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917년 출생]][[분류:1993년 사망]][[분류:캐나다의 남배우]][[분류: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입성자]] ||
{{{#ffffff '''레이먼드 버의 주요 수상 및 수훈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0C0000><-5> {{{#E5D85C ''' 역대 [[에미상|{{{#E5D85C 프라임 타임 에미상}}}]] 시상식 ''' }}} || ||<#FFFFFF,#191919><-5> [[파일:emmylogo.png|width=160]] || ||<#0C0000><-5> {{{#E5D85C '''남우주연상 - 드라마 부문'''}}} || || ''' 제10회 [br] ([[1958년]]) ''' || {{{+1 → }}} || ''' 제11회 [br] ([[1959년]]) ''' || {{{+1 → }}} || ''' 제12회 [br] ([[1960년]]) ''' || || 라버트 영[br](Father Knows Best) || {{{+1 → }}} ||<#FFFFFF,#191919> ''' 레이먼드 버[br]([[페리 메이슨]]) ''' || {{{+1 → }}} || [[로버트 스택]][br](The Untouchables) || ||<#0C0000><-5> || ||<-5> || || ''' 제12회 [br] ([[1960년]]) ''' || {{{+1 → }}} || ''' 제13회 [br] ([[1961년]]) ''' || {{{+1 → }}} || ''' 제14회 [br] ([[1962년]]) ''' || || [[로버트 스택]][br](The Untouchables) || {{{+1 → }}} ||<#FFFFFF,#191919> ''' 레이먼드 버[br]([[페리 메이슨]]) ''' || {{{+1 → }}} || E. G. 마셜[br](The Defenders) || ||<#0C0000><-5> || ---- [include(틀: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입성자,한글명=레이먼드 버,영어명=RAYMOND BURR,분야=텔레비전,입성날짜=1960년 2월 8일,위치=6656)] ---- }}} || ||<-2> '''{{{+1 레이먼드 버}}}[br]Raymond Burr''' || ||<-2>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Raymond_Burr_profile.jpg|width=100%]]}}} || || '''본명''' ||레이먼드 윌리엄 스테이시 버[br]Raymond William Stacy Burr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캐나다)] || ||<|2> '''출생''' ||[[1917년]] [[5월 21일]] ||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뉴웨스트민스터]] || ||<|2> '''사망''' ||[[1993년]] [[9월 12일]] (향년 76세) || ||[[미국]] [[캘리포니아주]] 힐즈버그 || || '''묘지'''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뉴웨스트민스터]] 프레이저 공동묘지|| || '''직업''' ||[[배우]]|| || '''영화 데뷔''' ||1946년, 'Without Reservations'|| || '''활동 기간''' ||[[1934년]] ~ [[1993년]]|| || '''배우자''' ||^^아내^^이저벨러 워드^^(1948년~1952년 이혼)^^[br]^^파트너^^라버트 베너비더스^^(1960년~1993년 버의 사망)^^ || [목차] [clearfix] = 개요 = 캐나다 출신의 미국 배우. = 생애 및 활동 = 캐나다에서 [[아일랜드]]인 장비 영업사원 윌리엄 버(William Burr)와 [[잉글랜드]] 및 [[스코틀랜드]] 혈통인 피아노 연주자 미너버(Minerva)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가족은 1923년 [[캘리포니아]]로 이주했는데, 어머니는 곧 외가에서 경영 중이던 호텔로 거처를 옮기고 아버지와 이혼한 뒤 무성 영화 극장에서 반주자로 일하기 시작했다. 