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3> [[파일:WK12.jpg|width=300]] || ||<-5> {{{#white 신일본 레슬킹덤 12[br]NJPW Wrestle Kingdom 12}}} || || {{{#white '''개최'''}}} ||<-5> [[신일본 프로레슬링|{{{#white 신일본 프로레슬링[br]New Japan Pro Wrestling}}}]] || || {{{#white '''일시'''}}} ||<-5> [[2018년|{{{#white 2018년}}}]] [[1월 4일|{{{#white 1월 4일 오후 5시^^JST^^}}}]] || || {{{#white '''장소'''}}} ||<-5>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도쿄돔|{{{#white 도쿄 도쿄돔[br]東京ドーム[br]Tokyo Dome}}}]] || || {{{#white '''중계'''}}} ||<-5> [[신일본 월드|[[파일:신일본 월드3.png|width=70]]]] [[테레비 아사히|[[파일:테레비 아사히 로고.svg|width=70]]]] || || {{{#white '''관중수'''}}} ||<-5> {{{#white 34,995}}} || ||<-5> {{{#white 신일본 프로레슬링 PPV 순서}}} || || [[파워 스트러글 2017|{{{#000000 파워 스트러글 2017}}}]] || {{{#000000 ▶}}} || {{{#000000 '''레슬킹덤 12'''}}} || {{{#000000 ▶}}} || [[더 뉴 비기닝 2018|{{{#000000 더 뉴 비기닝 2018}}}]] || ||<-5> {{{#white 해당 PPV의 순서}}} || || [[레슬킹덤 XI|{{{#000000 레슬킹덤 11}}}]] || {{{#000000 ▶}}} || {{{#000000 '''레슬킹덤 12'''}}} || {{{#000000 ▶}}} || [[레슬킹덤 13|{{{#000000 레슬킹덤 13}}}]] || ||
[youtube(iFKbvlQALI8)] || || 오프닝 무비 || || [youtube(2uOC5EI1lZg)] || || AXS TV 영어판 예고 || [목차] == 개요 == >'''みんなでプロレス!イッテンヨン!!'''(Pro Wrestling Together! 1.4!!, 함께 프로레스! 1.4!!) >---- >레슬킹덤 12의 공식 캐치프레이즈 [[신일본 프로레슬링]]에서 [[2018년]] [[1월 4일]]에 [[도쿄돔]]에서 개최하는 PPV로써 신일본 프로레슬링의 2018년 첫번째 PPV이자, 1년 중 가장 큰 규모로 열리게 되는 PPV이다. 이 날 대회의 메인이벤트로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IWGP 헤비급 챔피언]] [[오카다 카즈치카]]와 [[G1 클라이맥스 27]] 우승자이자 [[킹 오브 프로레슬링 2017]]에서 [[이시이 토모히로]]를 상대로 권리증을 방어해낸 [[나이토 테츠야]]의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이 일찌감치 확정되었다. 또한 레슬킹덤 12의 스페셜 앰버서더로 [[SKE48]]의 [[마츠이 쥬리나]]가 확정되기도 했다. == 티켓 == ||<-4> {{{#ffffff '''레슬킹덤 12 티켓 가격'''}}} || || {{{#000000 '''자리 종류'''}}} || {{{#000000 '''예매'''}}} || {{{#000000 '''당일'''}}} || {{{#000000 '''비고'''}}} || || {{{#000000 '''로얄시트'''[br](파이프 의자)}}} || {{{#000000 50,000 엔}}} || {{{#000000 -}}} || {{{#red '''매진'''}}} || || {{{#000000 '''아레나 A'''}}} || {{{#000000 22,500 엔}}} || {{{#000000 23,000 엔}}} || {{{#red '''매진'''}}} || || {{{#000000 '''아레나 B'''}}} || {{{#000000 12,500 엔}}} || {{{#000000 13,000 엔}}} || {{{#red '''매진'''}}} || || {{{#000000 '''1F 스탠드'''}}} || {{{#000000 9,500 엔}}} || {{{#000000 10,000 엔}}} || || || {{{#000000 '''2F 스탠드 A'''}}} || {{{#000000 7,500 엔}}} || {{{#000000 8,000 엔}}} || || || {{{#000000 '''2F 스탠드 B'''}}} || {{{#000000 4,500 엔}}} || {{{#000000 5,000 엔}}} || || || {{{#000000 '''초중고생/노인'''}}} || {{{#000000 -}}} || {{{#000000 3,000 엔}}} || [* 예매권 없이 당일권만 판매되며 영역은 1F 스탠드 영역이다. 입장시 초중고생 혹은 노인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신분증 등이 반드시 필요하다. 노인은 60세 이상부터이다.] || * 팬클럽 선행 예약 기간: [[2017년]] [[9월 15일]] 12:00 ~ [[2017년]] [[9월 25일]] 17:00 * 일반 발매일: [[2017년]] [[10월 25일]] ~ * [[http://l-tike.com/wk12|로손 티켓]],[* 로손 티켓에서는 이와 별개로 자국내 거주 중인 사람들을 대상으로 1박 2일 일정의 투어 상품도 판매한다. [[https://travel.l-tike.com/user_data/njpw0104/|투어 페이지(일본어)]] 참조.] [[http://w.pia.jp/t/wrestlekingdom/|티켓 피아]], [[http://eplus.jp/njpw/|e+]], [[http://maeuri.com|마에우리 닷컴]] 등에서 구입이 가능하다. * [[2017년]] [[11월 27일]] [[신일본 프로레슬링]]은 자사의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이번 레슬킹덤의 예매표가 2만장이 팔렸음을 발표했다. 이는 작년 같은 시기에 비해 판매량이 180%나 증가한 수치이며, 이 페이스대로면 대회 당일 3만 5천명~4만 7천명의 관객 동원도 가능하다는 전망이 나온다.[* [[http://kkjzato.egloos.com/m/3211730|국내 블로그 번역본]]] 이후 [[12월 25일]]에 예매표 판매가 3만장을 돌파하였다고 발표했다.[* [[http://kkjzato.egloos.com/m/3213176|국내 블로그 번역본.]]] 레슬킹덤 12가 열리기 하루 전인 [[1월 3일]] 열린 대프로레슬링 축제 2018에서 시합을 소화한 나가타 유지는 시합이 끝난 이후 예매표가 총 32,600장이 팔렸음을 알리며 팬들에게 감사함을 전달했다. == 대진표 == ||<-999>
{{{#white 제 0 경기[br] 뉴 재팬 럼블[br] 1분 시간차 배틀로얄}}} || || {{{#000000 다수의 신일본 프로레슬링 및 기타 단체 선수들}}} || ||<-999> {{{#white 승자: 카키하라 마사히토(31분 06초)}}} || ||<-999> {{{#white [[데이브 멜처|{{{#white 별점:}}}]] *^^1/2^^ }}} || ||<-999> {{{#white ※ 본 대회 시작 한시간 전인 오후 4시에 시작한다. }}} || ||<-999>
{{{#white 제 1 경기 60분 단판 승부[br]'''[[IWGP 주니어 헤비웨이트 태그팀 챔피언십|{{{#white IWGP 주니어 헤비웨이트 태그팀 챔피언십}}}]]'''[br]1차 방어전}}} || || {{{#000000 '''제54대 챔피언 팀'''}}} || {{{#000000 '''도전자 팀''' }}} || || [[SHO|{{{#000000 SHO}}}]][br][[YOH|{{{#000000 YOH}}}]] || [[영 벅스|{{{#000000 맷 잭슨[br]닉 잭슨}}}]] || ||<-999> {{{#white 승자: [[영 벅스|{{{#white 맷 잭슨 & 닉 잭슨}}}]](18분 49초)}}} || ||<-999> {{{#white [[데이브 멜처|{{{#white 별점:}}}]] ****}}} || ||<-999>
