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칼리아리 칼초/간략)]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D7CBA 0%, #0755A1 30%, #0755A1 70%, #3D7CBA)" {{{#ffffff '''레오나르도 파볼레티의 역임 직책'''}}}}}} || || {{{#!folding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51426 0%, #951426 20%, #951426 80%, #951426);" {{{#ffffff ''' 칼리아리 칼초 주장 ''' }}} }}} || || [[주앙 페드루(1992)|주앙 페드루]][br]{{{-1 (2020~2022) }}} || {{{+1 {{{#ffffff ▶ }}} }}} || '''{{{#ffffff 레오나르도 파볼레티[br]{{{-1 (2022~)}}}}}}''' || {{{+1 {{{#ffffff ▶ }}} }}} || ''현직'' || ---- [include(틀:세리에 A 주장)]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avoletti.jpg|width=100%]]}}} || ||<-2> '''{{{#fff 칼리아리 칼초 No. 30}}}''' || ||<-2> '''{{{#fff {{{+1 레오나르도 파볼레티}}} [br] Leonardo Pavoletti}}}''' || ||<|2> '''{{{#fff 출생}}}''' ||[[1988년]] [[11월 26일]] ([age(1988-11-26)]세) || ||[[이탈리아]] [[리보르노]] || || '''{{{#fff 국적}}}'''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 [[이탈리아]] || || '''{{{#fff 신체}}}''' ||[[키(신체)|키]] 188cm / [[체중]] 78kg || || '''{{{#fff 포지션}}}''' ||[[스트라이커]] || || '''{{{#fff 유스 클럽}}}''' ||그루포 스포르티보 CNFO || || '''{{{#fff 프로 클럽}}}''' ||아르만도 피키 (2006~2008) [br] 에스페리아 비아레조 (2008~2009) [br] 파비아 (2009~2010) [br] [[SS 유베 스타비아]] (2010~2011) [br] [[카살레 FBC]] (2011) [br] 비르투스 란치아노 (2011~2012) [br] [[US 사수올로 칼초]] (2012~2015) [br]→ {{{-1 [[바레세 칼초]] (2013~2014 / 임대)}}} [br] '''[[제노아 CFC]] (2015~2017)''' [br] [[SSC 나폴리]] (2017) [br]→ '''{{{-1 [[칼리아리 칼초]] (2017~2018)}}}''' [br] '''[[칼리아리 칼초]] (2018~ )''' || || '''{{{#fff 국가대표}}}''' ||1경기 1골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이탈리아]] / 2019)^^ || [목차] [clearfix] == 개요 == 이탈리아의 축구선수. == 클럽 경력 == 소속팀 명단을 보면 알겠지만 꽤 나이가 찼을때까지도 하부리그를 전전하던 그저 그런 공격수였다. 본격적으로 눈에 띄는 활약을 하게 된건 2011년 버투스 란치아노에 입단하여 [[세리에 C]]에서 득점왕을 차지하게 된 이후부터다. 득점왕을 거머쥐고 파볼레티는 [[세리에 B]]에 있던 [[US 사수올로 칼치오]]에 입단하였다. 사수올로에서 [[도메니코 베라르디]]와 함께 팀의 세리에A 승격을 이끈다. 하지만 곧 [[시모네 자자]] 등의 영입으로 입지가 좁아져 다시 세리에 B의 바레세로 임대를 가게 된다. 바레세에서 33경기 24득점이라는 놀라운 기록을 보여주며 다시 사수올로로 돌아왔지만 파볼레티의 자리는 없었다. 결국 2015년 겨울 [[제노아]]로 선임대 후이적 방식으로 팀을 옮기게 되고, 막판 4경기동안 매경기 골을 넣으며 제노아의 6위 수성에 한몫했다. 2015-16 시즌 완전이적후 26경기 15골의 좋은 활약을 보여줬다. 그러나 2016-17 시즌 부상으로 [[지오반니 시메오네]]에게 밀려 좀처럼 출장기회를 얻지 못하는 가운데 2017년 겨울 [[아르카디우스 밀리크]]의 부상과 [[마놀로 가비아디니]]의 부진으로 원톱 공격수를 찾던 [[SSC 나폴리|나폴리]]로 이적한다. 하지만 사리의 축구에 전혀 적응하는 모습을 보이지 못하고 다음시즌 바로 [[칼리아리 칼초]]로 떠나게 되었다. 2018-19 시즌 칼리아리에서 리그 16골을 넣으며 본인 커리어하이를 찍었고, 팀도 성공적으로 잔류했다. == 국가대표 경력 == 아주리 명단에 소집된 적은 있지만 아직 경기를 뛰진 못했다. 그러나 2019년 3월 유로 예선을 앞두고 다시 소집되었으며, 2019년 3월 27일 (한국시간) [[리히텐슈타인 축구 국가대표팀|리히텐슈타인]]과의 유로 예선 2차전에 교체 출전으로 국가대표 데뷔전을 치렀다. 그리고 이 경기에서 골을 넣으면서 데뷔전에 데뷔골을 기록하였다. == 플레이 스타일 == 건장한 체구의 전형적인 타겟형 스트라이커. 어떻게든 꾸역꾸역 위협적인 슈팅을 한번 정도는 때려줄수 있는 선수라는 평가다. == 같이보기 == [각주] [include(틀:칼리아리 칼초)] [[분류:1988년 출생]] [[분류:이탈리아의 축구선수]] [[분류:SS 유베 스타비아/은퇴, 이적]] [[분류:SS 비르투스 란치아노/은퇴, 이적]] [[분류:US 사수올로 칼초/은퇴, 이적]] [[분류:바레세 칼초/은퇴, 이적]] [[분류:제노아 CFC/은퇴, 이적]] [[분류:SSC 나폴리/은퇴, 이적]] [[분류:칼리아리 칼초/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