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Ratopia]]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래토피아)] [include(틀:Ratopia)] [목차] == 개요 == [[래토피아]]의 시민을 다루는 문서. 시민은 '도시입구' 건조물을 지으면 모집할 수 있다. 도시입구는 극초반에 지을 수 있는 건물로 시민 역시 거의 시작과 동시에 모집이 가능하다. 도시입구에서 시민 모집 시 세 가지 선택지를 준다. 시민 한 명과 자원 일정량, 시민 1~2명, 시민 2~3명 중 하나를 고를 수 있는데, 시민의 성향과 스탯을 미리 확인할 수 있으므로 필요한 선택지를 고르면 된다. == 스탯 == 플레이어를 비롯한 모든 시민들에겐 세 종류의 스탯이 있으며, 공격력·이동 속도·운반량 등 기본적인 능력치에 영향을 준다. 또한 시민을 건조물에 배속시켜 직업을 갖게 할 때, 어떤 스탯을 높게 갖고 있느냐에 따라 효율이 달라지기 때문에 시민들의 스탯을 고려해 직업을 맡기는 것이 좋다. * 근력: 아이콘은 붉은 주먹. 공격력[* 근력1당 공격력1], 운반량[* 근력이 0일때 운반량은 2개이며, 근력2마다 운반량이 1개씩 늘어난다.], 채굴과 물푸는 속도에 영향을 준다. 농사, 군사 훈련, 수송, 제련 등 보통 힘 쓰는 분야의 직업에 작업 효율 보너스를 준다. * 재주: 아이콘은 녹색 날개. 이동 속도[* 재주1당 2%]에 영향을 준다. 채집, 공예품 제작, 서비스업 분야의 직업에 작업 효율 보너스를 준다. * 지능: 아이콘은 파란 뇌. 경험치 획득량[* 지능1당 5%]에 영향을 준다. 연구, 서류 작업, 외교, 치료와 관련된 직업에 작업 효율 보너스를 준다. == 성향 == 시민은 두 개의 성향을 가지고 있으며, 스탯 못지 않게 시민의 성장 및 작업 효율에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 긍정적인 성향과 부정적인 성향이 둘 다 있으므로, 무턱대고 많은 시민을 골랐다가 부정적인 성향만이 가득한 시민이 밥을 축내는 일은 없도록 모집 단계에서부터 잘 살피는 것이 좋다. === 첫 번째 성향 === 시민의 두가지 성향 중 첫 번째 성향은 각종 작업시의 효율에 영향을 끼친다. *{{{#1e8a00 튼튼함}}}: 최대체력 +30. 일반적인 작업에는 높은 체력이 큰 의미가 없지만, 비율로 따지면 약 43% 증가에 해당되는 아주 좋은 효과를 갖고 있다. 체력 손실이 불가피한 전투원 및 사냥꾼으로 써먹기 좋다. *{{{#c83232 연약함}}}: 최대체력 -30 *{{{#1e8a00 명석함}}}: 경험치 획득량 +30%. 그 어느 건조물에 갖다 놔도 써먹기 좋은 최고의 성향. 한 직업을 오랫동안 맡겨 두면 스탯이 크게 상승하는 것을 볼 수 있다. *{{{#c83232 무식함}}}: 경험치 획득량 -30%. *{{{#1e8a00 능숙함}}}: 작업 효율 +20%. 정확히는 직업을 가졌을 때 적용된다. 스탯까지 고려한 작업 효율에 최종적으로 20%가 더해진다. 대부분의 직업에 써먹기 좋은 우수한 성향이지만 스탯을 올려주는 것이 아니라 전투에는 이점을 가지지 않으며, 무직 상태에서 명령으로 부려먹는 것 또한 효율적이지 않다. *{{{#c83232 서투름}}}: 작업 효율 -20%. *{{{#1e8a00 재빠름}}}: 이동 속도 +10%. 직업이 있다고 한 자리에서 가만히 있지 않고 여러 시설을 돌아다니므로 범용성이 있다. 특히 사냥과 수송 관련 직업에 어울린다. 