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9D2C3E '레오파드'의 주요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사이트 앤 사운드 선정 역대 최고의 영화)] ---- [include(틀:BBC 선정 100대 비영어권 영화)] ---- ||<-5>
{{{#e5d85c ''' 역대 [[칸 영화제|{{{#e5d85c 칸 영화제}}}]] ''' }}} || ||<-5> [[파일:cannespalmedor.png|width=150]] || ||<-5> [[칸 영화제/황금종려상|{{{#e5d85c '''황금종려상'''}}}]] || || ''' 제15회 [br] ([[1962년]]) ''' || {{{+1 → }}} || ''' 제16회 [br] ([[1963년]]) ''' || {{{+1 → }}} || ''' 제17회 [br] ([[1964년]]) ''' || || 산타 바바라의 맹세 || {{{+1 → }}} || ''' 레오파드 ''' || {{{+1 → }}} || [[쉘부르의 우산]] || ---- [include(틀: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영화 1001)] ---- }}} || ---- ||<-2>
{{{#9D2C3E '''{{{+1 레오파드}}}''' (1963)[br]Il gattopardo}}}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1963 레오파드 오리지널 포스터.jpg|width=100%]]}}} || ||<-2> {{{#9D2C3E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미국 개봉 포스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EOPARD.jpg|width=100%]]}}}}}}}}}}}} || || '''장르''' ||[[드라마]], [[역사]], [[로맨스]], [[전쟁]] || || '''감독''' ||[[루키노 비스콘티]] || || '''각본''' ||[[루키노 비스콘티]],수소 체키 디아미코, 파스쿠엘 페스타 캄파닐, 엔리코 메디올리, 마시모 프란치오사 || || '''원작''' ||주세페 토마시 디 람페두사[* [[양시칠리아 왕국]]에서 대대로 재상을 역임했던 람페두사 가문의 마지막 공작으로, 법학을 공부하던 중 군에 소집되어 중위로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었고, 전쟁 후에는 영문학과 불문학을 연구하며 지낸 후 유일한 작품 《표범》을 완성했다.]의 소설 《표범》 (1958) || || '''제작''' ||고프레도 롬바르도 || || '''출연''' ||[[버트 랭카스터]], [[알랭 들롱]], [[클라우디아 카르디날레]] ,,외,, || || '''촬영''' ||주세페 로툰노 || || '''편집''' ||마리오 세란드레이 || || '''미술''' ||마리오 가르버글리아 || || '''음악''' ||[[니노 로타]] || || '''의상''' ||피에로 토시 || || '''제작사'''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0]] Titanus[br][[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 [[파테|Société Nouvelle Pathé Cinéma]][br][[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 Société Générale de Cinématographie (S.G.C.) || || '''배급사'''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0]] Titanus[br][[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 [[파테]][br][[파일:external/cdn3.iconfinder.com/globe-01-512.png|width=20]][[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20세기 스튜디오|20세기 폭스]] || || '''개봉일'''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0]] 