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램 트럭스 로고 가로형 화이트.png|width=215]] || || {{{#!folding [ 틀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미국의 자동차 브랜드)] ---- [include(틀:스텔란티스)] }}} || ---- ||<-2>
'''{{{#ffffff {{{+1 RAM}}}}}}''' [br] {{{#ffffff 램}}} || ||<-2> [[파일:램 트럭스 로고.png|width=100%&theme=light]][[파일:램 트럭스 로고 화이트.png|width=100%&theme=dark]] || || '''정식 명칭''' ||Ram Trucks || || '''한국어 명칭''' ||램 트럭스 || || '''설립일''' ||[[2010년]] || || '''본사 소재지'''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미시간]] 주 오번 힐스 || || '''핵심 인물''' ||리드 빅랜드[* Reid Bigland. [[가치무치 팬티 레슬링]]으로 유명한 [[마크 울프]]의 친형이다. 참고로 마크 울프도 현재는 부동산 사업을 하고 있다.] (글로벌 CEO)[br] 제임스 C 모리슨[* Jim Morrison 혹은 James C. Morrison] (북미 지역 책임자) || || '''업종''' ||자동차 제조 || || '''모기업''' ||[[스텔란티스]] || || '''홈페이지''' ||[[https://www.ramtrucks.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https://www.youtube.com/c/RamTrucks|[[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 |||| '''America's game is work.''' ---- {{{#!wiki style="margin:10px" '''[[슬로건]]'''}}}||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픽업트럭]] 및 [[상용차]] 브랜드. [[크라이슬러]] 산하의 [[닷지(자동차)|닷지]]에서 만드는 픽업트럭의 이름이었으나 [[피아트]]와의 합자회사인 [[피아트 크라이슬러 오토모빌스|FCA]](현 [[스텔란티스]])의 전액 출자를 통해 현재의 독립 브랜드로 파생되었다. [[엠블럼]] 속의 동물은 알래스카와 캐나다에서 서식하는 [[돌산양]]으로, 원래 [[닷지]]의 것이었으나 램이 독립하면서 가지고 나왔다. == 역사 == [[파일:램 트럭스 라인업.png|width=700]] [[2010년]] 당시 램 라인업 [[1970년대]] 닷지에서 [[미국]] 외 시장에서 판매할 목적으로 만든 '파고 트럭'이 원조이며, 이후 [[크라이슬러]]에서 생산된 차량들은 [[닷지(자동차)|닷지]] 브랜드를 통해 판매되었다. [[2010년]]에 [[닷지(자동차)|닷지]] 브랜드에서 [[크라이슬러]]의 사업부로 변경해 생산되는 픽업을 닷지-램 라인으로 판매하기 시작하였다. 브랜드의 목표는 이미지나 스타일을 따지기보다는 실용성을 중시하는 픽업 트럭을 주력으로 판매한다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램'이라는 상호는 [[피아트]]에서 [[크라이슬러]]를 인수하면서 취득했고,[[2009년]]부터 크라이슬러에서 생산하는 픽업 트럭 및 상용차 라인업을 램 브랜드로 팔겠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었다. 이후 [[피아트 두카토]]를 기반으로 한 [[다임러 AG]]를 통해 라이센스 생산하던 [[닷지 스프린터]]가 생산이 중단되면서 대체하는 차량으로 [[램 프로마스터]]로 판매하게 된다.차량 생산 당시 목표는 오늘의 28만대에서 [[2014년]]까지 41만 5천대로 늘리는 것이었다고 한다. [[피아트]]의 [[이베코]] 브랜드 소유권과 [[닷지(자동차)|닷지]]의 딜러망을 통해 지원을 받았으며, 닷지와는 별개로 판매되었으나, 당시 '프레드 디아즈' 램 사장은 램 브랜드가 닷지 앰블럼을 내부 및 외부에서 사용할 것이며, 영원한 닷지의 브랜드로 남기려고 했으나, 이후 [[닛산자동차]]의 영업/마케팅 담당 부사장으로 이적했고, 후임자로 '리드 빅랜드'가 임명되었다. 이후 빅랜드 역시 북미 시장에서 [[알파 로메오]] 브랜드를 이끌기 위해 이직했고, 이후 후임자는 [[크라이슬러]]에 입사해 [[닷지(자동차)|닷지]] 브랜드의 수장이기도 했던 '로버트 헤그블룸'으로 이어졌으나, 현재는 글로벌 시장에서는 '마이클 맨리', 북미 시장에서는 '제임스.C.