전투병으로 쓰면 가장 먼저 돌진해 적들에게 둘러싸여 죽으니 주의. *{{{#c83232 느림보}}}: 이동 속도 -10%. *{{{#1e8a00 활동적}}}: 기력 감소 속도 -30% *{{{#c83232 소극적}}}: 기력 감소 속도 +30% *{{{#1e8a00 소식가}}}: 음식 감소 속도 -30%. *{{{#c83232 먹보}}}: 음식 감소 속도 +30%. *{{{#1e8a00 얌전함}}}: 재미 감소 속도 -30%. *{{{#c83232 한량}}}: 재미 감소 속도 +30%. *{{{#1e8a00 결벽}}}: 위생 감소 속도 -30%. *{{{#c83232 무던함}}}: 위생 감소 속도 +30%. *{{{#1e8a00 검소함}}}: 생필품 감소 속도 -30%. *{{{#c83232 낭비꾼}}}: 생필품 감소 속도 -30%. === 두 번째 성향 === 시민의 두가지 성향 중 두 번째 성향은 해당 시민의 행복도와 연관이 있다. 행복도가 모자라면 시민이 불만을 가지고 파업을 하거나 반란을 일으키는 등 이상 행동을 보이기 때문에 맞춰주는 것이 좋지만, 행복도가 충만하다고 특별한 이득이 주어지진 않는다. 그래서 행복도 관리가 잘 되고 있다면 우수한 스탯과 긍정적인 첫 번째 성향을 가진 시민이 왔을 때 두 번째 성향이 다소 부정적이더라도 타협을 보는 것이 가능하다. *{{{#1e8a00 협동주의자}}}: 도시 내 자신과 같은 계층을 가진 시민이 제일 많을 시 행복도 +5. 보통 빈곤층이 가장 많기 때문에 따로 세금을 매겨 빈곤층을 유지하게 하는 방법이 있다. *{{{#1e8a00 개인주의자}}}: 도시 내 자신과 같은 직업을 가진 시민이 없다면 행복도 +5. 보통 대부분의 직업은 두세 개의 건조물을 지어 놓고 돌리기 때문에 일반적인 직업과는 어울리지 않고, 연구소 등 하나만 지을 수 있는 건물에 배치하는 것이 좋다. 조건을 만족하지 못해도 행복도가 떨어지진 않기 때문에 무난한 성향. *{{{#1e8a00 의존적}}}: 지도자를 지나칠 때 3일동안 행복도+5. 대부분이 그렇지만 특히나 적의 습격때 지도자와 함께 움직이게 되는 전투원에게 적합한 성향. *{{{#c83232 독립적}}}: 지도자를 지나칠 때 3일동안 행복도-5. *{{{#1e8a00 유동적}}}: 정책 추가, 삭제 시 3일동안 행복도 +5. 단순히 정책을 수정했다고 적용되진 않고, 기존 정책을 삭제하거나 새로 만들어야 한다. 다소 귀찮지만 크게 어렵지 않은 방식. 다만 이를 써먹을 경우 후술할 보수적 성향을 지닌 시민은 최대한 배제해야 한다. *{{{#c83232 보수적}}}: 정책 추가, 삭제 시 3일동안 행복도 -5. *{{{#1e8a00 호전적}}}: 전투 시 3일 동안 행복도 +5. 전투 관련 직종인 병사와 사냥꾼이 가지면 좋고, 그외에는 의미없는 성향. *{{{#c83232 평화주의자}}}: 전투 시 3일 동안 행복도 -5. 보통 2~3일 주기로 적이 쳐들어 오는데, 도시를 잘 방비해서 해당 시민을 전투에 휘말리지 않게 한다면 사실상 무시해도 좋을 패널티. *{{{#1e8a00 낙천적}}}: 행복도 +3. *{{{#c83232 비관적}}}: 행복도 -3. *{{{#1e8a00 울보}}}: 행복도가 +40 미만일 시 울음 상태가 됨. 우는게 아주 잠깐인데다 울때 생기는 물 웅덩이로 물을 약 8개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손해는 없는 성향. *{{{#c83232 고혈압}}}: 행복도가 +20 미만으로 떨어지면 사망 상태가 됨. *{{{#c83232 금전주의}}}: 세금을 징수당할 때 1일 동안 행복도 -5. 보통 세금 징수는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에 패널티를 피하기 어려운 성향. 징수한 횟수만 중요하며 얼마를 징수당했는지는 상관 없기 때문에 시민 명부를 통해 그룹을 따로 만들어 세금을 덜 자주 걷는 대신 한번에 많이 걷도록 조정하는 방법이 있다. *{{{#c83232 자연인}}}: 침대에 배치 될 시 행복도 -5. 침대유무에 따라 기력 회복치가 차이나기 때문에 꺼리게 되는 성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