1963년 3월 28일[br][[파일:칸 영화제 로고.svg|width=20]] 1963년 5월 20일 || || '''화면비''' ||2.21 : 1 || || '''상영 시간''' ||3시간 15분 ,,(칸 영화제 상영판),,[br]3시간 5분 ,,(유럽판),,[br]2시간 41분 ,,(미국판),, || || '''제작비''' ||'''29억 [[이탈리아 리라|ITL]] (추정)''' || || '''월드 박스오피스''' ||''''''$272,898'''''' || || '''북미 박스오피스''' ||'''$1,800,000''' || || '''상영 등급''' ||'''[[15세 이용가|[[파일:영등위_15세이상_2021.svg|width=30]] {{{#373a3c,#dddddd 15세 이상 관람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루키노 비스콘티]] 감독, [[버트 랭카스터]], [[클라우디아 카르디날레]], [[알랭 들롱]] 주연의 1963년작 이탈리아-프랑스 합작 영화. [[페데리코 펠리니]]의 <[[달콤한 인생]]>,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의 <정사>와 더불어 1960년대 이탈리아 시네마를 대표하는 작품이다. 시칠리아의 귀족 출신인[* 비스콘티 감독 본인은 밀라노 귀족이다.] 주세페 토마시 디 람페두사가 쓴 동명의 대하소설[* 생전인 1956년에 이미 원고를 완성했었으나 출판사에서 출판을 거부당한 채 1957년에 사망했었고, 사후 1년 뒤 우연히 작가 조르지오 바사니의 손에 들어가게 되어 출판된 책으로, 출판된 후 이탈리아 국내에서 열광적인 지지를 받으며 1959년 스트레가상을 수상하고 각국어로 번역되어 세계적인 베스트셀러가 된 책이다.]을 원작으로 하며, 19세기 주세페 가리발디가 이탈리아를 통일했던 시기의 시칠리아를 배경으로 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쇠락해가는 귀족들의 모습을 오페라처럼 웅장하고 우아하게 그려냈다.[* 때문에 같은 주제를 다룬 [[빅터 플레밍]] 감독의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미국 영화)|바람과 함께 사라지다]]나 [[오슨 웰스]] 감독의 [[위대한 앰버슨가]]와 함께 묶이기도 한다. 세 작품 모두 소설을 원작으로 하는 영화라는 공통점도 있고.] 제16회 [[칸 영화제]] [[칸 영화제/황금종려상|황금종려상]] 수상작.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P6NZWcW1ThQ)]}}}|| || {{{#9D2C3E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06f7f24lpUI)]}}}|| || {{{#9D2C3E '''▲ 북미 예고편'''}}} || == 시놉시스 == > 통일 전쟁이 한창인 이탈리아, 가리발디가 이끄는 혁명군이 시칠리아에 상륙하자 > 유서 깊은 귀족 가문의 공작 살리나는 동요하는 가족을 달랜다. > 그 와중에 귀족 신분으로 혁명군에 가담한 조카가 전쟁 영웅이 되어 고향으로 돌아오고 > 살리나는 조카를 마을 시장의 딸인 안젤리카와 결혼시키려 하는데... == 등장인물 == * [[버트 랭카스터]] - 살리나 공작 돈 파브리치오 역 * [[클라우디아 카르디날레]] - 안젤리카 세다라 역 * [[알랭 들롱]] - 탄크레디 팔코네리 역 * 파올로 스토파 - 돈 칼로제로 세다라 역 * 리나 모렐리 - 마리아 스텔라 살리나 역 * 로몰로 발리 - 피론 역 * [[테렌스 힐]] - 카브리아지 역 * 피에르 클레멘티 - 프란체스코 파올로 역 * 루칠라 모를라치 - 콘체타 역 * 줄리아노 젬마 - 가리발디 진영 장군 역 == 줄거리 == == 사운드트랙 == == 평가 == [include(틀:평가/영화 평점, 메타크리틱=the-leopard-re-release, 메타크리틱_critic=100, 메타크리틱_user=7.8, 로튼토마토=the_leopard_1963, 로튼토마토_tomato=98, 로튼토마토_popcorn=89, IMDb=tt0057091, IMDb_user=8.0, 레터박스=the-leopard, 레터박스_user=4.1, 알로시네=1766, 알로시네_presse=5.0, 알로시네_spectateurs=4.0, ## MYmoviesit=, MYmoviesit_MYMOVIES=, MYmoviesit_CRITICA=, MYmoviesit_PUBBLICO=, 