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레스 왈론드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LG 트윈스 외국인 선수)] ---- [include(틀:두산 베어스 외국인 선수)] ---- ||
'''레스 왈론드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fff [[LG 트윈스|'''{{{#ffffff LG 트윈스}}}''']] 등번호 56번}}}''' || || [[루벤 마테오|마테오]][br](2005) || {{{+1 →}}} || '''{{{#fff 왈론드[br](2005)}}}''' || {{{+1 →}}} || [[매니 아이바|아이바]][br](2006) || ||<-5> '''{{{#fff [[두산 베어스|'''{{{#ffffff 두산 베어스}}}''']] 등번호 30번}}}''' || || [[후안 세데뇨|세데뇨]][br](2009) || {{{+1 →}}} || '''{{{#fff 왈론드[br](2010)}}}''' || {{{+1 →}}} || [[라몬 라미레즈(1982)|라미레즈]][br](2011) || }}}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레스왈론드.jpg|width=100%]]}}} || ||<-2> '''{{{+2 레슬리 데일 왈론드}}}[br] Leslie Dale Walrond''' || || '''생년월일''' ||[[1976년]] [[11월 7일]] ([age(1976-11-07)]세)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출신지''' ||[[오클라호마]] 주 머스코지 || || '''포지션''' ||[[투수]] || || '''투타''' ||[[좌투좌타]] || || '''프로입단'''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드래프트|1998년 드래프트 13라운드]] (전체 378번,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STL]]) || || '''소속팀''' ||[[캔자스시티 로열스]] (2003) [br][[LG 트윈스]] (2005) [br][[시카고 컵스]] (2006~2007) [br][[필라델피아 필리스]] (2008) [br][[요코하마 디엔에이 베이스타즈|요코하마 베이스타즈]] (2009) [br][[두산 베어스]] (2010) || || '''등장곡''' ||Kool & The Gang - Get Down on it || [목차] [clearfix] == 개요 == 前 [[LG 트윈스]], [[두산 베어스]] 소속의 [[외국인 선수]]. [[저니맨]] 투수로 야구선수 중 8개국[* [[대한민국]], [[미국]], [[캐나다]], [[멕시코]], [[일본]], [[푸에르토리코]], [[도미니카 공화국]], [[베네수엘라]]]에서 승리를 쌓은 유일한 선수이며 [[라이언 사도스키]]와 같이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을 경험해본 선수이다. == 선수 경력 ==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시절 ===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의 지명을 받고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생활을 시작하게 되었다. 1998년 데뷔한 그는 싱글 A SS급의 뉴 저시에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2승 4패 4.01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한 그는 많은 관심을 받게 되었다. 1999년 싱글 A 페오리아에서 활약하여 7승 10패 ERA 5.70을 기록하였다. 성적부진을 이유로 2000년 싱글 A 어드밴스 급의 포토맥으로 강등되고 만다. 그러나 구위상승으로 10승을 거두자 다음 해, 더블A 뉴 해븐으로 승격된다. 16경기 출장하여 2승 8패 ERA 3.87이라는 그럭저럭한 성적을 낸 그는 트리플A 진출을 목표로 많은 연습을 한다. 2002년 뉴 해븐에서 2승 1패 2.42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하고 그해 바로 트리플A 멤피스로 승격된다. 멤피스에서 주축 선발로 활약하며 8승 7패 4.98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하며 2002시즌 마이너 10승에 성공한다. 2003년 그는 높은 평균자책점, 제구력 등 때문에 더블A 테네시로 다시 돌아간다. 