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2021년 미국의 코미디 영화, rd1=레드 로켓(영화))] [include(틀:폴아웃 시리즈/전쟁 전 기업)] [목차] [[파일:Fo4-red-rocket-logo.png]] == 개요 == Red Rocket. [[폴아웃 시리즈]]에 등장하는 [[가공의 기업]]으로 [[주유소]] 프랜차이즈다. == 역사 == 전쟁 전 주유소 프랜차이즈로 [[수도 황무지]]를 넘어 [[커먼웰스(폴아웃 4)|커먼웰스]], [[파 하버|메인 주]], [[애팔래치아(폴아웃 76)|애팔래치아]]까지 퍼져있을 정도로 강세를 보이지만 서부 쪽에서는 [[포세이돈 에너지]]가 특강세를 보여서인지 찾아볼 수 없다. 문제는 전쟁 전 당시에는 원자력 차량이 등장한데다 자원 전쟁이 일어날 정도로 자원 고갈 상태가 심각했다.[* 특히 주유 업계의 주 상품인 기름은 더욱 심각했는데 전차 돌릴 기름이 없어서 1인 전차인 [[파워 아머(폴아웃 시리즈)|파워 아머]]를 개발한데다 대전쟁이 일어날 즈음 기름이 그나마 남았던 채굴지는 포세이돈 정유소가 유일했다.] 어쨌든 이렇다보니 주유소란 장소 자체의 효용성이 증발할 위기해 처해 타개책으로 [[냉각수]] 판매를 시도하였다.[* 참고로 [[포세이돈 에너지]]도 같은 딜레마에 처해 있었지만 이쪽은 냉각수 대신 다른 자원이나 시장 분야를 개발하는 쪽으로 진행하였다.] 원자력 엔진도 만능은 아니라 언제나 과열 위험도 있고 조그만 충격이나 열에도 터져버리는 정신나간 물건이라 지속적으로 냉각시켜줄 냉각수의 수요가 높았기 때문에 과거에 팔던 가솔린과 디젤에 더해 원자로의 냉각수를 판매하려 했다.[* 타입도 따로 존재해서 A타입 냉각수는 갤런당 103.99달러, C 타입은 113.99달러로 판매되었다.][* 그래서 로고를 보면 판매물품인 가솔린, 디젤, 퓨전이 로켓 주변에 원형으로 쓰여져 있다.] 수요가 엄청났던지 이후 냉각수만 전문적으로 판매하는 간이 배급소도 등장할 정도였으나 하필이면 이 사업을 시작하던 때가 다름 아닌 [[대전쟁|2077년]]. == 레드 로켓 주유소 == 지역에 따라 제각각의 형태를 보이지만 기본적으로 레드 로켓이란 이름답게 크고 아름다운 로켓 조형물 장식이 되어있는 것이 특징. 그러나 대부분 자발적으로 주유하고 계산하는 타입인지 별도의 가게가 있는 타입은 커먼웰스 등지에서 밖에 못 보고 수도 황무지에서는 사실상 조형물만 볼 수 있다. === [[폴아웃 3]] === [[파일:RedRocketCA.jpg]] 컨셉아트의 모습. [[파일:Springvale_Red_Rocket_gas_stop.png]] [[스프링베일]]에서 볼 수 있는 레드 로켓. 그래픽 구현의 한계로 인해 매우 단촐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원래 컨셉아트에서는 조형물 뿐만 아니라 사람이 기계 안에 들어가 정비하고 있는 것을 구현하려고 했으나[* 즉 아톰 펑크로 로봇까지 있는 세계관에서 수동식 정비를 수행하던 모습이었다. 그러나 컨셉아트의 설정이 아직 남았었는지 폴아웃 4 빌보드 중 하나에는 [[https://vignette4.wikia.nocookie.net/fallout/images/d/dc/FO4_AD_Red_Rocket_1.png/revision/latest?cb=20160920191229|로봇식 세척 시스템]]을 광고하는 광고판이 존재한다.] 기술력 문제로 죄다 잘리고 조형물만 등장한다. 사실상 랜드마크 외에 루팅하는 것 외에는 별 의미는 없다. 핵이 직빵으로 떨어진 곳이다보니 남아있는 곳이 커먼웰스보다 매우 적은 편. ==== [[수도 황무지]] ==== 랜드마크지만 별도의 마크는 없기 때문에 주변에 있는 대표 마크를 통해 위치를 설명한다. * [[앤데일]] - 메인 스트리트에서 주거지 남쪽에 위치. * [[베데스다 폐허]] - 폐허 서쪽에 위치. * [[빅 타운]] - 마을 외곽에서 오른쪽에 위치. * 차량 거래소(Car dealership) - 해당 위치에서 북동쪽에 위치. * 프렌드쉽 헤이츠(Friendship Heights) - 역의 북서부쪽에 위치. 