샌 러펠 군대식 사립학교(San Rafael Military Academy)에 들어갔지만 어려서부터 통통했던 버는 살쪘다는 이유로 동기들에게 심한 괴롭힘을 당했다. 버클리 고등학교로 옮기고 졸업 후 생계를 위해 한동안 막노동에 종사했는데 이 과정에서 살이 빠졌고, 패서디너 플레이하우스(Pasadena Playhouse) 등의 무대에 서며 연극을 시작했다. 1940년 연극 "Crazy with the Heat"로 [[브로드웨이]] 데뷔를 했다. 1944년 패트릭 해멀튼[* Patrick Hamilton. 1904 - 1962. <[[로프(영화)|로프]]>(1948)와 <[[가스라이팅|가스등]]>(1940)의 원작 희곡을 썼다.]의 "Duke in Darkness" 공연을 본 할리우드 에이전트의 눈에 띄어 스크린 테스트를 받고 [[RKO 라디오 픽쳐스]]와 계약에 들어갔다. 영화 데뷔작은 [[클로뎃 콜베어]]와 [[존 웨인]]이 주연한 (1946)이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aymond_Burr_1946.jpg|width=100%]]}}} || ||<#fff> 1946 || 곧 레이먼드 버는 자신의 장신과 건장한 골격을 활용해 조연 전문으로 일하는 게 좋겠다고 판단해 일부러 다시 살을 찌워나갔고 진한 이목구비, 짙은 머리카락과 눈썹, 엄중한 목소리를 무기로 (1947), (1948) 등에서 경찰이나 잔인한 조폭 역할을 도맡게 되었다. 그러나 흥행작 <[[젊은이의 양지(영화)|젊은이의 양지]]>(1951)에서 검사 역을 인상적으로 연기해 주목을 받으면서 권위 있어 보이는 법조인 역할도 충분히 가능하다는 걸 증명했다. (1953)에선 정반대로 범죄 피해자 역을 맡기도 했다. [[앨프리드 히치콕]]의 <[[이창(영화)|이창]]>(1954)에선 다시 본인의 장기로 돌아왔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urr_Rear_Window_1954.png|width=100%]]}}} || ||<#fff> <이창>(1954) || 1957년, <[[젊은이의 양지(영화)|젊은이의 양지]]>(1951)에서 선보였던 인상을 바탕으로 [[CBS(미국)|CBS]] TV 드라마 [[페리 메이슨]](1957-66) 주인공 역을 따냈다. 드라마는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으며, 버는 이를 통해 [[에미상]]을 두 번 수상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urr_Perry_Mason_1957_66.jpg|width=100%]]}}} || ||<#fff> 페리 메이슨(1957-66) || 그러나 반대급부로 페리 메이슨 이미지가 너무 심하게 굳어져버렸고, 업계에선 향후 버의 연기 활동에 큰 차질이 있을 거라는 관측이 돌았다. 페리 메이슨이 종료되자 버의 에이전트까지 은퇴를 권유했다. 그러나 바로 다음해에 총알이 척추의 신경을 관통해 휠체어 신세가 됐음에도 특별 수사대를 지휘하게 된 형사부장이 주인공인 [[NBC]] 신작 드라마 "아이언사이드"(1967-75)로 다시 대박을 터트리며 화려한 TV 전성기를 이어나갔다. 이 작품으로 [[에미상]]에 6번, [[골든 글로브]]에 2번 후보로 올랐지만 아쉽게도 수상엔 실패했다. 이후 NBC에서 전속 수준으로 일했으며, NBC 대작 미니시리즈 "Centennial"(1978-9)에도 출연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urr_Ironside_1967_75.jpg|width=100%]]}}} || ||<#fff> 아이언사이드(1967-75) || 1985년부터 를 시작으로, 나이가 지긋해지고 [[판사]]가 돼있던 노년의 페리 메이슨이 다시 변호사로 돌아와 활약하게 되는 [[페리 메이슨]] TV 영화들을 암으로 사망하기 직전까지 NBC에서 총 26편 찍었다. 사망한 해에 NBC에서 역시 비슷한 기획으로 노년의 아이언사이드를 묘사한 TV 영화 (1993)를 찍었다. 유작은 페리 메이슨 TV 영화 (1993)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urr_Perry_Mason_1985_93.jpg|width=100%]]}}} || ||<#fff> 페리 메이슨(1985-93) || = 주요 출연 작품 = * 1946 Without Reservations[* 크레딧 미기재. 