그는 트레이드를 통해 캔자스시티 이적을 성공시켰고, 더블 A 위치타에서 마이너리그 생활을 시작했다. 위치타에서 2승을 거두고 트리플A 오마하로 승격되 18경기 계투등판에서 3승 1패 2.45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하는 등 좋은 활약을 펼쳤다. 그러나 캔자스시티에서는 알 수 없는 이유로 그를 다시 세인트루이스로 돌려보낸다. 트리플A 멤피스에서는 1점대 초반 평균자책점을 기록한다. 2004년 그는 캔자스시티 이적을 다시 하게 되고 마이너리그 14승을 거두는 등 맹활약을 펼쳤다. 2005년 왈론드는 플로리다 트리플A 앨버커키에 입단하여 4승 5패 4.57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하고 퇴출당했다. === [[LG 트윈스]] 시절 === || [[파일:lg왈론드.jpg|width=100%]] || 2005년 시즌 중 [[루벤 마테오]]의 대체 용병으로 [[LG 트윈스]]에 입단하고 초반에는 두산전에서 완투승을 따내며 잘 나가는 듯 했지만 시기가 지날수록 고질적인 제구력 문제가 드러나고 투구 패턴이 읽혀지는 등 고초를 경험했다. 결국 두산전 완투승 이후 9경기에서 모두 패전투수가 되는 부진을 겪으며 4승 10패 1세이브[* 그 해 SK와의 최종전에서 기록하였다. [[한규식]]의 결승타에 이어 왈론드가 세이브를 기록하며 대형 고춧가루를 뿌렸고 그 결과 SK는 3위로 주저앉았다.] 2홀드 ERA 5.04 라는 기록을 남기고 재계약에 실패했다. === [[마이너 리그]] 시절 === [[LG 트윈스]]와 재계약 불발 후 고국인 [[미국]]으로 돌아갔다. 2006~2007년에는 [[시카고 컵스]] 산하 마이너 팀에서 활약했다. 2006년과 2008년에는 잠깐 메이저리그에도 올라서 16경기에 등판했다. === [[요코하마 베이스타즈]] 시절 === 2009년 [[요코하마 베이스타즈]]와 계약하여 센트럴리그 최하위의 팀성적에도 불구하고 5승 10패 방어율 4.80을 기록했다. 이 와중에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와의 경기에서 1루 악송구를 몇번이나 저지르며 화제가 되기도 했다. === [[두산 베어스]] 시절 === || [[파일:external/sports.chosun.com/a6l74149_12.jpg|width=100%]] || 2010년 [[두산 베어스]]와 계약하면서 5년 만에 [[대한민국]]으로 돌아왔다. 하지만 두산에 같이 들어와서 맹활약한 [[켈빈 히메네스]]와 달리 시즌 전 팔꿈치 통증으로 조금 늦게 합류하였고 2010년 4월 21일 노게임 선언된 잠실 SK전에서는 연속 볼넷과 밀어내기를 남발하여 최악의 제구난을 보였다. 이 사건으로 2군으로 강등당한 후, [[김경문]] 감독이 퇴출을 시사하는 발언을 하기도 했다. 1군에 올라와 불펜에서 다시 감각을 찾은 후 2010년 5월 15일 문학 SK전에서 선발로 등판하여 제구난을 딛고 첫 승을 기록했고,[[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00515_0005203825&cID=10502&pID=10500|#]]이후 출전한 4경기에서도 연속으로 1실점 이하로 막아 3승을 올리는 쾌조를 보여서 퇴출설을 불식시켰다. 시즌 초 부진했던 이유가 올해 초 여친과 헤어진 이후 많이 힘들었다고 한다. 그러나 여름에 보여줬던 모습과 달리 가을 들어 다시 시즌 초반으로 회귀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팬들을 불안하게 만들었다. 그러나 포스트시즌에서는 제대로 각성하며, 팀 투수진의 핵심으로 자리잡았다. 팀이 시리즈 전적 1패로 지던 2010년 9월 30일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에서 열린 [[롯데 자이언츠]]와의 2010년 준 플레이오프 2차전에서 스코어 1:1인 8회초에 등판하여 1⅔이닝 22투구수 1피안타 1탈삼진 무실점으로 호투했지만, 팀은 연장 10회초에 3점을 내주고 스코어 4:1로 졌다. 2010년 10월 2일 [[사직 야구장]]에서 열린 2010년 준플레이오프 3차전에서 팀이 스코어 6:2로 이기던 5회말 무사 1, 3루 상황에서 첫 타자이자 2번타자인 [[손아섭]]에게 희생플라이, 다음 타자 [[조성환(1976)|조성환]]에게 유격수 내야안타를 맞았는데, 유격수 [[손시헌]]이 송구 실책을 저질러 2루 주자마저 홈으로 들어와 스코어 6:4를 만들고 말았다. 