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05113b,#05113b '''{{{+1 레비우스}}}'''[br]Levius -レビウス-}}}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레비우스_1권.jpg|width=100%]]}}} || || '''{{{#05113b,#05113b 장르}}}''' ||[[스팀펑크]], [[격투]] || || '''{{{#05113b,#05113b 작가}}}''' ||나카타 하루히사 || || '''{{{#05113b,#05113b 출판사}}}'''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쇼가쿠칸]]^^구판^^, [[슈에이샤]]^^신장판^^[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대원씨아이]] || || '''{{{#05113b,#05113b 연재처}}}''' ||월간 IKKI || || '''{{{#05113b,#05113b 레이블}}}'''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IKKI COMIX^^구판^^[br][[파일:투명.png|width=20]] 영 코믹스 울트라^^신장판^^ || || '''{{{#05113b,#05113b 연재 기간}}}''' ||2013년 2월호 ~ 2014년 11월호 || || '''{{{#05113b,#05113b 단행본 권수}}}'''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3권 ,,(2014. 12. 31. 完),,[* 신장판은 2권 구성(2019. 05. 22. 完)][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3권 ,,(2015. 11. 24. 完),, || [목차] [clearfix] == 개요 == [[스팀펑크]]를 배경으로 한 일본의 [[격투]] 만화. 작가는 나카타 하루히사(中田春彌). == 줄거리 == >신생력 19세기- 전후 제국의 수도에서는, 인체와 기계를 융합시켜 싸우는 '기관권투'라는 이름의 격투기가 성행한다. > >양친이 전쟁으로 희생된 소년 레비우스 크롬웰은 큰아버지 잭 밑에서 기관권투계의 젊은 전사로서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하는데…?!! 인간의 존엄과 문명의 미래가 맹렬히 다투는 최고의 배틀이 지금 시작된다! == 등장인물 == * '''레비우스 크롬웰''' {{{-1 - 성우: [[시마자키 노부나가]]/[[잭 아귈라]]}}} 주인공[* 아버지는 군인이었다.]. 그린브릿지 출신. 전쟁의 영향으로 어머니는 장기투병중[* 자신을 구하기 위한 것이다. 모성애는 대단한 것.]이며 자신 역시 오른팔을 잃었으나 삼촌이었던 잭의 도움으로 이 무대에 뛰어들게 되었다. 참고로 한쪽만 의수인 경우는 레비우스가 유일하다고 한다. * '''잭스 크롬웰''' {{{-1 - 성우: [[스와베 준이치]]/숀 버고스}}} 주인공인 레비우스의 삼촌[* 레비우스의 아버지는 그의 동생이다.]. 서포터, 체육관장. 왼쪽 눈에는 안대를 착용하고 있다. 지하 복서 출신이었으나 상술한 눈의 부상[* 안대로 제어하고 있으나 안대를 벗게 되면 왼쪽 눈으로 상대의 움직임에 대한 열을 감지해낼 수 있다. 다만 이것으로 인해 뇌에 무리가 가게 될 수도 있다고 한다.]으로 인해 은퇴한 상태며 보통 호칭은 '잭'. * '''빌 웨인버그''' {{{-1 - 성우: [[사쿠라이 타카히로]]/[[토드 하버콘]]}}} 잭스가 운영하는 체육관의 전속 기사. 군의관 출신. 효율성있는 사고를 한다. 과거의 사고때문인지 손가락의 일부 마디가 잘려져 있는 상태[* 오른손 쪽. 다섯 손가락이 다 있기는 하나 두 개 정도의 손가락은 정상적인 마디로 붙어있지 않음.]. AJ와의 싸움을 위해 왼팔도 의수화할 것을 제안하나 레비우스는 그것을 거부한다. * '''휴고 스트라토스''' {{{-1 - 성우: [[오노 다이스케]]/[[제이미슨 프라이스]]}}} 티모랄 짐의 에이스 권투사[* 아버지(레이몬드: CV-[[야스하라 요시토]])가 세컨드로 소속되어 있다.]. 현재 3등급 정점. 의수와 의족을 사지에 모두 착용하고 있다. 레비우스의 승격전 상대. 하지만 전초전에서 AJ에게 크게 털리게 되어 리타이어하게 된다. * '''마샤 크롬웰''' {{{-1 - 성우: [[이자와 마키]]/[[줄리 앤 테일러]]}}} 잭스의 엄마이자 레비우스의 할머니. 현재 같이 살고 있다. * '''AJ 랭던''' {{{-1 - 성우: [[하야미 사오리]]/[[크리스틴 마리 카바노스]]}}} 클라운 박사의 옆에서 활동하고 있는 소녀. 레비우스와 과거에 만난 적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 동향 출신이다[* 가족으로는 남동생이 있었다. 이름은 발두스. 성우는 [[카토 미사]].]. Dr. 클라운의 양녀. 6화에서 휴고의 전초전 상대로 등장하여 그를 철저히 공략, KO 시킨다. 