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RWBY/등장인물)] || [[파일:레이븐_가면.png|width=100%]] || [[파일:레이븐_맨얼굴.png|width=100%]] || || '''{{{#bfafb2 가면을 쓴 모습}}}''' || '''{{{#bfafb2 가면을 벗은 모습}}}''' || ||<-2> '''{{{#bfafb2 {{{+2 Raven Branwen}}}}}}'''[* 까마귀의 Raven에서 유래된 이름이다.][br]'''{{{#bfafb2 {{{+2 레이븐 브런웬}}}}}}''' || [목차] == 개요 == >'''The weak die. The strong live. Those are the rules.''' >[[약육강식|약한 자는 죽고, 강한 자는 살지]]. 그게 규칙이야. [[RWBY]]의 등장인물. 성우는 안나 헐럼(Anna Hullum)[* [[루스터 티스]]의 공동설립자이자 현 최고경영자인 동시에 [[RWBY]]의 총감독을 맡고 있는 매트 헐럼(Matt Hullum)의 부인.]이 맡았다. 일본판 성우는 [[하야시바라 메구미]]. == 특징 == [include(틀:스포일러)] [[타이양 샤오롱]]의 전처이자 [[크로우 브런웬]]의 누나이며, [[양 샤오롱]]의 친 어머니다. 과거 비콘의 학생이었으며 타이양, 크로우, [[섬머 로즈]]와 함께 팀 STQR의 멤버였다. 타이양과 결혼했지만 양이 태어난 후 얼마 안가 떠났다고 한다. 현재는 브런웬 도적단의 리더로 있으며 어째선지 [[오즈핀]]을 적대하고 있다. * 초기 모델링은 양의 팔레트 스왑 수준이었지만 모델링이 정교해진 볼륨 4부터 눈가에 주름이 조금 생기거나 앞머리의 질감이 까마귀 깃털같이 뾰족해졌다. 그리고 크로우와 비슷하게 머리카락에 중간중간 새치같은 것이 생겼다. * 장갑을 끼는데, 불륨 2에서는 손을 모두 가리지만 볼륨 4에서는 손가락 부분이 드러나 있다. * 파악하기는 어렵지만, 잘 쓰는 손은 오른손이다. * 라이온하르트 교수의 언급에 따르면, 크로우와 실력은 막상막하인 듯 하다. == 능력 == === 무기: Omen[* 공식 설정북에서 밝혀진 명칭. 크로우의 무기인 Harbinger와 의미가 유사하다.] === 손잡이에 탄창과 방아쇠가 부착된 듯한 형상의 검. 작중 등장하는 다른 무기들처럼 총기류와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칼집에는 [[와이스 슈니|와이스]]의 "미르테나스터"에 장착되어 있는 것과 유사한 리볼버 형태의 장치가 있다. 여기에 더스트가 들어있어 와이스와 마찬가지로 칼날에 여러 속성을 부여할 수 있을 것이라는 추측이 있다.[* 와이스와의 차이점은 전투의 중간 중간 칼을 다시 칼집에 넣었다가 빼는 액션에 있다. 와이스는 검에 있는 실린더를 회전시켜 원하는 더스트를 바로 사용하는 반면, 레이븐은 검집에 더스트를 수용하는 실린더가 달려있기에 필요한 더스트를 사용하려면 검집에 다시 검을 넣어야 하기 때문.] 칼날이 칼집보다 훨씬 길다. 칼집 속에서 나오는 순간 칼날이 더 길어지는 것을 보면 평소에는 압축되어 있는 듯. 볼륨 5 13화에서 압축된 칼날의 압축을 풀어 그 반동으로 칼을 날려보내는 [[아담 타우러스|누군가]]와 비슷한 방법으로 사용하는 장면이 나온다. 