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파일:5ARYZvK4L2afx8AcWcf6kF-1.jpg|width=60]] {{{+1 '''[[로큰롤 명예의 전당|{{{#DAA520 로큰롤 명예의 전당}}}]] {{{#DAA520 헌액자}}} ''' }}} || ||<-2><^|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DAA520 이름}}}''' || '''{{{#DAA520 레드 벨리 [br] LEAD BELLY }}}''' || || '''{{{#DAA520 헌액 부문}}}''' || '''{{{#DAA520 개척자 (Early Influences)}}}''' || || '''{{{#DAA520 멤버}}}''' || '''{{{#DAA520 (개인 자격)}}}''' || || '''{{{#DAA520 입성 연도}}}''' || '''{{{#DAA520 1988년}}}''' ||}}}}}}}}} || ||<-2> '''{{{+1 레드 벨리}}}[br]Lead Belly'''[* 대체로 붙여쓴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본인은 이렇게 작성했다. 그의 묘비와 레드 벨리 재단도 띄어서 썼다.]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Leadbelly_with_Accordeon.jpg|width=100%]]}}} || || '''본명''' ||허디 윌리엄 레드베터[br]Huddie William Ledbetter|| ||<|2> '''출생''' ||[[1888년]] [[1월 20일]] || ||[[루이지애나주]] 무어링스포트|| ||<|2> '''사망''' ||[[1949년]] [[12월 6일]] (향년 61세)|| ||[[뉴욕주]] [[뉴욕시]]||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직업''' ||음악가, 싱어송라이터|| || '''장르''' ||포크 블루스, [[포크 음악|포크]], [[가스펠]]|| || '''악기''' ||[[보컬리스트|보컬]], [[기타]], [[아코디언]], [[피아노]]|| || '''활동''' ||1903년 ~ 1949년|| || '''배우자''' ||엘레타 핸더슨 ^^(1916년 ~ ?, 이혼)^^[br]마르타 프로미스 ^^(1935년 결혼)^^|| || '''파트너''' ||마가렛 콜맨 ^^(1905년 ~ ?)^^|| || '''자녀''' ||2명|| || '''링크''' ||[[http://leadbelly.org/|공식 사이트]]||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etail,_(Portrait_of_Leadbelly,_National_Press_Club,_Washington,_D.C.,_between_1938_and_1948)_(LOC)_(4843137007)_(cropped).jpg|width=100%]]}}} || 미국의 음악가로, 블루스의 민속 전통을 대중에게 알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말년에야 성공을 거뒀으나 얼마 안 가 사망했다. == 생애 == === 출생 ~ 활동 초기 === 그는 루이지애나주 무어링스포트 부근의 지터 농장에서 존 웨슬리 레드베터와 샐리 퓨의 [[외동아들]]로 태어났다.[*A Elizabeth Winter, "[[https://www.blackpast.org/african-american-history/ledbetter-leadbelly-huddie-1888-1949/|HUDDIE (LEADBELLY) LEDBETTER (1888-1949)]]", blackpast.org, 2007.12.6.][*B Bob L. Eagle · Eric S. LeBlanc, "Blues: A Regional Experience" (ABC-CLIO · 2013.5.1.), 301쪽, [[https://books.google.co.kr/books?id=6ZNfAQAAQBAJ&lpg=PA301&dq=Blues%20-%20A%20Regional%20Experience%20lead%20belly&hl=ko&pg=PA301#v=onepage&q\&f=false|#]]][*C William Ruhlmann, "[[https://www.allmusic.com/artist/lead-belly-mn0000124390/biography|Lead Belly: Biography]]", [[올뮤직]]] 출생 시기는 1888년 혹은 89년 1월이며 정확한 일자는 자료마다 달라서 불명확하다. * 1888년 출생이란 자료: [*A][*B][*C][* Drew Wardle, "[[https://faroutmagazine.co.uk/lead-belly-six-best-songs/|Six definitive songs: The ultimate beginner's to Lead Belly]]", 「Far Out Magazine」, 2020/21] * 1889년 출생이란 자료: [*D "[[https://www.leadbelly.org/leadbelly.html|About Lead Belly]]", leadbelly.org][* "[[https://steidl.de/Artists/Lead-Belly-1723273547.html|Lead Belly]]", Steidl (출판사)] 그는 5살쯤에 가족과 텍사스주 해리슨 카운티 근처로 이주했으며[*C], 어릴 적 삼촌에 의해 [[아코디언]]을 접했으며 급속도로 음악에 관심을 가지게 됐다.