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순위]] [목차] == 개요 == 성적의 순위 및 등급을 정하는 행동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VS놀이]]와 마찬가지로 무언가의 우열 및 서열에 관한 떡밥은 존재했으므로 이에 대한 흥미 역시 존재했다. VS놀이의 연장선상 내지는 확장선상에 있다고 할 수 있겠다. == 스포츠 == 여러 [[스포츠]] 단체에서는 선수들의 순위를 나열하는데 일반적으로 선수들의 위상을 보여주는 척도로 이용하기도 하지만 가장 중요한 이유는 비슷한 급의 상대끼리 경기를 행하게 함으로서 경기의 질을 높이려는 목적이 더 크다. 일례로 [[권투]]나 [[UFC]]의 랭킹제도 그러한 이유에서 존재하는데, [[K-1]]과 [[Pride]]같이 의외의 상대가 업셋을 일으키는 극적인 효과를 노리는 단체의 고질적인 문제점이 바로 경기의 질 및 수준론인데,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고자 랭킹제를 도입해 경기의 질 및 공신력을 보탠다 할 수 있겠다. 일반적으로는 특정한 룰에 따라 선수들간의 승/패에 점수를 부여하고, 점수에 따라 나열하여 랭킹을 공개한다. [[축구]]의 경우 [[FIFA]]에서 국가별로 랭킹을 정한 [[FIFA 랭킹]]이 유명하다. 대한민국에서도 여러 종목에서 랭킹제를 도입하고 있다. [[바둑]]에서 도입이 되었는데, 전통적으로 바둑계의 관행이 랭킹제와 맞지 않아 잡음이 좀 있었지만 그런대로 원활하게 도입되었다. [[태권도]]에서도 랭킹을 도입하려는 움직임이 있으며, [[KeSPA]]에서는 [[프로게이머]] 랭킹을 발표하고 있다. == 랭킹 전문 UCC == === 개관 === 2010년대 들어 이러한 랭킹에 관한 흥미가 증진함에 따라 이러한 주제로 동영상을 제작하는 유저들이 늘어났다. 2017년 기준으로 이러한 랭킹 사이트는 거의 [[양산형]] 수준에 이르렀다. 기본적으로 순위 메기는 것이나 이러한 것에 흥미가 있는 사람들이 많은지라 관련 동영상들도 많이늘어났다. === 장점 === * 다양한 소재: 소재에 관해서는 여러가지다. [[국가]] 간 랭킹, [[음식]] 랭킹, [[도시]] 관련, [[동물]] 관련, [[스포츠]] 관련 기타 관련 등등 잔재미를 유발한 소재가 많다. * 순위에만 연연하지 않음: 우열의 구분이 무의미할 경우 열거법을 사용해 이런저런 떡밥을 살포하는 경우도 있는데, 후술할 단점을 고려하면 이쪽도 높은 평가를 받는다. === 단점 === * 객관성 부족: 아무래도 유저들의 주관을 바탕으로 만드는 동영상인 탓에 유저들의 취향을 좀 타는 편이다. 물론 통계자료를 기반으로 순위가 매겨졌으면 좋겠지만 같은 기준이라도 시각에 따라 달라지는 경우도 종종 있으니 이러한 점에서 다소 미흡하다. * 참신성 부족: 독보적인 1위나 꼴찌가 있다면 너무나도 결과가 뻔해서 흥미요소가 적어지므로 재미가 없다. === 랭킹 유튜버 === 본 문단에는 랭킹을 매기는 영상을 주력으로 하거나 랭킹 영상으로 유명한 유튜버에 대해서만 설명합니다. *[[랭킹스쿨]] *[[랭킹TOP]] == 관련 항목 == * [[FIFA 랭킹]] * [[VS놀이]] * [[게임트릭스]] * [[동물서열]] * [[등급전]] * [[박스오피스]] * [[서열떡밥]] * [[재계서열]] * [[최강논쟁]] * [[랭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