칼날이 깨지고 겁집에 넣어 다시 생성되는 묘사가 여러번 나오는 걸 보면 검신 자체가 더스트로 이루어진 걸로 보인다. 칼집은 여러 더스트를 보관하는 동시에 필요에 따라 더스트를 흘려보내 검신의 형태를 잡아 굳히는 [[형틀|거푸집]]이란 추측이 있다. 리볼버 형태의 속성 부여 장치나 더스트 보관집 및 거푸집이란 추측과 달리 미리 제작한 여러 속성의 더스트 검신을 칼집에 보관하여 검신이 부서지거나 다른 속성을 사용할 때 교체하는 것으로 보인다. 볼륨 2 11화를 잘 보면 검신 형태로 보이는 얇은 것들이 원으로 둘러싸 리볼버 형식으로 돌아간다는 걸 알 수 있다. 즉, 칼집 안의 기계장치로 언제든지 손잡이만 꽂아넣으면 교체할 수 있는 압축 칼날 교체 및 보관집이다. 평소에 그림의 투구 같은 헬멧을 쓰는데, 이는 단순히 상징일 뿐만 아니라 [[메이든|어떤 힘]]을 숨기기 위한 용도이기도 하다. === 셈블런스: 혈연 연결(Kindred Link) === [[파일:raven_semblance.png]] [[공간전이|공간에 직접 간섭하여 전이를 일으키는]]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공식 설정북에서 밝혀진 명칭은 Kindred Link다. 거리에 상관없이 이동할 수 있으면 사기적이나 제약이 있다고 한다. 미리 사람을 대상으로 연결 고리를 남겨야 하는데 현재 연결 고리를 남긴 것은 양, 타이양, 크로우 3명인 것으로 나온다.[* 4번째 마킹 대상으로 추측되던 버날은 사망하였다] === 마법 === ||
[[파일:V3e3_crow.png|width=100%]] || [[파일:V4_04_00059.png|width=100%]] || || 볼륨 3 3화 It's Brawl in the Family || 볼륨 4 4화 Family || * 까마귀 변신 오즈핀에게서 받은 능력으로 까마귀로 변신할 수 있다. 크로우도 가지고 있는 능력으로 그동안 이 능력을 사용해서 몰래 가족들이나 적들의 동향을 파악하고 있었다. * 메이든: 봄 전대 봄의 메이든을 살해하고 얻은 능력이다. 자세한 능력은 나오지 않았다. == 작중 행적 == === 볼륨 2 === * 볼륨2 11화에서 네오가 [[양 샤오롱|양]]을 쓰러뜨린 후 우산의 예검을 뽑아 끝장을 내려 할 때 갑자기 허공에서 나타나 네오를 공격하는것으로 첫 등장. 그 강했던 네오를 단 2합 만에 물러나게 한 뒤 포스만으로 네오를 도망치게 만든다. 그리고 쓰러진 양을 잠시 응시하더니 칼을 공중에 휘둘러 붉은 포탈을 열어서 유유히 퇴장한다. * 볼륨 2 12화에서는 양 앞에 나타나 가면을 벗으며 모습을 드러내는데... [* 정작 이 장면은 볼륨 3에서 다루어져있지 않아서 맥거핀으로 남아있다. 유출된 정보에 따르면 '''원래 레이븐과 팀 JNPR의 전투 장면이 볼륨 3에 들어갔어야 했는데, 몬티 옴 사후 루스터 티스가 그 장면을 고의적으로 삭제'''했다고 한다.] ||