그래도 추가 실점없이 3⅔이닝 52투구수 2피안타 1볼넷 2탈삼진 무실점으로 호투했고, 팀이 스코어 6:5로 이기면서 승리투수가 되었다. 2010년 준플레이오프 5경기 중 3경기에 등판하여 7⅔이닝 6피안타 1볼넷 3탈삼진 무실점, 1승을 기록했고 팀은 2연패 뒤 3연승으로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삼성 라이온즈]]와의 2010년 플레이오프 5경기에 전부 등판하여 7⅓이닝 3피안타 6볼넷 1사구(死球) 4탈삼진 2실점 2자책점 평균자책점 2.45, 2홀드를 기록했고 팀은 시리즈 전적 2승 3패로 탈락했다. 왈론드는 2010년 포스트시즌에서 10경기 중 8경기에 등판하여 15이닝 9피안타 7볼넷 1사구(死球) 7탈삼진 2실점 2자책점 평균자책점 1.20, 1승 2홀드를 기록했다. 왈론드가 2010년 포스트시즌에서 기록한 8경기 등판은, 10경기 전부 등판한 [[고창성]]에 이어 2번째로 많은 등판이었고, 15이닝은 4경기에서 17이닝을 던진 히메네스에 이어 2번째로 많은 이닝이었다. 이런 호투에도 불구하고 베어스는 또다시 우승에 실패하며 왈론드의 활약은 빛이 바랬다.[* 결국 다음 시즌인 2011년 김경문 감독은 시즌 도중 해임되었다. 이후 [[NC 다이노스]]의 감독을 맡고 나서도 끝내 포스트시즌 우승에는 실패했다. 공교롭게도 두 팀 모두 김경문이 감독에서 물러난 이후 얼마 지나지 않아 [[김태형(1967)|우승을]] [[이동욱(야구)|차지하며]] 김경문의 평가는 더욱 깎였다.][* 한편 이러한 방식의 무리한 투수 기용은 두산에서도 NC에서도 불펜자원 소모로 이어졌으며 [[2020 도쿄 올림픽]] 야구대표팀 감독 자리에서도 이런 운용을 [[조상우/선수 경력#s-2.9|반복한다]].]포스트시즌이 끝나고 두산은 그를 보류선수 명단에 올려놓았다. 이후 [[라몬 라미레즈(1982)|라몬 라미레즈]]와 [[더스틴 니퍼트]]와 계약하며 왈론드와의 재계약을 포기했다. === 이후 === 이후 [[미국]]으로 돌아간 뒤 [[마이너리그]]에서 활동하다가 2012년에 현역 은퇴를 선언했다. == 연도별 성적 == ||<-17> {{{#000000 역대 기록}}}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수}}} || {{{#ffffff 이닝}}} || {{{#ffffff 승}}} || {{{#ffffff 패}}} || {{{#ffffff 세}}} || {{{#ffffff 홀}}} || {{{#ffffff 승률}}} || {{{#ffffff ERA}}} || {{{#ffffff 피안타}}} || {{{#ffffff 피홈런}}} || {{{#ffffff 4사구}}} || {{{#ffffff 탈삼진}}} || {{{#ffffff 실점}}} || {{{#ffffff 자책점}}} || {{{#ffffff WHIP}}} || || 2003 || [[캔자스시티 로열스|KC]] || 7 || 8 || 0 || 2 || 0 || 1 || 0.000 || 10.13 || 11 || 2 || 7 || 6 || 9 || 9 || 2.25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수}}} || {{{#ffffff 이닝}}} || {{{#ffffff 승}}} || {{{#ffffff 패}}} || {{{#ffffff 세}}} || {{{#ffffff 홀}}} || {{{#ffffff 승률}}} || {{{#ffffff ERA}}} || {{{#ffffff 피안타}}} || {{{#ffffff 피홈런}}} || {{{#ffffff 4사구}}} || {{{#ffffff 탈삼진}}} || {{{#ffffff 실점}}} || {{{#ffffff 자책점}}} || {{{#ffffff WHIP}}} || || 2005 || [[LG 트윈스|LG]] || 19 || 89⅓ || 4 || 10 || 1 || 2 || 0.286 || 5.04 || 85 || 12 || 51 || 68 || 56 || 50 || 1.50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수}}} || {{{#ffffff 이닝}}} || {{{#ffffff 승}}} || {{{#ffffff 패}}} || {{{#ffffff 세}}} || {{{#ffffff 홀}}} || {{{#ffffff 승률}}} || {{{#ffffff ERA}}} || {{{#ffffff 피안타}}} || {{{#ffffff 피홈런}}} || {{{#ffffff 4사구}}} || {{{#ffffff 탈삼진}}} || {{{#ffffff 실점}}} || {{{#ffffff 자책점}}} || {{{#ffffff WHIP}}} || || 2006 || [[시카고 컵스|CHC]] || 10 || 17⅓ || 0 || 1 || 0 || 0 || 0.000 || 6.23 || 19 || 2 || 12 || 21 || 13 || 12 || 1.79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수}}} || {{{#ffffff 