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2005년에 방영된 KBS 월화 드라마, rd1=러브홀릭(드라마))] [include(틀:다른 뜻1, other1=NCT 127의 음반, rd1=LOVEHOLIC)]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60C30 20%, #003478)" {{{#FFFFFF '''러브홀릭의 주요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한국대중음악상|[[파일:KMAlogoblack1.jpg|width=80]]]] || ||<-5> '''{{{#E5D85C 올해의 노래}}}''' || || - || {{{+1 →}}} || '''러브홀릭[br][br](2004년)''' || {{{+1 →}}} || [[조PD]][br]<[[친구여#s-2|친구여(Feat. 인순이)]]>[br](2005년) || ---- }}} || [include(틀:플럭서스뮤직 소속 아티스트)] [목차] [clearfix] == 개요 == {{{+1 LOVeHOLiC}}} [[대한민국]]의 [[모던 록]] [[밴드]]. 2003년에 [[이재학(동명이인)#s-2|이재학]], [[강현민]], [[지선(가수)|지선]](본명:황지선)이라는 멤버 구성으로 데뷔했다. 이미 많은 히트곡을 보유하고 있던 작곡가 두 사람과 보컬리스트로 구성된 그룹이지만 밴드 형식을 취한 것이 특이한 점. 당시 밴드의 중심은 [[이재학(동명이인)#s-2|이재학]]과 전 일기예보 소속이었던 [[강현민]][* 이미 일기예보, 솔로앨범, 그리고 다른 가수들에게 써준 히트곡으로 유명했다. [[강현민]]은 [[강원래]], [[강용석]], [[구준엽]], [[주영훈]]과 경기고등학교 84회 동창이다.]이었으며, 지선은 홍대 인디밴드였던 위저드의 리더로 홍대씬이나 웹에서 보라마녀라는 별명으로 불리던 가수 지망생으로, DAUM의 공개 오디션에서 600:1을 뚫고 러브홀릭에 발탁되었다. 오디션 당시 지선이 불렀던 노래는 나탈리 임부르글리아(Natalie Imbruglia)의 'Torn'. 여담으로 이들이 공중파 드라마에 출연한적이 한번 있는데, MBC [[베스트극장]] <러브홀릭 프로젝트>라는 제목을 가진 단막극이었다. 2집 활동이 한창이던 시기였는데, 제목에 러브홀릭이 들어가 있어서 그런지 특별출연 개념인 듯하다.[* [[강타]], [[김규리(1979년 10월)|김규리]]가 출연한 동명의 드라마였던 <[[러브홀릭(드라마)|러브홀릭]]> OST에 참여한 적도 있으니 새로운건 아니다.] 나오는 컷이래야 달랑 2컷이지만, 드라마 속 무대에서 당시 신곡이었던 Sky를 열창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 LOVeHOLiC 시기 == === 1집 "F.L.O.R.I.S.T" === 2003년 1집 앨범 를 발매. 타이틀곡은 밴드와 동명의 곡인 'LOVEHOLIC'. [[한국대중음악상]] 올해의 노래 수상곡이기도 하다. 경쾌한 멜로디와 대비되는 어두운 가사 등의 요소가 어필에 성공하여 상당한 반향을 일으켰다. ==== 리패키지 "RE:ALL F.L.O.R.I.S.T" ==== 리패키지 앨범에 추가되었던 곡 '[[인형의 꿈]]'은 러브홀릭의 맴버 [[강현민]]의 전 소속 그룹 [[일기예보(그룹)]]의 동명곡이 원곡으로 드라마 [[좋은 사람(2003)|좋은 사람]]의 OST에 삽입되고 특유의 서정적인 가사와 감성적인 멜로디 덕분에 좋은 평가를 받았다. 사족이지만 [[지붕뚫고 하이킥]]에서 [[신세경]]이 불러 화제가 되기도 했고, 개그콘서트 전 코너 [[불편한 진실(개그콘서트)|불편한 진실]]의 김지민, 김기리 사랑연기 BGM으로 쓰이기도 하였다. 명곡이라서 워낙에 많은 가수들이 [[리메이크]]했지만 원곡 맴버인 [[강현민]]이 소속되어 있어서 그런지 리메이크된 인형의 꿈 중에서 가장 유명하고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EpyKzybN8Bc)] }}} || || 2003년 공연 영상.[* 이 날 러브홀릭과 슬픈영화를 불렀다.] || === 2집 "Invisible Things" === 2004년에 2집 앨범 를 발매. 타이틀곡은 'Sky' 2집의 경우 전작에 비해 인기가 그다지 좋지는 않았다. 