레비우스는 이 캐릭터의 의수에 있는 심볼로 과거 전쟁과 관련된 것인지도 모른다는 추측을 하게 되었으나 자신이 과거에 만났던 그녀라는 것을 알고 놀란다. * '''Dr. 클라운''' {{{-1 - 성우: [[미야노 마모루]]/[[트레버 디볼]]}}} 군사복합체 초거대기업 '아메지스트'의 최고간부. 오른쪽 눈은 의안개조가 되어 있으며, 얼굴에 흉터를 가리기 위해 가면[*스포일러 사실 클라운은 기계인간으로, 이 가면 아래에는 피부가 '깨진' 흉터가 존재하고 그 아래에는 검은 튜브가 있는 기계의 모습이 드러나 있다.]을 쓰고 있다. 양손잡이[* 왼손필기 가능.]. * '''나탈리아 가넷''' {{{-1 - 성우: [[사쿠라 아야네]]/[[줄리아 맥일베인]]}}} 잭스의 체육관에 소속되어 있는 동료이자 라이벌 권투사. 고아원 출신. 레비우스의 데뷔전 상대였으며 꽤나 빠르게 패배한 것에 자신의 실력이 아닌 다른 이유가 있는 것으로 생각하여 이적했다고 한다. --참고로 해당 이름은 여성 이름이나 성별까지 여자인지는 불명. 다만 애니판에서는 성우도 여자 성우에 몸의 형태도 여자의 몸을 하고 있다. 게다가 레비우스의 말에 얼굴을 살짝 붉히는 신도 있는 걸로 애니판은 여자로 봐도 된다.-- 원작도 여성이다. 레비우스의 후편을 다루는 레비우스 이스트에선 레비우스의 아내를 자칭하며 소란을 피워 이적했던 레비우스의 체육관에서 쫒겨났다 * '''말콤 이덴''' {{{-1 - 성우: [[오오츠카 호츄]]}}} 과거 2등급이었으나 나이(40세)때문에 3등급으로 강등된 베테랑이자 트릭키[* 반칙의 움직임뿐 아니라 의족으로 사용해야 할 부분을 의수로 개조하여 사용하고 있다. 참고로 그의 눈은 인공안구. 다만 오른쪽 눈은 단순히 인공안구일 뿐 시합에서는 감으로 모든 것을 진행해 나갔다고 시합 후 레비우스에게 밝힌다.]한 움직임의 복서. 하지만 그 실력은 지금도 무시하지 못할 수준으로 그와 대결한 상대는 모두 사망했다고 한다. 레비우스가 플로이드에게 승리한 후 다음 상대로 결정. 그 위험성을 알고 있었기때문에 잭은 자신의 판단으로 이 시합을 기권하려 했다. 가족으로는 딸[* 성우는 [[미즈타니 마린]].]이 있다. 레비우스와의 시합 후 자신의 한계를 자각, 그에게 은퇴를 결정할 수 있게 한 것을 감사하며 딸의 곁으로 돌아가게 된다. 이후 자선활동을 하면서 여생을 보내고 있는 듯 하며, 레비우스의 시합에 스파링으로 참여하여 멘토가 되어준다. * '''플로이드 앤더슨''' {{{-1 - 성우: [[나카무라 쇼고]]}}} 레비우스가 애니메이션 내에서 첫번째로 대결한 상대. * '''로즈 크롬웰''' {{{-1 - 성우: 카토 미사}}} 레비우스의 엄마. 전쟁의 피난 중 아들을 구하고 그 후유증으로 현재는 병원에 장기 입원중. 레비우스는 그녀의 입원비를 벌기 위한 목적으로 이 세계에 들어오게 되었다. * '''존즈''' 2등급의 실력자. 티모랄 짐 소속으로 휴고는 그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고 한다. 비행기 사고로 휴고의 데뷔 직전 사망. * '''심판''' {{{-1 - 성우: [[사사 켄타]]/[[더그 어홀츠]]}}} == 설정 == * '''아갈타 워터''' 혈액과 섞이면 인간의 의지대로 움직이는 특수 물질. 작중에선 이 물질로 의수를 움직여 싸운다. 전쟁의 원인이 되기도 할 정도로 문명에 새로운 발견이 된 물질이다. == 미디어 믹스 == === 애니메이션 === ||<-2>
'''[[넷플릭스|{{{#05113b,#05113b 넷플릭스 오리지널}}}]]'''[br]{{{#05113b,#05113b '''{{{+1 레비우스}}}''' (2019)[br]Levius -レビウス-}}}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레비우스_애니키비주얼.jpg|width=100%]]}}} || ||<-2> {{{#05113b,#05113b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05113b,#05113b 원작}}}''' ||나카타 하루히사(中田春彌) || || '''{{{#05113b,#05113b 총감독}}}''' ||[[세시타 히로유키]] || || '''{{{#05113b,#05113b 감독}}}''' ||이데 케이스케(井手恵介) || || '''{{{#05113b,#05113b 시리즈 구성}}}''' ||[[세코 히로시]] || || '''{{{#05113b,#05113b 각본}}}''' ||세코 히로시[br]이하라 켄타(猪原健太) || || '''{{{#05113b,#05113b 프로덕션 디자인}}}''' ||타나카 나오야(田中直哉)[br]Ferdinando Patulli || || '''{{{#05113b,#05113b 캐릭터 디자인}}}''' ||모리야마 유키(森山佑樹) || || '''{{{#05113b,#05113b 메카닉 디자인}}}''' ||호아시 타케히코(㠶足タケヒコ) || || '''{{{#05113b,#05113b 디렉터 오브 포토그래피}}}''' ||카타아마 