이닝}}} || {{{#ffffff 승}}} || {{{#ffffff 패}}} || {{{#ffffff 세}}} || {{{#ffffff 홀}}} || {{{#ffffff 승률}}} || {{{#ffffff ERA}}} || {{{#ffffff 피안타}}} || {{{#ffffff 피홈런}}} || {{{#ffffff 4사구}}} || {{{#ffffff 탈삼진}}} || {{{#ffffff 실점}}} || {{{#ffffff 자책점}}} || {{{#ffffff WHIP}}} || || 2008 || [[필라델피아 필리스|PHI]] || 6 || 10⅓ || 1 || 1 || 0 || 0 || 0.500 || 6.10 || 13 || 0 || 9 || 12 || 7 || 7 || 2.13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수}}} || {{{#ffffff 이닝}}} || {{{#ffffff 승}}} || {{{#ffffff 패}}} || {{{#ffffff 세}}} || {{{#ffffff 홀}}} || {{{#ffffff 승률}}} || {{{#ffffff ERA}}} || {{{#ffffff 피안타}}} || {{{#ffffff 피홈런}}} || {{{#ffffff 4사구}}} || {{{#ffffff 탈삼진}}} || {{{#ffffff 실점}}} || {{{#ffffff 자책점}}} || {{{#ffffff WHIP}}} || || 2009 || [[요코하마 디엔에이 베이스타즈|요코하마]] || 21 || 110⅔ || 5 || 10 || 0 || 0 || 0.333 || 4.80 || 128 || 10 || 54 || 85 || 63 || 59 || 1.61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수}}} || {{{#ffffff 이닝}}} || {{{#ffffff 승}}} || {{{#ffffff 패}}} || {{{#ffffff 세}}} || {{{#ffffff 홀}}} || {{{#ffffff 승률}}} || {{{#ffffff ERA}}} || {{{#ffffff 피안타}}} || {{{#ffffff 피홈런}}} || {{{#ffffff 4사구}}} || {{{#ffffff 탈삼진}}} || {{{#ffffff 실점}}} || {{{#ffffff 자책점}}} || {{{#ffffff WHIP}}} || || 2010 || [[두산 베어스|두산]] || 29 || 129 || 7 || 9 || 0 || 0 || 0.438 || 4.95 || 143 || 13 || 64 || 100 || 84 || 71 || 1.53 || ||<-2>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 통산''' [br] (3시즌) || 23 || 35⅔ || 1 || 4 || 0 || 1 || 0.200 || 7.07 || 43 || 4 || 28 || 39 || 29 || 28 || 2.00 || ||<-2> '''[[일본프로야구|NPB]] 통산''' [br] (1시즌) || 21 || 110⅔ || 5 || 10 || 0 || 0 || 0.333 || 4.80 || 128 || 10 || 54 || 85 || 63 || 59 || 1.61 || ||<-2> '''[[KBO 리그|KBO]] 통산''' [br] (2시즌) || 48 || 218⅓ || 11 || 19 || 1 || 2 || 0.367 || 4.99 || 228 || 25 || 115 || 168 || 140 || 121 || 1.52 || == 은퇴 후 == 2014년 2월 [[보스턴 레드삭스]]의 [[스카우트]]로 임명되었다.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MLB)]] * [[야구 관련 인물(KBO)]] * [[외국인 선수/역대 프로야구]]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왈론드, version=5)] [[분류:미국의 야구 선수]][[분류:외국인 선수(야구)]][[분류:머스코지 출신 인물]][[분류:1976년 출생]][[분류:2003년 데뷔]][[분류:2012년 은퇴]][[분류:좌완 투수]][[분류:좌투좌타]][[분류:캔자스시티 로열스/은퇴, 이적]][[분류:MBC 청룡-LG 트윈스/은퇴, 이적]][[분류:시카고 컵스/은퇴, 이적]][[분류:필라델피아 필리스/은퇴, 이적]][[분류: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은퇴, 이적]][[분류:OB-두산 베어스/은퇴, 이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