레이더 캠프 중 하나다. * 조코의 팝&정유소(Jocko's Pop & Gas Stop) - 양철 오두막 옆에 있다. * [[올드 올니]] - 랜덤 인카운터 존 근처에 있다.[* 황무지인과 라드스콜피온이 싸우는 랜덤 인카운터다.] 문제는 여기에 ''[[데스클로(폴아웃 시리즈)|데스클로]]''가 있으므로 주위. * 락브레이커의 마지막 가스(Rockbreaker's Last Gas) - '''엔클레이브 기지 중 하나다.''' 파워 아머로 무장한 놈들도 있으니 주의. * [[스프링베일]] - 메인 스트리트에 위치 * 스미스 케이시의 차고 - 볼트 112와 근처에 위치. * 윌리의 식료품점(Willy's Grocer) - 유일하게 레드로켓 정유소 자체가 마크지정된 곳. 텐페니 타워 근처에 있다. 간이 식료품이 근처에 있는데다 안에 금고도 있어서 루팅하기에는 쏠쏠한 곳이다. * [[텐페니 타워]] - 동쪽에 위치. 랜덤 인카운터 존이기도 하다. === [[폴아웃 4]] === 조형물만 존재하던 전작보다 존재감이 일신해서 등장했다. 조형물로서의 존재감 외에도 간이 건물 또한 설치되어 주유소란 느낌이 제대로 들 뿐만 아니라 일부는 정착지로 사용된다는 점을 고려하여 다양한 기믹과 종류가 추가되었고 오프닝이나 트레일러에서 그 막강한 존재감을 어필하였다.[* 다만 아쉽게도 오프닝에 등장하는 차고만 있는 버전은 제공되지 않는다. 대신 모드로 정착지 내에 추가가 가능하다. 아래의 기타 항목 참고.] 크게 두가지 버전으로 나눠볼 수 있는데, [[파일:Red_Rocket_truck_stop.jpg]]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형태의 레드 로켓 주유소이자, 두번째로 얻을 수 있는 정착지인 '''레드 로켓 주유소(대).''' * '''레드 로켓 주유소(대)''': 커먼웰스 내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주유소로 천장에는 주유 시스템이 설치되어있다. 매장 내부에는 간이 매점 역할을 하는 창구와 점원들의 자그마한 간이 휴게소, 그리고 그 옆에 차량 및 파워 아머를 정비할 수 있는 정비소가 들어가 있는 차고가 비치되어있다. 내부에 매장용 아이템과 정비용 잡템들이 꽤 있고 제작소도 일부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간이 중계지역으로 써먹기 딱 좋은 지역. 서바이벌에서 크게 활용해볼 수 있다. [[파일:RedRocket-Quincy.jpg]] 퀸시 지역의 다른 버전의 레드 로켓 주유소(중). * '''레드 로켓 주유소(중)''': 대형 주유소에서 매장과 조형물을 연결하는 커다란 천장이 합쳐진 버전과 조형물이 없는 형태의 주유소로 대형보다 간소화되어있다. 개중에는 별개의 지붕을 달고 있는 경우도 있지만 어떤 경우에는 정말 주유기구도 없이 매장만 있는 경우도 존재한다. 그 외에는 대형과 구조가 동일하다. [[파일:RedRocket-EasyCityDowns-Fallout4.jpg]] 이지 시티 다운스 근처에서 볼 수 있는 간이 형태의 레드 로켓 주유소(소) * '''레드 로켓 주유소(소)''': 커먼웰스 내에서도 찾기 힘들 정도로 그 수가 상대적으로 적은 주유소다. 말 그대로 간이 형태로 설치된 주유소다보니 점원이 있을 자리나 가판대도 없이 자판기처럼 사용할 수 있는 구조로 보인다. 설치 당시에는 대부분의 차량이 원자력을 동력으로 삼았기 때문인지 가솔린이나 디젤이 아닌 냉각수만 판매하도록 설계되어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뭔가 얻을 수 있는 것도 아니고 별도의 마커도 없다. 전작의 레드 로켓 주유소의 포지션을 담당한다고 보면 될 듯. 