모리슨'이 수장으로 임명되어 있다. 차량의 판매 지역은 [[북아메리카]], [[중동]], [[칠레]], 일부 [[남아메리카]] 국가군([[브라질]], [[콜롬비아]] 등), [[유럽]] 등이 있다. == 생산차량 == [include(틀:램 트럭스의 차량)] * 700 - 피아트 스트라다의 [[배지 엔지니어링]] 차량. * [[램 1000|1000]] - [[피아트 토로]]의 [[배지 엔지니어링]] 차량, [[콜롬비아]]에서만 판매된다. * [[램 램페이지|램페이지]] * [[램 픽업|1500~5500]] - [[1981년]]부터 명맥을 이어오고 있는 차량으로, 1500/2500/3500/4500/5500 차량이 있다. * [[램 1500 REV|1500 REV]] * [[램 프로마스터|프로마스터]] - [[피아트 두카토]]의 [[배지 엔지니어링]] 차량이다. * [[램 프로마스터 시티|프로마스터 시티]] - [[피아트 도블로]]의 [[배지 엔지니어링]] 차량이다. === 단종차량 === * [[닷지 다코타]] * 1987년 [[지프]] 코만치의 플랫폼을 이용해서 만들어진 미드사이즈 픽업트럭으로, 2009년부터 램 브랜드를 통해 판매되었기에 램 브랜드의 단종 차량으로 기록된다. 2005년 3세대 모델을 마지막으로 2011년에 단종되었다. * 참고로 다코타는 2003년 대한민국에 처음 들어왔는데, 대한민국 역사상 최초로 정식 수입된 미국산 가솔린 엔진 픽업트럭이라는 기록을 갖고 있다. 형식승인도 화물차로 받았다. 최고급 사양이었던 랠러미 트림의 V8 4.7L 가솔린 엔진을 단 모델로, 당시 판매가는 4,880만 원.[* 당시 고급 세단이었던 [[현대 그랜저|그랜저 TG]]의 럭셔리 버젼인 알칸타라가 4,000만 원대 초반이었던 것을 생각하면, 상당히 고가의 트림이 들어온 것이다.] * 발매 첫 해인 2003년에는 235대를 파는 등 비교적 선전했다. 그러나 2002년 9월 출시되어 2003년 시장에 풀리기 시작한 [[쌍용 무쏘 스포츠]]의 판매량이 늘면서부터 그 기세가 꺾이기 시작한다. 대한민국에서 단종 전까지 총 판매대수는 1,140대. * 연료계통을 [[LPG]]로 교체해 주는 이벤트까지 벌였음에도 판매량은 크게 늘지 않았고, 2011년에 단종되며 저절로 판매도 중단되었다. 다코타가 단종된 후, 대한민국에서 미국산 가솔린 엔진 픽업트럭 시장은 [[쉐보레 콜로라도]]의 출시 전까지 비어 있었다. 몇몇 다코타 차주들의 말로는, 잔고장으로 악명높은 [[크라이슬러]](당시) 계열의 차량이었음에도 다코타가 잔고장 없고 견인 능력이 좋았다고 한다. 크라이슬러 계열에서는 9년 후인 2020년 9월 2일, 대한민국에 [[지프 글래디에이터]] V6 3.6 DOHC를 내놓으며 다시 픽업트럭을 판매하기 시작했다. * 최근 2021년 램 브랜드에서 새로운 미드사이즈 픽업트럭이 발매된다고 발표되자 이전 '3만 불 아래의 가격으로 8기통 가솔린 엔진을 달 수 있었던 올드스쿨 픽업트럭'[* 당시 다코타와 경쟁하던 중형 픽업트럭인 [[포드 레인저]], 쉐보레 S15 및 콜로라도는 4.0L 6기통 엔진이 최고 상한선이었다.]을 잊지 못하던 다코타 팬들이 열광적으로 부활을 지지하고 있다. * 2020년 4월 29일 램 트럭스에서는 정식으로 'Dakota'에 대한 상표등록 출원을 제출하였다. * 기대감이 무척 높아지던 와중, 2021년 2월 22일 다수의 자동차 관련 뉴스 사이트에서 일제히 램 브랜드의 다코타 프로젝트가 취소되었음을 보도하였다. 뉴스에서는 '[[지프 글래디에이터]]의 판매 호조로 더 이상 미드사이즈 픽업을 라인업에 추가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해서'가 계획 취소의 원인이라고 한다. 다수의 자동차 관련 매체에서 이 뉴스에 대한 램 트럭스의 입장을 들어보려 하였으나 '추후의 개발계획 등에 대해서는 인터뷰할 수 없다.'라는 답변만이 돌아왔다고 한다. * 그러나 3월 3일 이계획은 정상적으로 다코타를 출시한다고 설명했다. * C/V 트레이드맨 - [[닷지 그랜드 캐러밴]]의 패널 밴 사양. * 1200 - [[피아트]]와 [[미쓰비시 자동차|미쓰비시]]의 합자로 만들어진 [[피아트 풀백]] & [[미쓰비시 트라이톤]]의 [[배지 엔지니어링]] 버전으로 [[아랍에미리트|UAE]] 시장에서 판매되고 있다. * 프로마스터 라피드 - [[피아트 우노]]의 패널 밴 사양으로 중남미 전용 모델이다. 현재는 재고차만 판매하는 듯. * [[현대 스타렉스|램 H100]] - 스타렉스 2세대 중남미 깡통모델의 리뱃징 [[분류:스텔란티스]][[분류:미국의 자동차 제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