{{{#white 제 2 경기 60분 단판 승부[br]'''[[NEVER 오픈웨이트 6인 태그팀 챔피언십|{{{#white NEVER 오픈웨이트 6인 태그팀 챔피언십}}}]]'''[br]건틀렛 매치[br]1차 방어전}}} || || {{{#000000 '''제14대 챔피언 팀'''}}} || {{{#000000 '''도전자 팀''' }}} || {{{#000000 '''도전자 팀''' }}} || {{{#000000 '''도전자 팀''' }}} || {{{#000000 '''도전자 팀''' }}} || || [[탕가 로아|{{{#000000 탕가 로아}}}]][br][[타마 통가|{{{#000000 타마 통가}}}]][br][[배드 럭 팔레|{{{#000000 배드 럭 팔레}}}]] || [[타구치 류스케|{{{#000000 타구치 류스케}}}]][br][[마카베 토우기|{{{#000000 마카베 토우기}}}]][br][[쥬스 로빈슨|{{{#000000 쥬스 로빈슨}}}]] || [[바레타|{{{#000000 바레타}}}]][br][[야노 토루|{{{#000000 야노 토루}}}]][br][[이시이 토모히로|{{{#000000 이시이 토모히로}}}]] || [[바이킹 레이더스|{{{#000000 핸슨[br]레이먼드 로우}}}]][br][[마이클 엘긴|{{{#000000 마이클 엘긴}}}]] || [[잭 세이버 주니어|{{{#000000 잭 세이버 주니어}}}]][br][[타이치(프로레슬러)|{{{#000000 타이치}}}]][br][[이이즈카 타카하시|{{{#000000 이이즈카 타카하시}}}]] || ||<-999> {{{#white 승자: [[바레타|{{{#white 바레타}}}]] & [[야노 토루|{{{#white 야노 토루}}}]] & [[이시이 토모히로|{{{#white 이시이 토모히로}}}]](17분 03초)}}} || ||<-999> {{{#white [[데이브 멜처|{{{#white 별점:}}}]] **^^1/2^^[* 핸슨 & 레이먼드 로우 & [[마이클 엘긴]] vs. [[잭 세이버 주니어]] & [[타이치(프로레슬러)|타이치]] & [[이이즈카 타카시]]], ^^3/4^^[* [[바레타]] & [[야노 토루]] & [[이시이 토모히로]] vs. [[잭 세이버 주니어]] & [[타이치(프로레슬러)|타이치]] & [[이이즈카 타카시]]], *^^1/2^^[* [[타구치 류스케]] & [[마카베 토우기]] & [[쥬스 로빈슨]] vs. [[바레타]] & [[야노 토루]] & [[이시이 토모히로]]], **^^3/4^^[* [[탕가 로아]] & [[타마 통가]] & [[배드 럭 팔레]] vs. [[바레타]] & [[야노 토루]] & [[이시이 토모히로]]]}}} || ||<-999>
{{{#white 제 3 경기 60분 단판 승부[br]'''스페셜 싱글 매치'''[* 당초 해당 경기는 ROH 월드 챔피언십으로 열릴 예정이었고 코디가 챔피언으로 이부시 코타가 도전자로 시합을 가질 예정이었으나, 12월 15일 열린 ROH 파이널 배틀에서 코디가 달튼 캐슬과의 챔피언십 경기에서 패배하며, 만약 레슬킹덤 12 전에 코디가 챔피언 벨트를 잃은 상태라면 스페셜 싱글 매치로 열리게 된다는 부수 조항에 의하여 결국 스페셜 싱글 매치로 확정되었다.]}}} || || [[코디(프로레슬러)|{{{#000000 코디}}}]] || [[이부시 코타|{{{#000000 이부시 코타}}}]] || ||<-999> {{{#white 승자: [[이부시 코타|{{{#white 이부시 코타}}}]](15분 08초)}}} || ||<-999> {{{#white [[데이브 멜처|{{{#white 별점:}}}]] ****^^1/4^^}}} || ||<-999>
{{{#white 제 4 경기 60분 단판 승부[br]'''[[IWGP 헤비웨이트 태그팀 챔피언십|{{{#white IWGP 태그팀 챔피언십}}}]]'''[br]2차 방어전}}} || || {{{#000000 '''제78대 챔피언 팀'''}}} || {{{#000000 '''도전자 팀''' / [[월드 태그 리그 2017|{{{#000000 '''월드 태그 리그 2017 우승팀'''}}}]]}}} || || [[랜스 아처|{{{#000000 랜스 아처}}}]][br][[데이비 보이 스미스 주니어|{{{#000000 데이비 보이 스미스 Jr.}}}]] || [[SANADA|{{{#000000 SANADA}}}]][br][[EVIL|{{{#000000 EVIL}}}]] || ||<-999> {{{#white 승자: [[SANADA|{{{#white SANADA}}}]] & [[EVIL|{{{#white EVIL}}}]](14분 14초)}}} || ||<-999> {{{#white [[데이브 멜처|{{{#white 별점:}}}]] ****}}} || ||<-999>
