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러시아-몽골 관계)]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100%]] || [[파일:몽골 국기.svg|width=100%]] || || '''{{{+1 [[러시아|{{{#0039a6 러시아}}}]]}}}'''[br]''{{{#d52b1e Российская Федерация Russian Federation}}}'' || '''{{{+1 [[몽골|{{{#de2910 몽골}}}]]}}}'''[br]''{{{#de2910 Монгол улс Republic of Mongolia}}}'' || [목차] == 개요 == [[러시아-몽골 관계]]의 [[2020년대]] 문서다. == 2020년 == 2020년 초부터 [[코로나19]]가 전세계로 퍼지기 시작했다. 러시아와 몽골 양국은 국경을 폐쇄하는 조치를 취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3/0003504728?sid=104|#]] 7월 8일, 중국과 몽골에서 [[흑사병]]이 발생하자 러시아 측도 마못 사냥을 금지시켰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1731147?sid=104|#1]][[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5/0001339698?sid=104|#2]] == 2021년 == 1월 12일, 몽골과 러시아 국경에서 지진이 일어났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5101917?sid=104|#]] 2월 19일, 러시아 측이 러시아 주재 대사들에게 [[스푸트니크 V]] 접종을 제안했고 몽골, 스페인 등 일부 러시아 주재 대사들이 스푸트니크 V를 접종한 것으로 알려졌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0354296?sid=104|#]] 6월 2일, 몽골 측이 [[상하이 협력 기구]] 가입에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2432449?sid=104|#]] 12월 19일, 몽골의 신임 대통령이 러시아를 방문했다.[[https://news.g-enews.com/ko-kr/news/article/news_all/202112251259054245e8b8a793f7_1/article.html?md=20211225130528_U|#]] == 2022년 == 3월 24일, 러시아가 [[코로나19]]로 인해 카자흐스탄, 몽골 국경 이동 제한을 해제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071465?sid=104|#]] 7월 5일, 라브로프 장관이 몽골을 방문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2/0003169606?sid=100|#1]][[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91/0009259526?sid=104|#2]] 7월 17일, 몽골 총리가 몽골을 통과하는 중러 가스관이 24년에 착공을 시작한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5271010?sid=101|#]] 8월 17일, 중러 양국이 실시한 합동군사훈련에 인도군, 몽골군도 참여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5/0003217521?sid=104|#]] 9월 7일, 푸틴 대통령은 중국, 몽골, 우즈베키스탄과 회담을 가진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1410597?sid=104|#]] 9월 25일, 러시아에서 [[2022년 러시아 동원령|동원령]]이 나자 몽골로 탈출하는 러시아인들이 늘어났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6355180?sid=104|#1]][[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8/0002619222?sid=104|#2]][[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17/0000855338?sid=104|#3]] 러시아를 떠나 몽골에 온 러시아인들이 동원령으로 인해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8/0002619100?sid=104|#]] 10월 2일까지 몽골로 탈출한 러시아인들이 1만2,000명에 달했고 몽골 정부는 러시아인들의 거주 규정을 완화한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4757979?sid=104|#]] == 2023년 == 3월 13일, 러시아 측이 한국과 몽골, 베트남, 사우디와의 항공노선 재개설을 추진한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812251?sid=104|#1]][[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14/0001259511?sid=104|#2]] 3월 22일, 시진핑 주석과 푸틴 대통령이 러시아에서 몽골을 거쳐 중국으로 가스 공급하는 가스관 건설에 합의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3/0003753128?sid=104|#1]][[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119/0002694938?sid=104|#2]] 5월 11일, 중러 양국이 극동가스관을 통해 가스 협력을 희망하는 한편, 몽골을 거친 가스관 신설에 대해서도 논의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938193?sid=104|#]] == 관련 기사 ==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4757979?sid=104|푸틴 동원령 이후 20만명 징집…"러시아 탈출은 두 배 많아"]] - 한국경제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8/0002619100?sid=104|“푸틴 위해 죽고 싶지 않아”…‘도망자의 삶’ 선택한 청년들]] - 한겨레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8/0002619222?sid=104|탈러시아 청년 품은 몽골인 “한국은 왜 이들을 받아들이지 않나”]] - 한겨레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6355180?sid=104|'동원령 반발' 러시아 탈출 3000여명 몽골행…국경 '인산인해']] - 뉴스1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5271010?sid=101|몽골 총리 "자국 관통 러·중 가스 송유관, 24년 착공 시작"]] - 이데일리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17/0000855338?sid=104|'입대 싫어' 러 남성들 탈출 행렬… 행선지는 '몽골']] - 머니S * [[https://news.g-enews.com/ko-kr/news/article/news_all/202112251259054245e8b8a793f7_1/article.html?md=20211225130528_U|몽골 신임대통령, 첫 방문국으로 러시아 선택한 까닭은?]] - 글로벌이코노믹 == 관련 문서 == * '''[[신냉전]]'''([[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 [[2022년 러시아 동원령]] [[분류:러시아의 외교]][[분류:몽골의 외교]][[분류:러시아-몽골 관계]][[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