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희곡]][[분류:2009년 극작품]] [include(틀:신시컴퍼니 제작)] ||
<-5><:> {{{#E5D85C ''' 역대 [[토니상|{{{#E5D85C 토니상 시상식}}}]] ''' }}} || ||<-5><:> [[파일:tonyawards.png|width=80]] || ||<-5><:> {{{#E5D85C '''최우수 연극'''}}}|| ||<:> '''제63회[br](2009년)''' ||<:> {{{+1 → }}} ||<:> '''제64회[br](2010년)''' ||<:> {{{+1 → }}} ||<:> '''제65회[br](2011년)''' || ||<:> [[대학살의 신]] || → ||<:> '''레드''' || → ||<:> 워 호스 || ||<-5><:> || [[파일:연극 레드 2019.jpg]] [youtube(ED0hrzFWZrI)] >'''"뭐가 보이지?"''' >'''"레드요."''' >'''There is only one thing I fear in life, my friend. One day the black will swallow the red.''' >'''삶에서 두려운 것이 하나 있거든. 그건 언젠가 [[블랙]]이 [[레드]]를 삼켜 버릴 거라는 거야.''' > - 극중 마크 로스코의 대사 [목차] == 소개 == 미국의 극작가 존 로건[* [[할리우드]] 각본가로도 활동하면서 [[글래디에이터(영화)|글래디에이터]], [[에비에이터]], [[휴고(영화)|휴고]], [[007 스카이폴]] 등의 각본을 쓰기도 했고, 뮤지컬 [[물랑루즈!]]의 각본 등을 집필하기도 했다.]의 2인극. 등장인물은 실존인물인 [[추상표현주의]] 화가 [[마크 로스코]]와 가상인물인 그의 조수 켄이다. 극은 총 5장으로 구성된 단막극이며, 2년이 넘는 시간 동안 로스코의 작업실이라는 같은 공간 안에서 로스코와 켄 두 사람의 대화로만 이루어진다. 때문에 대사의 양이 방대하다. 대사는 마크 로스코의 생전 실제 발언들을 토대로 한 것이 대부분이다. [[현대미술]] 사조가 추상표현주의에서 [[팝아트]]로 변화하던 1958년, 뉴욕에서 벌어지는 추상표현주의 화가 마크 로스코의 [[씨그램]] 빌딩 벽화 사건을 배경으로 한 이야기다. 소재 자체는 씨그램 빌딩 벽화 사건이지만, 극은 각각 로스코와 켄으로 대변되는 이전 세대와 새로운 세대간의 대립, 예술과 상업의 대립, 이성과 지성의 대립 등 인간의 삶에 대한 깊은 고찰이 주된 내용이다. 2009년 런던에서 초연된 뒤 2010년 [[브로드웨이]]에서 선보여졌다. 초연 캐스트는 [[스파이더맨 2]]의 [[닥터 옥토퍼스(스파이더맨 트릴로지)|닥터 옥토퍼스]]로 유명한 [[알프레드 몰리나]]와[* 2019년 [[알프레드 에녹]]과 함께 [[웨스트엔드]] 프로덕션에 출연하기도 했다.] [[에디 레드메인]]. 2010년 [[토니상]] 최우수 연극작품상을 비롯해 연출상, 조명상, 음향상, 무대 디자인상, 그리고 에디 레드메인이 남우조연상을 수상하면서 총 6개 부문을 석권한 작품이다. 대사가 상당히 현학적이고 추상적이기도 하고, 근현대 미술 사조 및 극중 언급되는 미술 작품과 인문학을 전혀 모른다면 작품을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다. 때문에 공식 홍보물로 소개되는 배경지식을 미리 알고 간다든가, 극을 관람한 이후에 극에서 언급된 부분들을 약간이라도 공부해 본다면 작품을 감상하고 이해하기가 수월할 것이다. == 씨그램 빌딩 벽화 사건 == [[파일:fourseasons-1959.jpg]] 포 시즌스 레스토랑, 1959년. 1958년 마크 로스코는 건축가 [[미스 반 데어 로에]]가 건축한 맨해튼 씨그램 빌딩[* 바로 그 음료 브랜드 [[씨그램]]의 본사 건물로 지어졌다. [[티파니에서 아침을]]에서 비중있는 장소로 등장하기도 한 건물로, 오늘날까지도 빌딩 건축의 표준이 되는 혁신적인 건축물.]의 포 시즌즈 레스토랑을 장식할 벽화를 주문받는다. 3만5천달러의 거금의 계약금을 받고서 로스코는 대규모의 벽화 연작 3부작을 구상해내며 총 40여점 이상의 작품을 그려낸다. 하지만 1년 뒤인 1959년, 로스코는 직접 포 시즌즈 레스토랑을 방문한 뒤로 이 계약을 돌연 파기해 버리고, 계약금을 돌려주고서 그림은 도로 받아내었다. 연극 레드는 이 사건의 전후 상황을 로스코와 가상의 인물 켄의 대화를 중심으로 재구성 한 작품이다. == 역대 국내 공연 == 국내에서는 [[신시컴퍼니]]가 수입하여 공연하였다. 2011년 초연 이후 인기를 끌며 계속해서 다시 무대에 올려졌다. ||
'''{{{#ffffff 회차}}}''' || '''{{{#ffffff 공연 날짜}}}''' || '''{{{#ffffff 공연 장소}}}''' || '''{{{#ffffff 마크 로스코}}}''' || '''{{{#ffffff 켄}}}''' || || 1 || 2011. 10.14 - 11. 6 || 동국대 [[이해랑 예술극장]] || [[강신일]] || [[강필석]] || || 2 || 2013. 12. 21 - 2014. 1. 26 || [[예술의전당]] 자유소극장 || [[강신일]] || [[강필석]], [[한지상]] || || 3[* 때마침 국내에서 처음으로 로스코 전시회가 열리며 로스코라는 이름이 대중의 입에 오르내릴정도로 더욱 유명해졌다.] || 2015. 5. 3 - 5. 31 || [[충무아트홀]] 중극장 블랙 || [[정보석]], 한명구[* 2018년 [[미투 운동]]에서 성추행 가해자로 지목되면서 2019년 공연의 이벤트를 비롯한 공식 홍보 컨텐츠에서 이름이 빠졌다.] || [[박은석]], [[박정복]] || || 4 || 2016 6. 5 - 7. 10 ||<|3> [[예술의전당]] 자유소극장 || [[강신일]], 한명구 || [[박정복]], [[카이(1981)|카이]] || || 5 || 2019. 1. 6 - 2. 10 || [[강신일]], [[정보석]] || [[김도빈]], [[박정복]] || || 6 || 2022.12.20 - 2.19 || [[유동근]], [[정보석]] || [[강승호(배우)|강승호]], [[연준석]]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레드, version=191, paragraph=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