머빈 러로이 연출. [[클로뎃 콜베어]], [[존 웨인]], [[케리 그랜트]](크레딧 미기재) 출연.] * 1947 Desperate - 월트 레이댁[* [[앤서니 만]] 연출. [[제이슨 로바즈]] 출연.] * 1948 Raw Deal - 릭 코일[* [[앤서니 만]] 연출. 클레어 트레버 출연.] * 1948 Pitfall - J.B. "맥" 먹다널드[* 안드레이 드토스 연출. 딕 파월, 제인 와이엇 출연.] * 1949 Abandoned - 케릭[* 조저프 M. 뉴먼 연출. 제프 챈들러, 마저리 램보우 출연.] * 1949 Love Happy - 알폰스 소토[* 데이비드 밀러 연출. [[메리 픽포드]] 제작. [[막스 형제]]의 13번째이자 마지막 장편 영화 출연작. [[매럴린 먼로]] 출연.] * 1950 Unmasked - 라저 루이스[* 조지 블레어 연출.] * 1950 Key To The City - 시의원 레슬리 "레스" 태거트[* 조지 시드니 연출. [[클라크 게이블]], [[로레타 영]], 프랭크 모건, 루이스 스톤 출연.] * 1951 His Kind of Woman - 닉 퍼래로우[* [[로버트 미첨]], 제인 러슬, [[빈센트 프라이스|빈선트 프라이스]] 출연. 원 감독 존 패러우가 [[RKO]] 수장 [[하워드 휴즈]]에게 완성본을 제출하자 휴즈는 대본을 뜯어고치고 배우를 새로 뽑고 [[리처드 플라이셔]]에게 재촬영을 시켰다.] * 1951 [[FBI]] Girl - 블레이크[* 윌리엄 A. 버크 연출. [[조커(DC 코믹스)/각종 매체#초대: 시저 로메로|시저 로메로]], 조지 브렌트, 오드리 타터 출연.] * 1951 Bride Of The Gorilla - 바니 챠베즈[* 커트 시오드맥 대본/연출. 란 체이니 주니어 출연.] * 1951 [[젊은이의 양지(영화)|젊은이의 양지]](A Place in the Sun) - R. 프랭크 말로우 검사 * 1952 Meet Danny Wilson - 닉 드리스컬/조우 마텔[* 조저프 페브니 연출. [[프랭크 시나트러]], [[셸리 윈터스]] 출연.] * 1953 The Blue [[치자나무|Gardenia]] - 해리 프레블[* [[프리츠 랑]] 연출. [[앤 백스터]], [[앤 소던]], [[냇 킹 콜]] 출연.] * 1953 The Bandits Of Corsica - 조나토 * 1953 Serpent of the [[나일강|Nile]] - [[마르쿠스 안토니우스|마크 앤서니]][* 란더 플레밍이 [[클레오파트라 7세]]. 기원전 44년 배경.] * 1953 Fort [[알제|Algiers]] - [[아미르]] 오만[* 레슬리 실랜더 연출. 이반 디 칼로 출연.] * 1954 [[자코모 카사노바|Casanova]]'s Big Night - 브라가딘[* [[밥 호프]], [[조운 폰테인]], [[배절 래스본]], 잔 캐러딘, 란 체이니 주니어, [[빈센트 프라이스|빈선트 프라이스]] 출연.] * 1954 Mannequins für [[리우데자네이루|Rio]](They Were So Young) - 사업가 하이미 콜토스[* 서독-미국 합작. 커트 누먼 연출. [[돌턴 트럼보]] 등 대본.] * 1954 Passion - 로드리게스 대위[* 앨런 드완 연출. 코넬 와일드, 이반 디 칼로, 란 체이니 출연.] * 1954 [[이창(영화)|이창]](Rear Window) - 라스 쏜월드 * 1955 You're Never Too Young - 누넌[* 노먼 타우로그 연출. 시드니 쉘든 대본. [[딘 마틴]], [[제리 루이스]], 다이애너 린, 니너 포쉬(Nina Foch) 출연.] * 1956 a Cry in the Night - 해럴드 러프터스[* 프랭크 터틀 연출. [[에드먼드 오브라이언]], 브라이언 돈레비, [[내털리 우드]] 출연.] * 1956 Please Murder Me - 형사변호사 크레이그 칼슨[* 피터 고드프리 연출. [[앤절러 랜즈버리]] 출연.] * 1956 [[고지라(1954)#미국판|고질라 3 - 괴수의 왕]](Godzilla, King of the Monsters!) - 기자 스티브 마튼 * 1957 Ride the High Iron - 지기 멀린[* 단 와이스 연출. [[신부의 아버지|단 테일러]], 샐리 포러스트 출연.] * 1957 Crime of Passion - 앤서니 "토니" 포프 경감[* [[스털링 헤이든]], [[바버라 스탠윅]], [[킹콩(1933)|페이 레이]] 출연. 