{{{#white 제 5 경기 60분 단판 승부[br][[NEVER 오픈웨이트 챔피언십|{{{#white '''NEVER 오픈웨이트 챔피언십'''}}}]][br]{{{#white 패자 삭발 & 노 세컨드 데스 매치[br]5차 방어전}}}}}} || || {{{#000000 '''제16대 챔피언'''}}} || {{{#000000 '''도전자'''}}} || || [[스즈키 미노루|{{{#000000 스즈키 미노루}}}]] || [[고토 히로오키|{{{#000000 고토 히로오키}}}]] || ||<-999> {{{#white 승자: [[고토 히로오키|{{{#white 고토 히로오키}}}]](18분 04초)}}} || ||<-999> {{{#white [[데이브 멜처|{{{#white 별점:}}}]] ****^^1/2^^}}} || ||<-999> {{{#white ※ 팬스 내 세컨드(대동해 나오는 선수) 및 장외 카운트 없이 승자 결정은 오직 링 위에서만 이루어지며, 기타 룰은 일반 경기의 룰을 따른다. 경기가 종료한 이후 링 위에서 승자는 패자의 머리를 삭발한다.}}} || ||<-999>
{{{#white 제 6 경기 60분 단판 승부[br]'''[[IWGP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십|{{{#white IWGP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십}}}]]'''[br]1차 방어전}}} || || {{{#000000 '''제79대 챔피언'''}}} || {{{#000000 '''도전자''' }}} || {{{#000000 '''도전자''' }}} || {{{#000000 '''도전자''' }}} || || [[마티 스컬|{{{#000000 마티 스컬}}}]] || [[윌 오스프레이|{{{#000000 윌 오스프레이}}}]] || [[KUSHIDA|{{{#000000 KUSHIDA}}}]] || [[타카하시 히로무|{{{#000000 타카하시 히로무}}}]] || ||<-999> {{{#white 승자: [[윌 오스프레이|{{{#white 윌 오스프레이}}}]](21분 18초)}}} || ||<-999> {{{#white [[데이브 멜처|{{{#white 별점:}}}]] ****^^3/4^^}}} || ||<-999>
{{{#white 제 7 경기 60분 단판 승부[br]'''[[IWGP 인터콘티넨탈 챔피언십|{{{#white IWGP 인터콘티넨탈 챔피언십}}}]]'''[br]4차 방어전}}} || || {{{#000000 '''제16대 챔피언'''}}} || {{{#000000 '''도전자''' }}} || || [[타나하시 히로시|{{{#000000 타나하시 히로시}}}]] || [[제이 화이트|{{{#000000 제이 화이트}}}]] || ||<-999> {{{#white 승자: [[타나하시 히로시|{{{#white 타나하시 히로시}}}]](19분 43초)}}} || ||<-999> {{{#white [[데이브 멜처|{{{#white 별점:}}}]] ***^^3/4^^}}} || ||<-999>
{{{#white 제 8 경기 & 더블 메인이벤트 제 1 경기 60분 단판 승부[br]'''[[IWGP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헤비웨이트 챔피언십|{{{#white IWGP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헤비웨이트 챔피언십}}}]]'''[br]NO DQ 매치[* 당초 두 선수의 경기는 일반 경기로 진행될 예정이었으나, [[월드 태그 리그 2017]] 결승전 대회에서의 크리스 제리코의 케니 오메가 폭행 및 다음날 기자회견에서의 케니 오메가의 크리스 제리코의 기자회견장 난입 등으로 인해 두 선수의 요청이 있어 NO DQ 매치로 변경되었다고 스가바야시 나오키 신일본 프로레슬링 회장이 [[12월 18일]] 로드 투 도쿄돔 대회 시작전 긴급 기자회견 방식으로 발표를 했다.][br]4차 방어전}}} || || {{{#000000 '''제1대 챔피언'''}}} || {{{#000000 '''도전자''' }}} || || [[케니 오메가|{{{#000000 케니 오메가}}}]] || [[크리스 제리코|{{{#000000 크리스 제리코}}}]] || ||<-999> {{{#white 승자: [[케니 오메가|{{{#white 케니 오메가}}}]](34분 36초)}}} || ||<-999> {{{#white [[데이브 멜처|{{{#white 별점:}}}]] *****}}} || ||<-999>
