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휴스턴 애스트로스/로스터)] ---- ||
'''{{{#ffffff 랜스 맥컬러스 주니어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휴스턴 애스트로스 1라운드 지명선수)] ---- ||
'''{{{#ffffff 랜스 맥컬러스 주니어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2>
[[파일:휴스턴 애스트로스 우승 엠블럼 V1.svg|height=70]] [[파일:휴스턴2022우승로고.png|height=70]][br]'''월드 시리즈 우승 반지''' || || '''[[2017년 월드 시리즈|{{{#ffffff 2017}}}]]''' || '''[[2022년 월드 시리즈|{{{#ffffff 2022}}}]]''' || ---- ||
[[파일:2017 MLB 올스타전 로고.svg|height=70]][br]'''메이저 리그 베이스볼[br]올스타''' ||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2017년|{{{#ffffff 2017}}}]]''' || ---- ||<-5> '''{{{#ffffff [[휴스턴 애스트로스|{{{#ffffff 휴스턴 애스트로스}}}]] 등번호 43번}}}''' || || [[브래드 피콕]][br](2013) || {{{+1 →}}} || '''{{{#000000 랜스 맥컬러스 주니어[br](2015~)}}}''' || {{{+1 →}}} || [[현역#s-2]] || }}}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랜맥주.jpg|width=100%]]}}} || ||<-2> '''휴스턴 애스트로스 No.43''' || ||<-2> '''{{{#000000 {{{+2 랜스 맥컬러스 주니어}}}[br]Lance McCullers Jr.}}}''' || || '''본명''' ||랜스 그레이 맥컬러스 주니어[br]Lance Graye McCullers Jr. || ||<|2> '''출생''' ||[[1993년]] [[10월 2일]] ([age(1993-10-02)]세) || ||[[플로리다|플로리다 주]] [[탬파]]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학력''' ||예수회 고등학교 || || '''신체''' ||185cm / 91kg || || '''포지션''' ||'''[[선발 투수]]''' || || '''투타''' ||[[우투좌타]] || || '''프로입단''' ||2012년 드래프트 1라운드 (전체 41번, [[휴스턴 애스트로스|HOU]]) || || '''소속팀''' ||'''[[휴스턴 애스트로스]] (2015~)''' || || '''계약''' ||2022 - 2026 / $85,000,000 || || '''연봉''' ||2024 / $17,000,000 || || '''가족''' ||아버지 [[랜스 맥컬러스]] || || '''SNS''' ||[[https://www.instagram.com/lancemccullers43/|[[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lmccullers43, 크기=25)] || [목차] [clearfix] == 개요 == [[휴스턴 애스트로스]] 소속 우완 [[선발 투수]]. == [[랜스 맥컬러스 주니어/선수 경력|선수 경력]] == ||
<-5> '''통합 선수 경력: [[랜스 맥컬러스 주니어/선수 경력]]''' || ||<-5> [[파일:MLB 로고.svg|width=45]] || || [[랜스 맥컬러스 주니어/선수 경력#s-2.1|'''{{{#FFFFFF 2015년}}}''']] || [[랜스 맥컬러스 주니어/선수 경력#s-2.2|'''{{{#FFFFFF 2016년}}}''']] || [[랜스 맥컬러스 주니어/선수 경력#s-2.3|'''{{{#FFFFFF 2017년}}}''']] || [[랜스 맥컬러스 주니어/선수 경력#s-2.4|'''{{{#FFFFFF 2018년}}}''']] || [[랜스 맥컬러스 주니어/선수 경력#s-2.5|'''{{{#FFFFFF 2019년}}}''']] || || [[랜스 맥컬러스 주니어/선수 경력#s-2.6|'''{{{#FFFFFF 2020년}}}''']] || [[랜스 맥컬러스 주니어/선수 경력/2021년|'''{{{#FFFFFF 2021년}}}''']] || [[랜스 맥컬러스 주니어/선수 경력#s-2.8|'''{{{#FFFFFF 2022년}}}''']] || [[랜스 맥컬러스 주니어/선수 경력#s-2.9|'''{{{#FFFFFF 2023년}}}''']] || [[랜스 맥컬러스 주니어/선수 경력#s-2.10|'''{{{#FFFFFF 2024년}}}''']] || == 피칭 스타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QjngPW6XVvI)]}}}|| 리그 최고의 변화구를 가지고 있는 투수. 특히, 너클커브는 리그를 대표하는 마구로, 그 자체의 위력부터 엄청난데, [[2017 아메리칸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 7차전에서 '''24구 연속 너클커브를 던져도 먹힐 정도'''의 괴력을 보여줬다.[* 위의 동영상이 바로 그 영상이다.] 게다가 이 커브는 피치 터널 이론[* 서로 다른 구종이 최대한 오랫동안 같은 구종처럼 보이도록 만들거나 조합하는 것, 또는 그러한 두 구종을 많이 던질수록 투수에게 이득을 준다는 이론을 뜻한다.]에 의거하여 위력이 배가 되는데, 그의 높은 쪽에 구사되는 90마일 중반대의 포심 패스트볼은 커브가 떨어지기 시작하는 시점까지 굉장히 유사한 궤적을 보이기 때문에 다른 구종을 던질 때보다 패스트볼 이후 커브를 던질 경우, 헛스윙 확률이 30% 이상 높아진다. 이런 피칭 전략을 통해 21시즌 아메리칸 투수 중 최소 피안타, 피홈런률을 기록했다. 하지만 브레이킹볼과 패스트볼을 던질 때의 투구폼이 차이가 많이 난다는 단점이 존재하기에 이를 고친다면 더 나은 투구를 할 것으로 보인다.[* 이 때문에 [[2022년 월드 시리즈]] 3차전에서는 무려 5피홈런을 맞고 멸망하는 결과를 낳게 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전체 투구의 약 90%를 차지하고 있는 너클커브와 패스트볼을 적절히 조합한 덕분에 2017 시즌 2스트라이크 이후 100번 이상 상대 타자의 스윙을 끌어낸 투수 가운데 가장 높은 헛스윙 삼진 비율(36.8%)를 기록하고 있다. 단점은 이닝 소화력. 유리몸인 데다가 선천적으로 강골이 아닌지 규정 이닝도 채우기 버거워하는 모습을 보이는 중이다.[* 어느 정도냐면 2021년을 제외하고 커리어에서 단 한번도 규정이닝을 채운적이 없다. 한마디로 미국판 [[구창모(야구선수)|구창모]].] 여러모로 [[블레이크 스넬]]과 비슷한데, 피치 터널이 길다는 점, 이닝 소화에서 약점을 드러낸디는 점이 특히 비슷하다. 하지만, 제구에 하자가 있는 스넬과 다르게 맥컬러스는 제구에 하자가 딱히 없다. == 수상 내역 == * [[월드 시리즈]] 우승 2회 ([[2017년 월드 시리즈|2017]], [[2022년 월드 시리즈|2022]]) * 올스타 (2017) == 여담 == * 부친 [[랜스 맥컬러스]]는 샌디에이고의 셋업맨으로 활약했다. * [[리스 호스킨스]]와 같은 고등학교 출신이다. * 국내에서 불리는 별명은 이름에서 따온 '랜맥주', '맥주' 등이 있다. [각주] [[분류:미국의 야구 선수]][[분류:야구 선수 자녀]][[분류:1993년 출생]][[분류:2015년 데뷔]][[분류:탬파베이 출신 인물]][[분류:우완 투수]][[분류:우투좌타]][[분류:휴스턴 애스트로스/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