다만 1집은 거의 강현민의 주도로 만들어진 앨범이었던 반면, 2집부터 비로소 이재학과 지선이 음반제작에 참여하기 시작했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 [youtube(3iV-1Ss7_Uw)] === 3집 "nice dream" === 2006년, 3집 앨범인 을 발표. 타이틀곡은 '차라의 숲'. 3집 앨범 자켓 사진이 익숙할정도로 지금까지 잔잔한 인기가 있다. 차라의 숲은 인지도가 낮지만 러브홀릭의 느낌이 가장 물씬 난다. 특히 일기예보의 원곡을 리메이크한 '그대만 있다면'은 드라마 [[어느 멋진 날(드라마)|어느 멋진 날]] OST가 되면서 제목은 몰라도 들어본 적은 있는 노래로 슬픈 내용의 가사와 3집에 들어서면서 발전한 보컬의 가슴 아픈 목소리가 시너지 효과를 일으켜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 또한 '[[우리 결혼했어요]]'에서 [[알렉스(클래지콰이)|알렉스]]가 신애에게 불러 줘서 인기를 끈 '화분' 이 있다. [youtube(PkQ4bdsFW4M)] [youtube(0iYnPgJDkZs)] [youtube(hT98BToGE3k)] === 리메이크 앨범 "RE-WIND" === 3집 후 리메이크 앨범 발매. 러브홀릭의 리메이크 앨범은 현악 편곡보다는 자신들의 색을 드러내는 방식의 편곡을 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타이틀곡은 '바람아 멈추어다오.' [youtube(DQ4wpYdFrEk)] == Loveholics 시기 == 2007년 10월경, [[지선(가수)|지선]]의 탈퇴 선언[* IZM에서 진행했던 [[지선(가수)|지선]]의 인터뷰에 따르면, 지선은 당시 음악을 그만둘 생각을 지니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전부터 자신의 역량에 많은 고민을 했다고 한다. 2016년 슈가맨에 출연해서 밝히기를, 다른 밴드 보컬에 비해 음악을 못 살리는 것 같아 역량 부족을 느낄 무렵에 계약만료가 다가오자 이재학과 강현민에게 '내가 그만두면 어떻게 할 거냐'고 상의했는데, '새로 뽑아서 하지 뭐'라고 하더라고 말했다. 그 후 [[일본]]에서 자신의 태도에 대해 반성을 거치고 나서 2009년 2월에 솔로 가수로 컴백했다.]으로 인해 러브홀릭은 로 개명, 강현민-이재학의 2인 구성으로 바뀌게 된다.[* 정식 멤버 영입을 통한 3인 체제의 경우는 Loveholic, 객원 보컬의 경우에는 Loveholics라는 이름으로 활동한다.] 러브홀릭스는 디지털 싱글 [[Butterfly(러브홀릭스)|Butterfly]]를 발매했다.[* 2008년 11월] 이 곡은 소속사인 플럭서스 뮤직의 [[클래지콰이]]([[크리스티나]], [[호란(가수)|호란]], [[알렉스(클래지콰이)|알렉스]]), [[W&Whale]]의 Whale, [[박기영]], [[이승열]], Winterplay의 혜원, [[장은아]] 등과(거의 레이블 총출동했다.) [[마이앤트메리]]의 정순용, 일본 그룹 the indigo의 미키가 참여하면서 상당히 좋은 평을 받았다. 여담으로 이 곡의 클라이맥스를 맡은 박기영은 녹음 당시 '이런 고음을 어떻게 부르냐'고 걱정했는데, '어차피 무대에서 부를 일은 없을 것'이라는 [[이재학(동명이인)#s-2|이재학]]의 말과 달리 '''영화와 노래가 히트를 치는 바람에''' 수많은 라이브를 소화하느라 정말 힘들었다고 소회했다.[* 국가대표가 수상 후보가 되어 영화제 시상식에서도 초대되어 불렀는데, 음정이 불안한 모습을 보여줬다.] 2009년 5월 19일 Miracle Blue 라는 디지털 싱글(수록된 노래 제목이기도 하다)을 발표했다. 이 앨범은 켈빈클라인진과의 콜라보레이션 프로젝트이며, 신민아가 보컬로 참여하였다. 2009년 8월에 [[이재학(동명이인)#s-2|이재학]]이 영화 국가대표 OST와 관련하여 IZM과 인터뷰를 하였는데 이재학은 현재의 상황에서 굳이 대중적인 파괴력에 관심을 두고 싶어하지 않는다 했으며 솔로앨범으로 활동을 할 의향도 있으며 러브홀릭은 더 이상 무대에 서기가 힘들어서 남성보컬로 활동을 하고 싶다고 했다. === 러브홀릭스 정규 1집 앨범 "In the Air" === [[2009년]] [[9월]], 러브홀릭스는 첫 정규앨범 를 발매했다. Butterfly나 Miracle Blue에서 약간의 새로운 시도를 한 것과 달리, 예전 스타일의 음악과 시류를 따르는 음악이 적절히 혼합되어있다. 