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874년 출생]][[분류:1938년 사망]][[분류:청말의 인물]][[분류:아시아의 총독]][[분류:영국의 외교관]][[분류:영국의 교사]][[분류:영국의 기사]][[분류:에든버러 출신 인물]][[분류:에든버러 대학교 출신]][[분류:옥스퍼드 대학교 출신]] ||<-2> '''{{{+1 Sir Reginald Fleming Johnston}}} [br] 레지널드 플레밍 존스턴 경''''''[br]KCMG[br]CB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Sir-Reginald-St-Johnston.webp|width=100%]]}}}|| ||<|2> '''출생''' ||[[1874년]] [[10월 13일]] || ||[[스코틀랜드]] [[에든버러]]|| ||<|2> '''사망''' ||[[1938년]] [[3월 6일]] || ||[[스코틀랜드]] [[에든버러]]||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영국)]|| || '''직업''' ||[[외교관]]|| || '''학력''' ||[[에든버러 대학교]][br][[옥스퍼드 대학교]] || [목차] [clearfix] == 개요 == 레지널드 존스턴(Reginald F. Johnston)[* 중국명: 莊士敦, 장사돈]은 [[영국]]의 식민지 관료로서 영국령 홍콩의 관료, [[청나라]] 마지막 황제인 [[선통제]]의 [[영어]]교사(제사)를 역임했다. 이후 [[영국령 웨이하이웨이]][* 산동성 [[웨이하이시]]] 마지막 총독을 지냈다. == 생애 == 1874년 [[대영제국]] [[스코틀랜드]]의 [[에든버러]]에서 태어나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학사와 석사를 마쳤다. 중국 문화에 정통하고 중국의 [[군주제]]를 옹호했다. 1919년에는 선통제의 제사(帝師)가 되었고 또한 선통제의 영어 이름인 [[헨리]](Henry)를 지어준 인물이라고 한다. 1924년 선통제가 [[자금성]]에서 추방당한 이후에는 대영제국 관리로 돌아가 위해위 총독으로 근무했다. 1932년에는 영국으로 돌아가 [[런던 대학교]] 동양학과 주임교수로 일했다. 1937년 은퇴한 후에는 스코틀랜드의 작은 섬에 중국식 정원을 꾸며놓고 소일하다가 이듬해 에딘버러에서 별세했다. == 선통제와의 관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선통제존스턴.jpg|width=100%]]}}}|| || {{{-1 ''' [[선통제|{{{#fff 선통제}}}]]와 함께찍은 사진'''}}} || 그는 군주제를 지지했다. 저서《[[자금성]]의 황혼》에 따르면 존스턴은 [[광서제]]의 [[무술변법]]이 성공했으면 중국에도 [[입헌군주제|입헌군주국]]이 들어설 수 있었을 것이라는 주장을 하기도 하고[* 반대급부로 [[서태후]]는 무지하게 까인다.], 1912년 선통제의 퇴위 이후에도 민심에 따르면 [[제정복고]]가 가능 했거나 청나라가 [[만주]]로 후퇴하여 북 - [[청나라]], 남 - [[중화민국]]이 양립 할 수 있었을 것이라는 주장도 하고 있다. 그리고 [[선통제]]가 1924년 [[톈진]]으로 망명했을 때에는 이를 긍정적으로 기술했고 [[만주국]] 역시 청나라의 연장선 그리고 [[제정복고]]의 성공으로 보는 측면이 있다. 물론 존스턴은 1938년 사망하여 [[중일전쟁]]과 [[제2차 세계 대전]]을 제대로 겪지 않았다는 것을 감안해야 한다. 존스턴은 [[선통제]]에 대해 매우 친밀한 감정을 갖고 있었으며, 소년이었던 선통제가 [[자금성]] 안의 [[청나라 소조정]]에서 지내는 것이 건강과 발육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걱정하여 [[중화민국]]과 맺었던 [[청나라 소조정#s-2|황실 우대 조건]]에 나온 대로 [[이화원]]의 별궁으로 옮기자는 주장을 끊임없이 했다. 이를 추진하면서 청실 소조정의 내무부가 관리하던 이화원을 1923년부터 존스턴이 황실감독관[* 판사대신, [[만주어]]로는 암반]이 되어 관리하게 되었다. 이 때에 존스턴은 [[광서제]]가 감금되었던 옥란당을 직접 확인할 수 있었다. == 저서 == * 자금성의 황혼(Twilight in the Forbidden City) - [[1934년]]작으로 [[청나라 소조정]] 시대를 연구하는 데, 가장 중요한 저서로 손꼽힌다. 영화《[[마지막 황제]]》시나리오에도 영향을 주었으며, 영화 결말부에 [[선통제]]가 [[중화인민공화국]]으로 송환되어 재교육 받는 장면에서 이 책이 등장한다. 아이러니해 보이지만 [[마오쩌둥]]도 이 책으로 [[영어]] 공부를 했으며 마오가 가장 좋아했던 영어 원서도 바로 이 책이라고 한다. 마오 정권이 신중국 수립 후 푸이를 핍박하지 않은 데에 간접적 영향을 주지 않았나 추정되고 있다. * 북경에서 만달레이까지(From Peking to Mandalay) * 화북의 사자와 용(Lion and Dragon in Northern China) * 유교와 현대중국(Confucianism and Modern China) * 불교도의 중국(Buddhist China) == 기타 == * 영화《[[마지막 황제]]》에서는 [[피터 오툴]]이 연기했다. * [[약혼]]하거나 가까이 지내는 여자들은 있었으나, 평생 [[독신]]이었다. * 31대 [[연성공]]인 [[쿵링이]]와 만나 같이 기념사진을 찍고 [[에드워드 7세]]의 어진을 전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