 렌치 === [[파일:파이프 렌치.jpg]] [[배관공]](plumber)의 상징과도 같은 공구. 관(파이프)에 관련된 부속품이나 혹은 관과 관을 연결하는 유니온이나 플랜지같은 부속품이나 관의 방향을 바꿔주는 엘보 등을 조이거나 풀 때 사용한다.[* 주로 엘보나 유니온은 안 쪽에 나사산을 내서 사용한다. 고로 여러분이 살고 있는 집 밖에 설치된 빨간 파이프, 도시 가스관 등에는 다 저 부속품과 강철관을 사용한다.] 머리부분이 유격이 있고 조이거나 풀 때 꽉 물기 때문에 둥근 관에도 사용이 가능하다. 대신 이빨 자국이 남는 게 흠. 물론 급할 때에는 이것으로도 볼트나 너트를 조이고 풀 수도 있긴 하지만 원래 그렇게 쓰라고 만든 물건이 아니기 때문에 일단 굉장히 불편하고, 기본적으로 유격이 있게 만들어지기 때문에 볼트나 너트의 모서리가 뭉개져버려서 본래 사이즈에 맞는 스패너까지 못 쓰게 되어버릴 가능성이 크다. 몽키 렌치([[몽키 스패너]]의 원형[* 물론 현재는 몽키 렌치와 몽키 스패너가 거의 동의어로 쓰인다. 전통적인 형태의 몽키 렌치는 거의 사장되었기 때문.])에 자체 조임 특성 및 경화 된 톱니 모양의 턱을 추가해 기능을 강화한 제품으로, "스틸슨 렌치 (Stillson wrench)"란 이름으로 처음 개발되어 출시하였다. 그래서 외형이 전통적인 몽키 렌치와 매우 유사하다. 거의 톱날 달린 몽키 렌치라고 봐도 될 정도. 이 때문인지 파이프 렌치를 몽키 렌치, 또는 어드저스터블 렌치 등으로 분류해둔 곳들도 있으므로 관련 제품 구입시 조심할 필요가 있다. 비슷한 용도로 멀티그립 [[플라이어]]가 있는데 ([[https://www.totaltools.com.au/hand-tools/pliers/multigrip/single|예]]) 파이프 렌치와 유사하게 쓸 수 있으나 구조상 플라이어에 더 가깝다. 이 쪽은 그립 크기에 대한 자유도가 더 높고 빠르게 변환할 수 있으나, 반대로 동일 사이즈로 고정해놓고 계속 사용하기가 힘들다. 툴 자체가 파이프 렌치에 비해 더 날렵하고 가볍기 때문에 가정용 등 간단한 용도로는 이 쪽을 더 선호하는 사람들도 있다. 여러 매체에서 무기로 많이 나온다. 주로 [[공돌이]] 속성의 캐릭터들이 들고 나오는 편. 실제로도 1미터가 넘는 것(!)도 있을 정도로 크다. 실물울 한 번도 본 적 없는 사람이 일반 스페너를 생각하면서 작을 것 이라고 생각하는데 보통 300mm 이상이며, 모양도 크기도 무기로 쓰기에 딱 좋아 보이는 형태이다. 물론 원래 휘둘러서 무언가를 때리라고 있는 도구가 아닌 만큼 충격이 고스란히 사용자의 손으로 돌아오기 때문에 진짜 무기로 쓰기에는 그다지 적합한 물건은 아니다. 손잡이 또한 휘두를것을 전혀 고려하지 않았기에 무게에 비해 매우 좁고 매끈하며, 따라서 별다른 그립 보강조치 없이 그냥 생짜 그대로 휘두르다간 손에서 빠져나갈 위험성도 매우 크다. 물론 공돌이는 아니었지만 실제로 파이프렌치를 흉기로 사용한 연쇄살인마가 있긴 했다.[* 처음에는 노상에서 레저용 칼이나 식칼로 사람을 해했지만, 시간이 지난 뒤 가택침입, 순간제압이 쉬운 쇠몽둥이(파이프렌치 등등), 방화, 절도로 수법이 진화하긴 했다. 그리고 권일용 교수가 그에 대해 말하길 그는 자신이 면담한 1000명의 범죄자 중 가장 잔혹했다고 평하기도 했다.] === 전동 렌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임팩트 렌치)] == 대중문화에서 == === 게임 === * [[팀 포트리스 2]]에서 [[엔지니어(팀 포트리스 2)|엔지니어]]의 근접 무기로 설정되어 있으며, 주 용도는 건물의 업그레이드와 수리, 센트리 건 탄약의 재보충, 전자 교란기 처리에 사용된다. 자세한 내용은 [[엔지니어(팀 포트리스 2)/무기 목록]]으로. * 단언컨대 [[바이오쇼크]] 1의 최강병기는 바로 이 공구다. 