[[파일:O3xdzzc.jpg|width=100%]]|| || '''We have a lot to talk about.''' [br] 우리 서로 할 말이 많겠구나. || 얼굴이 [[양 샤오롱|양]]과 많이 닮았다!! 흑발이지만 머리카락의 곱슬거리는 질감까지 양과 비슷해서, 양의 머리카락에서 색깔만 바꾼 듯한 모습이다. 심지어 [[바보털|정수리에 삐친 머리카락]]까지 똑같다. 눈동자의 색깔은 붉은색인데, 양도 레이븐을 마주보면서 자신의 눈동자를 붉게 바꾸었다. [[파일:UnvBsAM.jpg|width=60%]] 이때의 모습은 마치 [[팔레트 스왑|옷과 머리색만 바꿔놓은 같은 사람]]을 보는 듯한 느낌을 준다. 양과 상당히 밀접한 관계가 있는 인물임을 보여주려 한 듯. 팬들 사이에서는 레이븐이 양의 친모라는 것이 기정사실화된 상태였는데, 3기 8화의 양과 크로우의 대화에서 양의 친모임이 확정되었다. 크로우에게 가끔 정보를 얻어가며 생사만 이따금 확인하는 정도였다 하며, 때를 기다리고 있었다는 크로우의 발언을 볼 때 무언가 목표를 위해 의도적으로 자취를 감춘 것이라고 추측된다. === 볼륨 4 === * 볼륨 4 4화에서 다시 등장해 크로우와 만나 대화를 나누는데, 크로우가 양을 구해준건 단 한 번뿐이고 그것이 레이븐의 방식일 뿐이라고 말했다. 즉 딸이 소중해서 구한게 아니라 그냥 규칙을 지키기 위해 구했다는 것.[* 볼륨 5에서 레이븐이 내심 양을 사랑하는 모습을 보면 크로우의 저 말은 틀렸을 가능성이 높다.] 게다가 결정적으로 딸이 팔이 잘리고 심각한 상황에 빠졌음에도 그쪽은 묻지도 않고 관심을 가지지도 않고 오로지 적인 세일럼에 대해서만 묻는 것, 그리고 약한 자는 죽고 강한 자는 살아남는다는 본인의 언급을 보아 현재 속해있는 부족[* 크로우의 출신지이기도 하며 살인자이자 도적들이라고 폄하했다. 이후 바큐오도 이렇게 부른 걸 보면 바큐오 왕국의 조직일 듯하다.][* 크로우의 "시온 사람들도 봤겠지"라는 언급을 봐서 루비 일행이 볼륨 4 2화에서 들른 시온 마을을 습격한 도적인 것으로 보인다.]의 규율과 같은 부족의 일원들만을 가족으로서 소중히 여길 뿐인 듯 하다. 크로우에게 이전에 오즈핀이 죽고 비컨이 함락될 것이라는 이야기를 한 적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고, 세일럼에 대해서도 알고 있는 것으로 나온다. 현재 크로우도 모르고 있는 봄의 메이든의 위치를 알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 볼륨 4 9화에서 전남편인 타이양에게 언급되는데 양과 비슷하게 강하고 야망이 컸다고 말하고 지킬 가치가 있는 것을 지키려 하는 마음을 가졌다고 한다. 하지만 긍정적인 면모만 있는 것은 아니었고 그런 단점들이 팀과 가족들을 갈라지게 만들었다고 한다. === 볼륨 5 === * 1화에서 크로우의 언급으로는 브런웬 부족을 이끌고 있으며 봄의 메이든을 일원으로 받아들였다고 한다. 브런웬 부족의 악명은 자자한지 같은 일족으로 보이는 크로우는 도적떼라며 폄하하고 레오나르도 교수는 봄의 메이든이 거기에 있다는 말에 골치 아파한다. 또한 양이 정보 수집을 하러 갔을 때 어떤 주민은 레이븐의 이름 꺼내는 것조차 꺼리고 레이븐을 찾는 양에게 역이지 않는게 좋다며 경고한다. * 2화에서 추락한 화물선에 있던 [[와이스 슈니]]를 발견한다. 동료들에게 잭 팟을 터뜨렸다며 기뻐하고 그대로 그녀를 납치한다. * 4화에서 드디어 [[양 샤오롱|딸]]과 대면한다. 자신을 찾아낸 양을 칭찬하지만 반농담으로 자기 부하들에게 그렇게 모질게 굴어야 하냐고 말한다. 이래저래 딸이라고 나름 챙겨주려 하지만 양은 레이븐이 목적이 아니었고 레이븐의 셈블런스로 루비를 찾아가려고 했던 것이다. 