키노포이스크=7719, 키노포이스크_user=7.7, 야후재팬영화=23823, 야후재팬영화_user=3.8, Filmarks=24886, Filmarks_user=3.9, 엠타임=13866, 엠타임_user=8.6, 도우반=1293146, 도우반_user=8.8, ## 야후키모=, 야후키모_user=, 왓챠=mWzY305, 왓챠_user=3.1, ## 키노라이츠=6887, 키노라이츠_light=, 키노라이츠_star=, 네이버영화=25852, 네이버영화_audience=8.19, 다음영화=25812, 다음영화_user=8.3, ## CGV=, CGV_egg=, ## 롯데시네마=, 롯데시네마_user=, ## 메가박스=, 메가박스_user=, MRQE=il-gattopardo-m100004514, MRQE_user=95, ## 시네마스코어=, TMDB=1040-il-gattopardo, TMDB_user=77, 무비파일럿=der-leopard, 무비파일럿_user=7.3, RogeEbertcom=great-movie-the-leopard-1963, RogeEbertcom_user=4.0, ## MyDramaList=, MyDramaList_user=, ## 라프텔=, 라프텔_user=, ## MyAnimeList=, MyAnimeList_분야=, MyAnimeList_user=, ## GooglePlay무비=, GooglePlay무비_user=, ## 네이버시리즈온=, 네이버시리즈온_user=, 네이버시리즈온_heart=, )] > Lavish and wistful, The Leopard features epic battles, sumptuous costumes, and a ballroom waltz that competes for most beautiful sequence committed to film. >---- > '''호화로우면서도 애석한 감정이 가득 담긴 영화 <레오파드>는 웅장한 전투와 화려한 의상, 그리고 영화사상 가장 아름다운 시퀀스를 논할 때 빠지지 않을 무도회장 춤 장면이 담겨있다.''' > - 로튼 토마토 평론가 총평 버트 랭카스터, 알랭 들롱의 탁월한 연기와 귀족들의 화려한 의상, 고급스런 실내장식 등 비스콘티 감독 특유의 장엄한 미장센에 대한 치밀한 연출이 돋보이며, 개봉 당시 이탈리아에서도 천만 관객을 동원하는 등 흥행에서도 성공하며 루키노 비스콘티를 대표하는 작품이다. 비스콘티 감독의 필모그래피에서 [[센소]]가 리얼리즘에서 벗어나 처음으로 감독 특유의 미학을 보여주기 시작한 영화로 꼽힌다면, 이 작품은 오페라의 4막 구성을 따르면서도 [[데카당스]]적인 내용이 비스콘티 감독의 영화에 본격적으로 투영되기 시작한 시발점으로 꼽히기도 한다. == 수상 및 후보 이력 == * 제16회 [[칸 영화제]] [[칸 영화제/황금종려상|황금종려상]] '''수상'''[* 심사위원 만장일치로 수상] * 제36회 [[아카데미 시상식]] [[아카데미 의상상]] (컬러 부문) 후보 * 제8회 다비드 디 도나텔로상 프로덕션 디자인 상 '''수상''' == 기타 == * <흔들리는 대지>, <[[로코와 그의 형제들]]>에 이은 루키노 비스콘티 감독의 ‘시칠리아 3부작’의 마지막 작품이다. * '''역대 최고의 황금종려상 작품'''으로 자주 거론된다. 또한, 미술 측면에서 최고 수준을 이룩한 영화로 유명하다. * [[알랭 들롱]]이 한 쪽 눈을 안대로 가린 스틸컷이 유명하지만, 영화의 메인 캐릭터는 [[버트 랭카스터]]가 맡은 파브리치오 공작이다. 연기에 대한 비평가들의 호평도 랭카스터 쪽에 집중된다. 물론 워낙 걸작인지라 랭카스터, 들롱, [[클라우디아 카르디날레|카르디날레]] 모두의 대표작으로 뽑힌다. * 작품에 수도 없이 나오는 보석들은 전부 실제 보석이다. 후반부 무도회 시퀀스에서는 실제 시칠리아 귀족들이 엑스트라로 출연했다. 이는 영상 미학을 집요하게 탐독하는 비스콘티의 취향이 적극적으로 반영된 결과다. == 관련 문서 == * [[이탈리아 통일]] * [[주세페 가리발디]] [[분류:이탈리아의 드라마 영화]][[분류:이탈리아의 역사 영화]][[분류:이탈리아의 로맨스 영화]][[분류:이탈리아의 전쟁 영화]][[분류:1963년 영화]][[분류:소설 원작 영화]][[분류:칸 영화제 황금종려상 수상작]][[분류:니노 로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