미츠노리(片塰満則) || || '''{{{#05113b,#05113b CG 슈퍼바이저}}}''' ||이와타 켄지(岩田健志) || || '''{{{#05113b,#05113b 미술 감독}}}''' ||하타케야마 유키(畠山佑貴) || || '''{{{#05113b,#05113b 색채 설계}}}''' ||<|2>노지 히로노리(野地弘納) || || '''{{{#05113b,#05113b 색지정}}}''' || || '''{{{#05113b,#05113b 음향 감독}}}''' ||[[이와나미 요시카즈]] || || '''{{{#05113b,#05113b 음향 효과}}}''' ||코야마 야스마사(小山恭正) || || '''{{{#05113b,#05113b 녹음 조정}}}''' ||야마구치 타카유키(山口貴之) || || '''{{{#05113b,#05113b 음악}}}''' ||[[칸노 유고]] || || '''{{{#05113b,#05113b 음악 제작}}}''' ||ONE MUSIC || || '''{{{#05113b,#05113b 애니메이션 제작}}}''' ||<|2>[[폴리곤 픽처스]] || || '''{{{#05113b,#05113b 제작}}}''' || || '''{{{#05113b,#05113b 공개 시기}}}''' ||[[애니메이션/2019년 10월|2019. 11. 28.]] || || '''{{{#05113b,#05113b 방영 기간}}}''' ||[[애니메이션/2021년 1월|2021. 01. 10.]] ~ 2021. 03. 28. || || '''{{{#05113b,#05113b 스트리밍}}}''' ||[[넷플릭스]] [[https://www.netflix.com/title/80156799|▶]]^^독점^^ || || '''{{{#05113b,#05113b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도쿄 메트로폴리탄 텔레비전|도쿄 MX]] / (일) 01:00 || || '''{{{#05113b,#05113b 편당 러닝타임}}}''' ||24분 || || '''{{{#05113b,#05113b 화수}}}''' ||12화 || || '''{{{#05113b,#05113b 시청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15세 이용가|[[파일:영등위_15세이상_2021.svg|width=25]] {{{#373a3c,#dddddd 15세 이상 관람가}}}]] || || '''{{{#05113b,#05113b 관련 사이트}}}''' ||[[https://levius.net/|[[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levius_tvanime|[[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width=25]]]] || }}}}}}}}}}}} || 나카타 하루히사(中田春彌)의 동명의 만화를 원작으로 하여, [[넷플릭스]]에서 서비스하는 오리지널 일본 애니메이션. 총감독 [[세시타 히로유키]]. 미국에서는 영어더빙되어 서비스된다. 한국에서는 별도의 더빙은 없지만 넷플릭스에 한글 자막으로 시청할 수있다. [[애니메이션/2021년 1월|2021년 1월]]부터 일본에서 TV로 방영이 결정되었다.[[https://levius.net/news/131|#]] ==== 주제가 ==== ===== 넷플릭스판 ===== ||<-2>
'''{{{#05113b,#05113b 레비우스 여는 노래}}}'''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 width=100%)]}}} || ||<-2> '''{{{#05113b,#05113b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 width=100%)]}}} || ||<-2> '''{{{#05113b,#05113b Full ver.}}}''' || || '''제목''' || wit and love || || '''노래''' || 나조온나(謎女) || || '''작사''' ||<|2> Gorden || || '''작곡''' || || '''편곡''' || - || || '''콘티''' || - || || '''연출''' || - || || '''작화감독''' || - || || '''총 작화감독''' || - || ||<-2> {{{#!folding 가사 ▼ ||
'''(원어 가사)''' || || (한국어 가사) || }}} || ||<-2>
'''{{{#05113b,#05113b 레비우스 닫는 노래}}}'''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 width=100%)]}}} || ||<-2> '''{{{#05113b,#05113b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 width=100%)]}}} || ||<-2> '''{{{#05113b,#05113b Full ver.}}}''' || || '''제목''' || child dancer || || '''노래''' || 나조온나(謎女) || || '''작사''' ||<|2> Gorden || || '''작곡''' || || '''편곡''' || - || || '''콘티''' || - || || '''연출''' || - || || '''작화감독''' || - || || '''총 작화감독''' || - || ||<-2> {{{#!folding 가사 ▼ ||