레이븐은 양이 루비를 찾는다는 말에 영 탐탁치 않아하는 모습을 보이고 루비가 이미 크로우와 있다면 너무 늦었다며 의미심장한 말을 한다. 양이 이에 대해 물어보자 발을 들어서면 안되는 영역이고, 오즈핀은 신뢰할 수 없는 남자고 그를 따르는 크로우도 멍청하다고 디스한다. 하지만 양은 그런 거에는 신경도 쓰지 않았고 계속 루비에게 데려가 달라고 하자 참으로 고집이 세다며 한탄한다. 레이븐은 부하들에게 양을 데리고 가라고 시키지만 양과 부하들 사이에서 트러블이 생긴다. 설정가상으로 양의 친구인 와이스를 납치한 것마저 들켜서 일이 더 커지려 하자 버날을 시켜서 제지하고 그녀에게 와이스의 무기를 돌려주라고 시킨다. 그리고 양과 와이스에게 루비를 찾으러 가고 싶다면 진실을 알아야 한다며 자신의 천막으로 부른다. * 6화에서 자신이 아는 사실에 대해서 일부를 양과 와이스에게 설명해주는데, 애초에 자신과 크로우는 도적단에 방해되는 헌츠맨과 싸우는 것을 배우기 위해 아카데미에 입학했으며, 오즈핀은 그들과 팀 STRQ를 눈여겨 봤으며, 그 후 오즈핀이 그들에게 협조를 구하면서 알게된 진실과 마법, [[세일럼(RWBY)|세일럼]]의 존재를 듣고 그의 과거들을 조사하게 되었다고 한다. 처음에는 양과 와이스는 이를 믿지 않았으나, 자신이 직접 까마귀에서 본모습으로 변하는 것을 보여줘서 마법의 존재를 증명하고 자신의 편에 남아서 남은 이야기들을 들을지 아니면 크로우처럼 오즈핀의 편에 설지 선택하라고 한다. 자신이 아닌 오즈핀을 선택한 양에게 다음에는 친절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지만 양의 이번에도 그렇게 친절하지는 않았다는 말을 하고 포탈로 들어가는 모습에 자신도 안다며 약간 후회하는 듯한 모습을 보인다. * 9화에서 캠프에 찾아온 신더 일행에게 유물을 찾게 버날을 넘기라고 듣게되나, 순순히 넘겨주지 않는다. 이후 화이트팽이 곧 헤이븐 아카데미를 습격할 계획과 그 순간을 틈타서 라이온하트 교수의 협력으로 몰래 유물만 챙겨가려 한다는 신더일행의 이야기를 듣고, 공공의 적인 [[크로우 브런웬]]을 처리한다는 조건과 일이 끝나면 세일럼이 그들 부족에게 더이상 관여하지 않겠다는 조건하에 신더일행에게 협력한다. 하지만 세일럼이 [[토사구팽|자신의 부족을 그냥 내버려둘 일이 없다]]는 것을 미리 예상하고 유물을 자신들이 가로채려는 계획을 세운다. 이후 크로우를 몰래 정찰하러 떠난다. * 12화에서 유물이 보관된 금고로 [[버날]], 신더, 레이븐 단 셋이서 내려가서 금고의 문을 버날이 열려고 할때 신더에 의해 얼려지는 기습을 당한다. 이후 신더는 버날의 봄의 메이든의 힘을 뺐으려 하지만, 힘이 없는 것을 알아차린 순간 얼음을 깨고 '''자신이 봄의 [[메이든]]임을 밝힌다'''. * 13화에서 메이든의 힘을 가진 신더와 호각의 결투를 이루고 마지막으로 버날의 최후의 도움으로 신더를 얼리고 절벽으로 떨어트린다. 버날의 죽음에 애도를 표한 후 금고의 문을 연다. * 14화에서 내려온 양과 마주하게 된다. 이후 강함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그리고 세일럼에 대해 어떻게 대항하려 하는지에 대해서 다투게 된다. 양이 레이븐을 찾으려고 세일럼이 자신에게 찾아올수도 있다는 말에 내심 동의한다. 