{{{#white 제 9 경기 & 더블 메인이벤트 제 2 경기 60분 단판 승부[br]'''[[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white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br]9차 방어전}}} || || {{{#000000 '''제65대 챔피언'''}}} || {{{#000000 '''도전자''' / [[G1 클라이맥스 27|{{{#000000 '''G1 클라이맥스 27 우승자'''}}}]]}}} || || [[오카다 카즈치카|{{{#000000 오카다 카즈치카}}}]] || [[나이토 테츠야|{{{#000000 나이토 테츠야}}}]] || ||<-999> {{{#white 승자: [[오카다 카즈치카|{{{#white 오카다 카즈치카}}}]](34분 26초)}}} || ||<-999> {{{#white [[데이브 멜처|{{{#white 별점:}}}]] ****^^1/2^^}}} || == 기타 == * [[킹 오브 프로레슬링 2017]]이 끝난 직후 [[2017년]] [[10월 10일]] 레슬킹덤 12 1차 공식 기자회견이 있었고, 이 자리에서 [[오카다 카즈치카]]와 [[나이토 테츠야]]의 기자회견이 함께 열렸다. 이후 [[파워 스트러글 2017]]이 끝난 직후 [[2017년]] [[11월 6일]]에 나머지 확정 경기에 대한 2차 기자회견이 신일본 프로레슬링 사무소에서 열렸다. [[월드 태그 리그 2017]]이 끝난 직후 [[2017년]] [[12월 12일]]에는 [[IWGP US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이 레슬킹덤 12에서 더블 메인이벤트로 열리기로 결정됨에 따라 이에 대한 기자회견이 열렸고, 이 자리에는 [[케니 오메가]]와 [[크리스 제리코]]가 참석하였다. || [youtube(CCZ27sHzYv8)] || [youtube(xK386uBAPNU)] || [youtube(-pOSRBAqUdM)] || || 1차 기자회견 || 2차 기자회견 || 3차 기자회견 || * [[SKE48]]의 [[마츠이 쥬리나]]가 [[2017년]] [[10월 13일]] 신일본 프로레슬링 사무소에서 조인식을 가지며 공식적으로 레슬킹덤 12의 스페셜 앰버서더가 되었다. [youtube(ZSeRi3ENSTI)] * 모든 경기가 끝날 때마다 선수들이 백스테이지에서 기자회견을 가지는 시간을 가졌다. * [[https://youtu.be/mdVOhzDRvtM|카키하라 마사히토의 기자회견]] * [[https://youtu.be/RlZiwR3qHng|영 벅스와 롯폰기 3K의 기자회견]] * [[https://youtu.be/RYZ_7E3vj8w|NEVER 6인 태그팀 챔피언십 이후 기자회견]] * [[https://youtu.be/lAdH5IzjfmU|이부시 코타의 기자회견]] * [[https://youtu.be/bygswNC91gw|EVIL & SANADA의 기자회견]] * [[https://youtu.be/XgG902Cw-hI|고토 히로오키와 스즈키 미노루의 기자회견]] * [[https://youtu.be/arHnB_rIq2I|윌 오스프레이의 기자회견]] * [[https://youtu.be/qYpj-JYEWYY|타나하시 히로시와 제이 화이트의 기자회견]] * [[https://youtu.be/KpBGqGDhRjw|케니 오메가와 크리스 제리코의 기자회견]] * [[https://youtu.be/9iNpHV3ZKLc|오카다 카즈치카와 나이토 테츠야의 기자회견]] [[분류:신일본 프로레슬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