'''(원어 가사)''' || || (한국어 가사) || }}} || ===== TV판 ===== ||<-2>
'''{{{#05113b,#05113b 레비우스 여는 노래}}}'''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 width=100%)]}}} || ||<-2> '''{{{#05113b,#05113b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j7fk281wDKQ, width=100%)]}}} || ||<-2> '''{{{#05113b,#05113b Full ver.}}}''' || || '''제목''' || Link or Chains || || '''노래''' || [[미즈키 나나]] || || '''작사''' || - || || '''작곡''' || - || || '''편곡''' || - || || '''콘티''' || - || || '''연출''' || - || || '''작화감독''' || - || || '''총 작화감독''' || - || ||<-2> {{{#!folding 가사 ▼ ||
'''(원어 가사)''' || || (한국어 가사) || }}} || ||<-2>
'''{{{#05113b,#05113b 레비우스 닫는 노래}}}'''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 width=100%)]}}} || ||<-2> '''{{{#05113b,#05113b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VMqa2DIwpI8, width=100%)]}}} || ||<-2> '''{{{#05113b,#05113b Full ver.}}}''' || || '''제목''' || Beautiful Doll || || '''노래''' || [[미야노 마모루]] || || '''작사''' || - || || '''작곡''' || - || || '''편곡''' || - || || '''콘티''' || - || || '''연출''' || - || || '''작화감독''' || - || || '''총 작화감독''' || - || ||<-2> {{{#!folding 가사 ▼ ||
'''(원어 가사)''' || || (한국어 가사) || }}} || ==== 회차 목록 ==== ||
'''회차''' || '''제목'''[*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스트리밍사인 [[넷플릭스]] 판을 기준으로 한다.] || '''콘티''' || '''연출''' || || 제1화 || 肘にかかる負荷が半端ねぇんだよ![br]필살의 펀치 || [[료치모]][br]코지[br](こうじ) || 코지 || || 제2화 || あの子とはうまくやれそうかい?[br]권투를 만나다 || 오쿠야마 키요시[br](奥山 潔)[br]이와타 켄지[br](岩田健志) || 이와타 켄지 || || 제3화 || あんなので、まだ肘当てって言えんの?[br]죽음의 대전 || 료치모[br]코지 || 코지 || || 제4화 || あいつ、あいつはやっぱり…[br]레비우스의 선율 || 오쿠야마 키요시[br]코지 || 이와타 켄지 || || 제5화 || 闘う前に負けることを考えるバカにみえるか?[br]패배는 모른다 ||<|2> 오쿠야마 키요시[br]이와타 켄지 || 코지 || || 제6화 || 「助けて!」って言ったんだ…[br]구해줘 || 이와타 켄지 || || 제7화 || 僕のこと…覚えてるかな?[br]그린브리지의 소녀 || 료치모 || 코지 || || 제8화 || 腹が立つな、その才能には…[br]그가 싸우는 이유 || 오쿠야마 키요시[br]이와타 켄지 || 이와타 켄지 || || 제9화 || まだ続けるかね?[br]해낼 수만 있다면 || 료치모 || 코지 || || 제10화 || アンタをボコボコにすんのはアタシだろうが![br]그녀의 목소리 ||<|3> 오쿠야마 키요시[br]이와타 켄지 || 이와타 켄지 || || 제11화 || 可能性は限りなくゼロに近い![br]단 한 번의 기회 || 코지 || || 제12화 || 今日はいつもより晴れてるね[br]하늘이 맑은 날 || 이와타 켄지 || [[분류:일본 만화/목록]][[분류:2012년 만화]][[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분류:2019년 4분기 일본 애니메이션]][[분류:2021년 1분기 일본 애니메이션]][[분류:넷플릭스 오리지널 일본 애니메이션]][[분류:일본 만화 원작 애니메이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