그리고 레이븐이 살아남기 위해 다른 사람들 뿐만 아니라 예전의 레이븐마저 죽였다는 비판에 크게 동요하고, 결국에는 오즈핀에게 유물을 맡기기로 결정하고 양이 자기 대신 유물을 가져가게 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눈물을 흘리며 미안하다고 말한 뒤 까마귀로 변해 사라진다. 크레딧이 다 올라가고 타이양이 나오는데, 이때 그 앞에 깃털이 떨어진다. == 여담 == * 그녀의 주요 암시는 [[에드거 앨런 포]]의 [[갈까마귀(시)]]의 까마귀이다. 타이양, 섬머, 레이븐이 각각 시의 화자, 화자의 죽은연인 레노어, 화자 주위를 떠도는 까마귀에 대응한다. 사실 대부분 시청자들이 레이븐이란 이름을 듣자마자 이 시를 떠올린게 현실이다. 시의 화자가 쫒아버리려 해도 까마귀는 떠나지 않고 계속 곁에서 머무르는데, 레이븐은 가족 곁을 멀리 떠난 적이 없다는 것도 옐로우 트레일러와 볼륨2시점까지 묘사가 일치한다. 하지만 볼륨3 이후 RWBY가 엉망이 되면서 전혀 들어맞지 않게 된다. * 크로우와 함께 북유럽신화에서 [[오딘]]이 데리고 다니는 까마귀 후긴과 무닌에 해당한다. 볼륨2 6화에서 양이 블레이크를 설득하면서 처음으로 크로우와 레이븐을 언급할때 칠판에 써있다. [* Hugin and Munin fly each day over the spacious earth. I fear for Hugin, that he come not back, yet more anxious am I for Munin.(후긴과 무닌은 매일 넓은 지구 위를 날아다닌다. 나는 후긴이 돌아오지 않을까 두렵지만, 나는 무닌이 더 걱정된다.) 흐려서 알아보기 힘들지만 [[에다]]의 Grímnismál 영어 번역본을 그대로 가져왔다. [[파일:후긴과 무닌.webp|width=100%]]] * 한때 동료였던 [[섬머 로즈]]와의 관계는 불명. 자신을 어떻게든 설득하려는 루비와 대화할 때 "네 어머니랑 판박이구나."라고 비꼬듯이 말한 걸로 보아 과거에는 몰라도 지금은 섬머를 좋아하진 않는 걸로 보인다. * 그녀의 숨겨져 있던 암시는 [[https://en.wikipedia.org/wiki/The_Seven_Ravens|일곱 마리 까마귀]]에 등장하는 '까마귀로 변한 형제들'이다. 동화의 주인공 딸은 레이븐의 친딸 양 샤오롱에 해당하며, 레이븐은 주인공이 되찾아야 할 가족인 까마귀들에 해당한다. 이미 옐로우 트레일러때부터 복선이 있었으며 RT가 RWBY를 엉망으로 만들었다는 결정적인 증거자료 중 하나다. === 설정 변경 === 레이븐은 몬티 옴 사후 RWBY의 방향성이 완전히 틀어졌음을 가장 잘 느낄 수 있는 캐릭터 중 하나다. 원래 볼륨 3에서 등장해야했는데 뒤로 밀려버렸고[* 덤으로 팀 JNPR와의 전투씬까지 잘려버렸다.], 비슷하게 등장한 크로우, 윈터 슈니, 오스카 파인은 묘사가 그나마 일관적인 것에 반해 레이븐은 볼륨 2에서의 묘사와 이후 볼륨 4부터 묘사되는 것이 판이하게 다르기 때문이다. 등장하는 과정도 날림인데 그냥 '크로우가 위치를 알려줬다'로 퉁쳐버리고 끝나버린다. 등장전 주요 떡밥이었던 사진[* 정확히는 사진 뒤 메모.]과 장소가 정확히 뭐였는지는 잊혀졌다. 