[*A] 8학년에 학교를 그만두고[*D] 1903년에 첫 악기를 얻고서[*C], 같은 해 (혹은 1904년[*B])에 집을 떠나 지역 파티, 술집, 매춘 업소, 슈리브포트의 댄스홀에서 활동하기 시작했다.[*A] 루이지애나에서 활동한 후 [[텍사스주]] [[댈러스]]에서 1908년까지 거주하던 그는, 병으로 루이지애나로 돌아와 2년 간 부모와 같이 살았다.[*A] 이후 병이 호전되자 그는 댈러스로 돌아갔는데[*A], 1910년엔 텍사스주 해리슨 카운티 리 마을에 거주하고 있었다.[*B] 어느날 텍사스주에서 12현 기타를 잡게 되는데, 그 뒤 그는 이 기타를 "스텔라"란 애칭으로 불렀다고 한다.[*A][*D] 그는 1912년에 [[블라인드 레몬 제퍼슨]]을 만났고 그에게 슬라이드 기타를 배웠다.[* Dick Weissman, "Blues" (Infobase Publishing · 2005), 112쪽, [[https://books.google.co.kr/books?id=rk_A3-UHgEMC&lpg=PA112&dq=Lead%20Belly&hl=ko&pg=PA112#v=onepage&q&f=false|#]]] 그는 음악 활동을 하면서도 필요에 따라 노동도 겸했다.[*D] 1915년경에도 해리슨 카운티에 머무르고 있었다.[*C] === 범죄 === 본래 [[다혈질]]이던 레드 벨리는 이런 성격 때문에 종종 곤경에 처할 때가 있었다.[*A] 결국 1915년 6월[*C] 폭행죄로 투옥되었다가 탈옥해 월터 보이드란 가명으로 살았으나, 1917년 12월[*E Biography.com Editors, "[[https://www.biography.com/musician/lead-belly|Lead Belly]]", biography.com, 2014.4.1.]에 [[댈러스]]에서 한 남자와의 다툼 끝에 그를 살해해 30년형을 선고받고 쇼 주립 교도소에 수감되었다.[*A][*D] 수감 후 그곳에서 레드 벨리란 별명을 얻고 같은 수감자들에게 많은 노래를 배웠다. 1924년 초엔 팻 네프 주지사에게 사면을 요청하는 노래를 불러 1년 후 사면을 받았지만, 1930년에 파티에서의 다툼으로 인해[*D] [[살인미수]]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아 다시 옥살이를 하게 되었다.[*E] === 재기 === 그렇게 루이지애나주의 악명높은 교도소인[* "[[https://www.npr.org/2015/02/21/387566023/that-blew-my-mind-raiding-the-lead-belly-vault|'That Blew My Mind': Raiding The Lead Belly Vault]]", 「[[NPR]]」, 2015.2.21.] 앙골라 교도소에서 복역하던 도중, 존 로맥스 (John Lomax) 와 그가 만나게 됐다. 존은 두 차례에 걸쳐 그의 음악을 녹음했으며, 그는 1934년 8월 1일[*B]에 감형으로 석방되자 존과 교도소 돌아다니기를 함께 했으며 여러 곳에 출연했다.[*A][*C] 1935년 3월, 존 로맥스에게 신뢰를 잃은 그는 존에게 손절당하고 [[루이지애나주]]로 돌아왔다.[*C] 다음 해 [[뉴욕]]에 정착해 활동하기 시작했는데 그는 히트곡을 낼려고 애썼다.[*A] 몇 년이 지났음에도 히트곡을 못 냈지만 명성은 계속해서 쌓아갔다. 그러다 1939년 3월에 뉴욕에서 한 남자를 칼로 찔러서 체포된 뒤 3급 폭행죄[*C]로 8개월 형을 선고받았으며[*E], 석방된 후 1940년대 초엔 [[우디 거스리]] 등과 공연하기도 했다.[*F "[[https://www.britannica.com/biography/Leadbelly|Lead Belly: American musician]]", [[브리태니커 대백과사전]]][*D] 1945년엔 단편 영화에 출연했다고 하며, 1949년엔 [[파리(프랑스)|파리]]에서 콘서트를 했다.[*F] === 말년과 사망 === [[로스앤젤레스]]에 있는 동안 그는 캐피톨 레코드와 계약하고 음반을 작업하여 드디어 성공을 거뒀다.[*E] 그러나 말년에 그는 [[근위축성측색경화증]]의 증상을 보이기 시작했다. 1948년에 그는 다리에 알 수 없는 저림으로 인해 지팡이를 사용하거나 앉아서 공연을 해야 했다.[*C] 1949년 5월에 [[프랑스]]에서 근위축성측색경화증 판정을 받았고[*C], 결국 1949년 12월 6일에 뉴욕시에서 가난하게[*F] 숨졌다. 사후 [[루이지애나주]] 슈리브포트 북쪽에 있는 샤일로 [[침례회]] 묘지에 장사되었다.[*G Christine Hamm, "[[https://www.tshaonline.org/handbook/entries/ledbetter-huddie-leadbelly|Ledbetter, Huddie [Lead Belly\]]]", tshaonline.org, 1976] == 사생활 == 그는 1905년에 마가렛 콜맨과 사귀기 시작해서 2명의 자녀를 낳았다. 이후 1916년에 엘레타 핸더슨과 결혼했지만 결국 이혼했다. 그 뒤 1935년 루이지애나주 출신의 마르타 프로미스와 결혼해 그가 죽을 때까지 함께했다.[*G] [[분류:미국의 싱어송라이터]][[분류:미국의 기타리스트]][[분류:미국의 피아니스트]][[분류:1949년 사망]][[분류:캐도 패리시(루이지애나) 출신 인물]][[분류:로큰롤 명예의 전당 헌액자]][[분류:신경질환으로 죽은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