이재학의 폭탄선언으로 가슴이 철렁 내려앉은 팬들에겐 꽤나 괜찮은 선물인 듯하다. [[타이틀곡]]은 [[장은아]]가 부른 '아픔'이며, 플럭서스 뮤지션과 강현민이 프로듀싱 했던 박혜경을 비롯한 여러 뮤지션들이 총 동원되었다. 뮤직비디오에는 배우 [[김지석(배우)|김지석]]이 출연했다. 사실상 러브홀릭/러브홀릭스의 마지막 앨범이다. [youtube(ioYfts0Euv8)] == 해체 이후 == 위의 앨범을 끝으로 러브홀릭은 해체되었으며 이후 [[지선(가수)|지선]]은 솔로가수로, [[이재학(동명이인)#s-2|이재학]]은 영화음악 프로듀서로 활동하고 있다. [[강현민]]은 [[2012년]] [[보이스 코리아]] 출신의 보컬리스트 허규, 드러머 이윤만과 함께 록밴드 '브릭'을 결성했다. [[2016년]] [[3월 30일]], "[[투유 프로젝트 - 슈가맨]]" 에서 재석팀 슈가맨으로 출연했으며 메인보컬 지선이 출연해 슈가송인 '[[https://youtu.be/oRtYPx6pAg8|러브홀릭]]'과 '[[https://youtu.be/y18iOem0PMQ|인형의 꿈]]'을 불러 화제가 되었다. == OST 사용 음악 목록 == 러브홀릭의 OST 수록곡 모음집인 앨범 Dramatic&Cinematic 에 Butterfly를 제외하고, 아래에 명기된 모든 곡이 수록되어 있다. 드라마틱 & 시네마틱 앨범은 [[지선(가수)|지선]]이 탈퇴를 선언한 시기에 나온 앨범이고, 러브홀릭스는 앨범을 자주 발표하지도 않았으며, 국가대표는 2009년도에 나온 영화이기 때문이다. === 드라마 === * 인형의 꿈 - [[좋은 사람(2003)|좋은 사람]] * 슬픈 영화 - [[좋은 사람(2003)|좋은 사람]] * DREAM - [[좋은 사람(2003)|좋은 사람]] * 이별 못한 이별 - [[내 이름은 김삼순]] * One love - [[봄의 왈츠]] * '''화분 - [[커피프린스 1호점]]''' * 두손을 - [[케세라세라]] * Bless you - [[케세라세라]] * 메아리 - [[눈의 여왕(드라마)|눈의 여왕]] * 사랑하니까 - [[러브홀릭(드라마)|러브홀릭]](KBS에서 방영한 동명의 드라마) * 그대만 있다면 - [[어느 멋진 날(드라마)|어느 멋진 날]] * 우리 사랑하지만 - [[어느 멋진 날(드라마)|어느 멋진 날]] * 그대는 - 위대한 유산 === 영화 === * 슈퍼스타 - [[미녀는 괴로워]] * 마리아(Live ver.) - 미녀는 괴로워 김아중 버전이 아닌 러브홀릭 버전. * Want you hear - [[하나와 앨리스]] * 너는.. - 외출 * 외출 - 외출 * '''[[Butterfly(러브홀릭스)|Butterfly]] - [[국가대표(영화)|국가대표]], [[국가대표 2]]''' * Raining - 국가대표 * Sylvia - 마법사들 * 일요일 맑음 - [[가족의 탄생]] * 정원 - [[8월의 크리스마스]] * 오피스 - [[신기루]] === 애니메이션 === * RAINY DAY - [[기동무투전 G건담]] * 혼자가지마 - 기동무투전 G건담 (엔딩 테마) * [[신기루]] - [[Black Blood Brothers]] 한국어 더빙판이 아닌 '''일본 원어판 엔딩 곡'''으로 쓰였으며, __가사도 일본어가 아닌 순수 한국어를 그대로 사용__했다는 특징이 있는 곡이다. 일본 애니메이션에서 한국인 가수 및 그룹이 타이업을 한 경우는 이전부터 종종 있긴 했지만,[* 대표적인 예가 [[블리치(애니메이션)]] 3기 엔딩인 [[ほうき星]]의 [[윤하]], [[원피스(만화)|원피스]] 10기 오프닝인 [[Share The World]]의 [[동방신기]], [[혈계전선 & 비욘드]] OVA 엔딩곡인 Eternalism의 [[오마이걸]] 등.] 한국어 가사까지 100% 사용한 건 이게 유일무이하다. 리더 [[강현민]]이 [[일본]]에서 그럭저럭 인지도가 있는 뮤지션이라 가능했던 일이다.[* 강현민의 前 소속 그룹 [[일기예보(그룹)|일기예보]] 시절에도 '그대만 있다면'이 한국어 가사 그대로 일본 드라마 주제가에 쓰인 적이 있다.] === 그 외 === * '''놀러와 - 영화 [[싱글즈]], [[공감토크쇼 놀러와|유재석 김원희의 놀러와]] OP''' [각주] [[분류:러브홀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