아래의 위치에서 정착지에 해당하는 것은 '''[[폴아웃 4/빌리징|링크 걸린 볼드체]]'''로, 마커가 별도로 있는 것은 '''볼드체''', 사이즈는 (대), (중), (소)자로 표시한다. ==== [[커먼웰스(폴아웃 4)|커먼웰스]] ==== * '''[[레드 로켓 트럭 정비소]](Red Rocket Truck Stop)'''(대)[* 번역판 기준 레드 로켓 주유소.]: 가장 먼저 만나볼 수 있는 주유소이자 두번째로 만들 수 있는 [[폴아웃 4/빌리징|정착지]]이며 [[도그밋]]을 만날 수 있는 장소. 주유소 타입 중 조형물과 천장이 있는 버전의 주유소로 극초반에 해금이 바로되는 정착지다보니 본편의 모든 제작소가 설치되어있어 간이 거점으로 활용하기 매우 편할 뿐만 아니라 차고의 개폐가 가능하여 활용성이 매우 높다. 그러나 거점 외에 정착민을 영입해 운영하려면 머리 좀 싸매야 하는데, 건물 주변에 있는 부지가 좁은데다 평평하지도 않아서 관리가 애매할 뿐더러 주유시설은 스크랩이 가능하나 정작 주유호스는 스크랩이 안되 골때린다. 즉 주유소를 제외한 여유 공간이 꽤 적어 건물을 짓기가 어렵다. 대신 옥상의 천장을 이용하는 것도 방법이라면 방법.[* 어차피 바로 옆에 정착민 불러서 마을 만들라고 제공되는 [[생츄어리 힐즈]]가 있으니 여긴 개인 거점으로 만들라고 준 것에 가깝기 때문.][* 정 풀 정착지로 만들고 싶다면 [[로바즈]]가 활용하는 영상을 참고하면 좋다. 건물을 높게 짓고 주유소 옥상도 활용하는 등 공간활용을 잘해놨으니 참고해보자.[[https://youtu.be/2NiriUtawgg|1편]][[https://youtu.be/CmFbsuRu9U8|2편]][[https://youtu.be/6ydZ5mSiOlM|3편]] ] 간간히 레이더들[* [[오토매트론]]이 있다면 러스트 데빌이 심심하면 쳐들어온다.]이 쳐들어올 수 있으니 주의. 안쪽 방에는 전용 터미널이 있다.[* 터미널 내용을 잘 읽어보면 [[볼트텍 직원]]도 여기 들렸던 것을 알 수 있다.] 참고로 남서쪽에 사람이 왕복할 수 있을 정도의 구멍이 뚫려있는 곳에 몰랫 동굴이 위치해있어 해금 중에 몰랫이 침략할 수 있다.[* 여기에 각종 잡동사니가 있는데 인벤토리에 못 담는 것들은 잠깐 끌고와서 스크랩할 수 있다.] 레드로켓 내의 터미널 기록을 읽어보면 정비소 근처에 동굴이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전쟁 전에는 쓰레기장으로 사용하다 전쟁 후에는 몰랫이 점령한 상태다.[* 들어가보면 산업폐기물들과 쓰레기 처리 표창장이 버려저 있는데, 주유소내 터미널에 곧 검열 나오는데 산업폐기물 좀 치워놓으라는 내용을 보면 폐기물은 동굴에 처박아놓고 표창장을 받은 모양. 문제는 이 안쪽에는 초대형 핵폐기물도 같이 버려져 있어 방사능이 새어나온다. 여기서 퓨전코어 하나를 얻을 수 있어 초반에 요긴하게 쓸 수 있다.] 주변에 발광 버섯과 뇌버섯이 자라니 간간히 들려서 몰랫 고기과 버섯을 챙길 수 있다. 아쉽게도 별도 셀 판정이라 여기까지 정착지로 쓰는 건 무리. * '''포트 하겐 주유소(Fort Hagen filling station)'''(대): 포트 하겐에 위치해있는 주유소로 근처에 던전이 많아 중계 지점으로 써먹을 수 있다. 안쪽에는 아머, 무기, 파워아머 정비소가 있어 활용도가 높은 편. * 대학 행정 빌딩(Collegiate administration building)(중): 북서쪽에 위치해있다. * 빅 존 폐차장(Big John's salvage)(대): 반대쪽에 있는 NH&M 화물역 남동쪽에 위치해있다. 문제는 빅존 폐차장은 현재 뮤턴트 소굴이 되 바글바글하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특히 4편에서는 '''자폭병'''도 등장하기 때문에 골때린다.] * 내틱 은행(Natick Banks)(대): 마을 남부에 위치해있다. * 빛나는 바다(대): 두군데가 있는데, 하나는 남서쪽 경계에 위치해있으며 나머지 하나는 북서쪽 위치에 있는 동굴쪽에 있다. 둘 다 핵폭발의 여파로 반쯤 묻힌 상태라 내부가 유일하게 별도 셀로 지정되어있다. * 렉싱턴(Lexington)(중): 안쪽 광장 중심에 위치. 