양이 레이븐을 찾아간 이유도 어머니 찾기가 아닌 루비를 찾기 위해서인데 사유가 '루비가 헤이븐으로 가는 중인지는 알지만 정확한 위치를 모르기에 레이븐의 셈블런스를 이용해 루비와 같이 있는 크로우의 위치로 이동한다'라는 해괴망측한 내용이다. 그냥 헤이븐에 먼저가서 기다리면 되는 거 아니냐는 의문이 안들 수 없고 실제 레이븐을 만나고 있을 때 '''루비는 이미 헤이븐에 있었으니''' 블랙코미디가 따로 없는 것이다. 양의 고유서사는 자신의 어머니를 찾아가는 여정이었던 만큼 원래 긴 스토리가 등장해야 했는데 RT가 고의적으로 없애버린게 분명한 부분이다. '일곱 마리 까마귀' 동화의 다른 부분은 다 반영되어 있는데 주인공이 해, 달, 별을 만나는 부분만 생략된 것과 헤이븐 아카데미 스토리가 엉망이었음[* 학교가 배경이면서 정작 교사와 학생들이 증발했다.]으로 유추할 수 있다. 결국 브런웬 부족이란 설정은 그저 양과 레이븐의 서사를 망쳐놓는 수단에 불과했던 것. 실제로 이들은 그저 시정잡배로만 묘사되고 스토리에 그 어떠한 역할도 없어 없어져도 무방한 존재들이다. 고독한 방랑자 캐릭터여야 했던 레이븐이 특정지역에 거점잡고 주렁주렁 부하들 대동한 채로 틀어박혀 있는 모습으로 등장한건 말도 안되는 일이었다. 과정이 어찌됐든 '일곱 마리 까마귀'결말에 따르면 결국 레이븐은 가족들과 화해한뒤 집에 돌아오는 결말을 맞이할 예정이었다. 즉, 레이븐은 처음부터 루비의 새어머니가 되어줄 캐릭터로 설계된 캐릭터였다. 따라서 레이븐은 단순히 친딸인 양뿐만 아니라 루비와의 관계도 꽤 중요한 문제였는데 어른들은 쉬쉬하고 양도 블레이크를 따로 불러내서 이야기하는 등 루비가 레이븐과 관련해서 고민하는 묘사는 일절 등장하지 않았음를 보면 루비는 볼륨 3 시점까지도 양의 친모에 대해 전혀 몰랐을 가능성이 높다.[* 둘다 [[섬머 로즈]]의 친딸이고 단순히 언니는 아버지를 닮았고 자신은 어머니를 닮았다고 생각했을 가능성이 농후하다.] 루비가 이 복잡한 가족 문제에 대해 어떤 고민도 한 적이 없는데 이후에는 당연히 알고 있는 것으로 나오고[* 루비뿐만 아니라 팀 JNR까지 당연하단 듯이 아는 날림전개로 묘사된다.] 이 문제를 고민하지도 않는다. 루비뿐만 아니라 양도 레이븐에 대해 더 이상 관심이 없다. 결국 볼륨 2에 이미 등장해버렸기에 어쩔수 없이 재등장한 것이지 그냥 없었던 캐릭터로 치부 할정도로 비중이 없고 내용전개에 이상이 없는 위치에 있다. 이후 내부폭로에 의하면 볼륨3에서 등장하는게 맞았다고 한다. 팀 JNPR와 1:4 전투장면까지 있었다고.[* 흥미로운 내용이라서 그런지 팬무비까지 나왔다.[[https://www.youtube.com/watch?v=FfY6e_C7oIY|#]]] 사실 내부폭로뿐만 아니라 제작자 코멘토리에서 볼륨 3에 등장하려했는데 분량때문에 등장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볼륨 3에서 오히려 레이븐이 등장해야하는 것이 우선시돼야 했음을 생각하면 볼륨 3 후반부 전개 스토리는 '''루스터 티스의 날조라는 사실'''을 알 수 있게 된다. === 레이븐이 가족을 떠난 이유 === 위의 설정 변경과 이어지는 문제인데, 날조된 브런웬 부족과 유물을 빼면 레이븐은 처음부터 떠날 이유가 없었다. [[분류:RWBY/등장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