마저리 파울러 편집.] * 1957 Affair In [[하바나|Havana]] - 말러비[* 라슬로 베네덱 연출. [[존 캐서베티즈]] 출연.] * 1957-66 [[페리 메이슨]](Perry Mason) - 변호사 [[페리 메이슨]][* TV 드라마. 총 9시즌.] * 1960 Desire in the Dust - 벤 마콴드 대령[* 윌리엄 F. 클랙스튼 연출. [[조운 베닛]], 마서 하이어 출연.] * 1967-75 아이언사이드(Ironside) - 형사부장 라버트 T. 아이언사이드[* [[NBC]] TV 드라마. 총 8시즌.] * 1968 P.j. - 윌리엄 올버슨[* [[조지 퍼파드]] 출연.] * 1978-9 Centennial - 허먼 박와이스[* [[NBC]] 미니시리즈. [[리처드 체임벌린]], [[티머시 돌턴]], 앤디 그리피스, [[마크 하먼]], [[브라이언 키스]], [[도널드 플레전스]] 출연.] * 1985 [[고지라(1984)|고질라 17]](Godzilla 1985) - 스티브 마튼 * 1985-93 [[NBC]] [[페리 메이슨]] TV 영화 총 26편 * 1993 [[NBC]] 아이언사이드 TV 영화 The Return of Ironside - 라버트 T. 아이언사이드 = 여담 = * TV 드라마 [[페리 메이슨]](1957-66)에서 페리 메이슨은 딱 한 번 재판에서 진 적이 있다. 시청자들의 거센 항의가 빗발쳐 재방영되지 않았다. * 1985년 <[[고지라(1984)|고지라]]>로 [[골든 라즈베리]] 남우조연상 후보에 올랐다. * 1987년 [[NBC]]의 실화 범죄 다큐멘터리 시리즈 "Unsolved Mysteries" 특집 방송의 1화 진행자 역을 맡았다. 해당 특집 방송의 4-7화 진행자였던 [[로버트 스택]]은 후에 정규 방송으로 편성됐을 때 고정진행자가 되었으며 전설적인 TV 프로그램 중 하나가 되었다. * [[게이]]였다. * 아내였던 이저벨러 워드와는 1943년 패서디너 플레이하우스에서 처음 만났고 1947년 재회한 뒤 다음해 결혼했다. 그러나 몇 달 안 있어 별거에 들어갔으며 1952년 이혼했다. 버와 마찬가지로 워드도 이후 재혼하지 않았다. * 버는 자신이 총 세 번 결혼했다고 주장했다. 첫 번째 결혼은 1941년 어넷 서덜런드라는 영국 배우와 했으나 1943년 서덜런드가 타고 있던 [[리스본]]-[[런던]]행 비행기를 독일군이 [[비스케이만]]에서 격추해 [[레슬리 하워드]]와 함께 사망했다고 말했다. 또한 둘 사이에 [[입양]]한 아들 마이클 에번 버가 있었는데 [[백혈병]]에 걸려 1953년 10살의 나이로 사망했다는 얘기도 자세히 풀어놓았다. 두 번째 결혼이 이저벨러 워드. 세 번째 결혼은 1953년 이미 암에 걸려있던 로러 앤드리나 모건이라는 여성과 했는데 1955년 사망했다고 했다. 첫 번째 결혼과 세 번째 결혼은 오늘날 꾸며낸 얘기로 보는 시각이 지배적이며 워드와의 결혼만이 사실로 인정받고 있다. 할리우드 경력 초기부터 동성애자라는 사실이 업계에 이미 널리 퍼져있었기 때문에 대중에게만큼은 본인의 성지향성을 가리려했던 시도로 추정되고 있다. * 1960년 페리 메이슨 촬영을 통해 33년간 함께 하게 되는 동성 연인 라버트 베너비더스를 만났다. 당시엔 배우였으나 버의 조언대로 제작에 전념하게 되었다. 베너비더스는 TV 영화판 페리 메이슨의 제작 고문이기도 했다. 둘 다 [[6.25 전쟁]] 참전자였으며, 함께 다양한 자선활동을 벌였다. * [[난초]]애호가여서 [[피지]], [[하와이]], [[아조레스 제도]], [[캘리포니아]] 등에 묘목장(nurseries)을 둔 회사 "Sea God Nurseries"를 베너비더스와 함께 경영했다. 1982년엔 그간 수집했던 3000여종의 이종교배품종을 [[캘리포니아 폴리테크닉 주립대학교/포모나 캠퍼스|캘리포니아 폴리테크닉 주립대학교 포모나 캠퍼스]]에 기증하기도 했다. * 대다수 업계인들과 원만하게 지냈는데, 예외가 [[자니 카슨]]이었다. 버는 소위 성격파 배우로 일하기 위해 다시 살을 찌운 뒤로 나이를 먹으면서 필요 이상으로 살이 붙어 많은 고충을 겪었다. 자니 카슨이 다른 초대손님이 나온 본인의 쇼에서 버의 외모를 비하하는 유머를 치자 버는 카슨을 공개적으로 비판했다. 이후 카슨이 수차례 출연을 요청했지만 버는 끝까지 거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