몇 개의 업그레이드 패시브 플라스미드를 장착해주면 그 튼튼한 바운서형 빅대디조차 짓이겨진 고깃덩어리로 만들 수 있다. * [[Critical Ops|크리티컬 옵스]]에서는 할로윈 업데이트때 인간사냥 모드나 직접 뽑을 수 있다. * [[하프라이프: 어포징 포스]]에서 [[에이드리언 셰퍼드]]의 근접무기로 사용된다. * [[카운터 스트라이크 온라인 2]]에서는 근접무기로 사용되는데, 기본 근접무기인 씰 나이프보다 리치가 약간 길다. * [[점비블럭]]에서 등장한다. 첫 시작 시 기본무기로 지급되는데, 5번 때려야 좀비가 죽는다. 좀비보단 딜레이가 빠른 것 빼고는 장점이 없다. 넉백은 좋아서 1~2마리까진 꽤 유리하게 싸울 수 있다. * [[Iconoclasts|아이코노클라스트]]에서는 주인공 로빈의 개인장비로 등장한다. 일단 본래 쓰임새대로 볼트를 조이기는 하는데, 갈수록 갈고리마냥 볼트를 잡아 점프를 하거나, 한손으로 휙휙 돌리며 총알/검 공격을 튕겨내거나, 로빈의 몸에 전기를 충전시키는 등 온갖 해괴한 방식으로까지 활용하는 만능 도구가 된다(...). * [[다크 클라우드2]] - 유리스 * [[던전 앤 파이터]] - [[란제루스의 개]]=게쉔 그리건 * [[라쳇 & 클랭크 시리즈]] - [[라쳇]] * [[리그 오브 레전드]] - [[하이머딩거]] * [[마리오 시리즈]] - [[뚜]] * [[메이플스토리]] - 전사 직업군 * [[메탈슬러그 시리즈]] - [[메탈슬러그 시리즈|알리사 스튜어트]] * [[시스템 쇼크]] - 주인공 * [[바이오쇼크]] - [[잭(바이오쇼크)|잭]] 외 근접 [[스플라이서]]들: 주인공 잭은 플라스미드 업그레이드를 통해 렌치 데미지 업그레이드에 뒤에서 적을 렌치로 기습하면 추가적 데미지를 주는 업그레이드는 물론이고, 렌치로 공격할 때마다 체력을 흡수하는 업그레이드까지 얻을 수 있다. * [[슈퍼로봇대전 Z]] - [[건레온]]: '''우주전함 수리용의 초대형 물건'''을 들고 나온다. 그 외에도 소형의 물건을 집어던지기도 한다. * [[앨리스 시리즈(오토메 게임)|앨리스 시리즈]] - [[유리우스 몬레이]]: [[권총]]으로도 변하며, 스패너 상태에서도 가끔 열받으면 던져서 무기로 쓰는 듯. * [[페르소나 4]] - [[하나무라 요스케]]: 초반 무기로 나온다. 오프닝에도 등장. * [[하프라이프: 어포징 포스]] - [[에이드리언 셰퍼드]]: 근접 무기 2개 중 하나로, 스피드가 느리지만 공격력이 저격소총을 씹어먹는 수준이다. * [[Warhammer 40,000]] [[오크(Warhammer 40,000)|오크]]의 [[멕보이]]: 멕보이 모델 중 스패너를 들고 있는 것들도 있다. * [[데드 트리거 2]] - 저항군 카일: 초반에 쓰다가 이 후 컴뱃나이프 믿 마체테에 밀려 저 멀리 사져버린다. === 드라마, 영화 === * [[가면라이더 지오]] - [[가면라이더 키카이|마키나 렌토]] * [[모범택시(드라마)]] - [[김도기]] * [[대가리]] - 김길수 * [[타짜(영화)|타짜]] - [[김곤|고니]] * [[포드 V 페라리]] - [[켄 마일스]] === 웹툰, 만화, 라이트노벨, 애니메이션 === * [[하이브(웹툰)|하이브]]에서는 [[이은성(하이브)|이은성]]이 초기에 [[린치|참교육용 무기]]로 사용한다. * [[바카노!]] - [[그레이엄 스펙터]] * [[기동전사 건담 철혈의 오펀스]] - [[건담 발바토스]]: 원래 주력 무장으로 썼던 메이스를 분실한 이후 새로이 렌치 메이스를 썼다. * [[죠죠의 기묘한 모험]] - [[시저 안토니오 체펠리]]: 빈민가 시절에만 사용했다. === 마스코트 === * [[에버랜드]] [[마스코트]] 캐릭터 -잭 스패너(호랑이) == 관련 문서 == * [[몽키스패너]]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스패너, version=149)] [[분류:공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