사방이 레이더 천지다. 천장 및 조형물이 없는 버전이다. * 나한트 보완관 지부(Nahant Sheriff's Department)(중): 북쪽에 위치해있다. 천장 및 조형물이 없는 버전이다. * NH&M 화물역(NH&M Freight Depot)(중): 북서쪽에 위치. 천장 및 조형물이 없는 버전이다. * 켄달 병원(Kendall Hospital): 동쪽에 위치. 무기, 아머, 파워아머 정비소가 있다. * '''아톰 캣츠 차고(Atom Cats garage)'''(대): 남동쪽에 아톰 캣츠란 파워아머 동호회 일원들이 점령하고 있는 주유소다. 아톰 캣츠 일원에게 파워 아머를 구매할 수 있다. * 퀸시 폐허(Quincy ruins)(대): 서쪽에 위치. 천장 및 조형물이 없는 버전이다. * 드럼린 식당(Drumrin Diner)(소): 남쪽의 대로를 쭉 따라가다보면 있다. * 네폰세트 공원(Neponset Park)(소): 북동쪽에 위치. * 이지 시티 다운스(Easy City Downs)(소): 북서쪽에 위치. * 전기 동호회 클럽(Electrical Hobbyist's Club)(소): 북쪽에 위치. * [[이그렛 여행사]](Egret Tours Marina)(간): 만에 위치[* 초소형 식당 바로 뒤에 위치해있다.]. 특이하게도 차량 주유소가 아닌 보트 주유소로 스크랩은 불가능한 상태. ==== [[섬(Far Harbor)|섬]] ==== * 비버 크릭 레인즈(Beaver Creek Lanes.): 섬 유일의 조형물 + 천장이 있는 주유소로 남서쪽에 위치. 참고로 비버 크릭 레인즈에서 볼링공을 발사하는 팻 맨인 스트라이커를 얻을 수 있다. * 에덴 목초지 극장(Eden Meadows Cinemas): 국립공원 본부 사이에 있다. * 남서쪽 항만(Southwest Harbor): 파 하버 바로 앞에 있는 폐기된 마을로 남서쪽에 위치해있다. ==== [[누카 월드(지역)|누카 월드]] ==== [[파일:RedRocket-NukaWorld.jpg]] * '''[[누카월드 레드 로켓 주유소]](Nuka World Red Rocket)''': '''[[누카 월드]] 유일의 정착지.''' 누카콜라 사의 입김이 닿은 지역이다보니 로켓 대신 [[누카-콜라]]가 달려있다. 커먼웰스의 레드 로켓과 달리 지형도 매우 평평하고 잡초도 없고 사이즈도 넓어 활용성이 매우 높다.[* 생츄어리 힐즈 혹은 스타라이트 극장에 맞먹는다.] 다만 조건상 발전소에 들러 전력을 회복하지 않는 이상 해금되지 않기 때문에 얻기가 까다롭다. * 허볼로지스트 캠프(Hubologist's camp)(간): 식당을 근거지로 삼고 있는데 식장 주차장 중앙에 위치해 있는 걸 볼 수 있다. === [[폴아웃 76]] === [include(틀:폴아웃 76/작업장)] * 레드로켓 메가 주유소 : 북동쪽의 볼트 79 근처[* 진창과 새비지 분수령 경계에 위치해있다.]에 있으며 점령가능한 작업장이다. 그 외에도 여러 지역에 레드 로켓 주유소가 존재하며 공통적으로 유저들이 아이템을 보관할 수 있는 창고가 무조건 같이 있다. === [[폴아웃 쉘터]] === 초기에는 연관조차 없었지만 업데이트로 외부 퀘스트를 수행할 수 있게 되었고 간간히 여기를 들러 퀘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 == 기타 == 폴아웃 3에서는 장식 혹은 랜드마크의 기능만 하였지만 4에서는 간이 거점으로 활용할 수 있단 점에서 상당히 유용하나, 정작 두 군데를 제외한 정착지 외에는 해당되지 않아 아쉬운 부분...이나 [[http://www.nexusmods.com/fallout4/mods/17681/?|Red Rocket Settlements]]라는 모드를 통해 '''정말 정착지화시킬 수 있게 되었다!''' 누카 월드에서야 의미가 없지만 커먼웰스 도심 부분이나 파 하버 지점에 중계 거점으로 쏠쏠하게 활용해볼 수 있다. [[분류: 폴아웃 시리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