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00000>[[람보르기니|[[파일:람보르기니 로고.svg|width=10%]]]] || ||<:><-6><#000060> {{{#DDB321 '''람보르기니의 V12 플래그십 미드엔진 슈퍼카'''}}} || ||<:><#DDB321> [[람보르기니 미우라|{{{#000 미우라}}}]] ||<:><#000000> {{{#DDB321 '''→''' }}} ||<:><#DDB321> [[람보르기니 쿤타치|{{{#000 쿤타치}}}]] ||<:><#000000> {{{#DDB321 '''→''' }}} ||<-2><:><#000000> {{{#fff 디아블로}}} || ||<:><#000000> {{{#DDB321 '''→''' }}} ||<:><#DDB321> [[람보르기니 무르시엘라고|{{{#000 무르시엘라고}}}]] ||<:><#000000> {{{#DDB321 '''→''' }}} ||<:><#DDB321> [[람보르기니 아벤타도르|{{{#000 아벤타도르}}}]] ||<:> {{{#DDB321 '''→''' }}} ||<:> [[람보르기니 레부엘토|{{{#000 레부엘토}}}]] || ||<:><-6>{{{#!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www.carpixel.net/lamborghini-diablo-vt-6-0-wallpaper-hd-47350.jpg|width=100%]]}}} || ||<:><-6> '''{{{#DDB321 DIABLO}}}''' || [목차] == 개요 == [[파일:external/www.carpixel.net/lamborghini-diablo-wallpaper-hd-47406.jpg|width=100%]] 이탈리아의 슈퍼카 제조사인 [[람보르기니]]에서 생산했던 [[슈퍼카]]. 이름인 디아블로는 스페인어로 '''[[악마]]'''라는 뜻이다. 현 시점에서 보자면 [[람보르기니 무르시엘라고|무르시엘라고]]의 아버지격 차량이고 [[람보르기니 아벤타도르|아벤타도르]]의 할아버지격 차량이다. == 상세 모델 == * 파생형 * 디아블로 (1990-1998) * 디아블로 VT (1993 - 1998) * 디아블로 SE30 (1994) * 디아블로 SE30 요타 (1994) * 디아블로 SV (1996 - 1999) * 디아블로 VT 로드스터 (1996 - 1998) 1985년부터 개발에 들어갔으나, 경영난으로 1987년에 크라이슬러에 인수, 이후 1990년 1월에 몬테카를로에서 양산모델이 최초로 선을 보인 뒤 2001년까지 총 2,884대가 생산되었다. 역시 디자인은 마르첼로 간디니의 손을 거쳤기 때문에 [[람보르기니 쿤타치|쿤타치]]와 상당히 흡사하다. 그러나 이 디자인은 간디니의 원안을 당시 람보르기니의 경영권을 쥐고 있던 크라이슬러 측에서 마음대로 뜯어고쳐 내놓은 것이었다. 분노한 간디니는 람보르기니를 떠나 [[치제타 V16T]]에 원래 디아블로의 디자인을 적용했다. 그렇기 때문에 이 두 차는 디자인이 [[람보르기니 쿤타치|쿤타치]]와 흡사하다. [* 참고로 당시 크라이슬러의 회장이었던 [[리 아이아코카]]는 람보르기니에 대한 접근 방식이나 이해도가 다소 부족했고, 심지어는 [[크라이슬러 임페리얼]]의 람보르기니 에디션을 만들라고 [[https://books.google.co.kr/books?id=ZhoC7pbRs7kC&pg=PT72&lpg=PT72&dq=chrysler+imperial+lamborghini+edition&source=bl&ots=rr6QVO8Px4&sig=Jys-l287YPzT2EO_ehmmzgLEZ9I&hl=ko&sa=X&ved=0ahUKEwiMgf-454zSAhXJfrwKHZEBApkQ6AEIOTAH#v=onepage&q=chrysler%20imperial%20lamborghini%20edition&f=false|주문한 적도 있었다.]]] 초기엔 5.7L 485마력 V12 엔진을 사용하였으나, 후기형에 558마력을 내는 6.0L [[배기량]] 모델이 추가되었다. 엔진은 좌석 뒤에 장착되는 전형적인 미드십 배치에, [[MR(자동차)|후륜구동]] 혹은 [[4WD|상시 사륜구동]]으로 힘을 전달하여, 0-100km 4.3초, 최고속도 325km/h이다. 시간이 지나면서 외관도 바뀌어 가는데, 초기형은 이렇다. [[파일:external/www.carpixel.net/lamborghini-diablo-wallpaper-hd-47526.jpg|width=100%]] 미등이 모두 차체에 있고 범퍼에는 반사판만 있다. 대략 1991~95년식 차량의 특징. [[파일:external/www.carpixel.net/lamborghini-diablo-se30-wallpaper-hd-47460.jpg|width=100%]] 중간에는 30주년을 기념해 SE30이라는 한정판 모델이 나왔으며, 150대가 생산되었다. 휠 디자인과 전면 엠블럼의 위치, 그리고 리어 윈도 커버에서 차별점을 뒀다. 성능면에서도 523마력으로, 한정판이 아닌 고성능 모델 SV보다도 출력이 높았다. [[파일:external/www.carpixel.net/lamborghini-diablo-sv-wallpaper-hd-47475.jpg|width=100%]] 고성능 모델인 SV가 디아블로부터 등장했으며, 기본형 디아블로에 비해서 마력이 510마력으로 소폭 상승했다. [[파일:20F9476E-AB5B-42E3-B540-AB02BBC72B97.jpg|width=100%]] 로드스터 버전도 등장했으며 처음엔 사진 속 프로토타입 모델로 등장하였다. [[파일:external/www.carpixel.net/lamborghini-diablo-sv-wallpaper-hd-47365.jpg|width=100%]] 후기형에서는 후진등이 범퍼로 내려갔다. 대략 1995~99년식 차량의 특징. 1995년식까지 [[리트랙터블 라이트|팝업 헤드라이트]]를 장착했다. 참고로 북미형은 차폭등이 범퍼에 장착돼있고, 후방 안개등이 없다. 상기 차량은 유럽형 [[파일:external/www.carpixel.net/lamborghini-diablo-sv-wallpaper-hd-47366.jpg|width=100%]] 1998년부터 단종까지는 개방식 전조등을 장착했다. 물론 그전에도 옵션으로 장착이 가능했으며 뒷모습은 큰 변화가 없이 유지되었다. 참고로 후기형의 전조등은 [[닛산 페어레이디 Z#s-2.4|닛산 페어레이디 300ZX]]의 것을 사용한 것이다. [[파일:FB41E21B-777F-4BD5-9B6B-31DB422B7CA9.jpg|width=100%]] 디아블로 VT-R 로드스터도 있었다. 대중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디아블로 중 몇대 안되는 차로, 흰색에 파란 스트라이프가 들어가 있는 사진만 존재한다. [[파일:external/www.carpixel.net/lamborghini-diablo-gt-wallpaper-hd-51355.jpg|width=100%]] 후기형 역시 SV가 존재했지만, 상위 트림으로 레이스카 스펙에 가까운 GT, GT-R이 극소량 생산되어 최강자의 자리를 꿰찼다. 최고출력은 575마력이며 [* GT기준, GT-R은 590마력까지 나가 후속인 무르시엘라고를 넘는 성능이었다.], 각각 80대, 40대 생산되었다. (사진은 GT) [[파일:7D845659-0C50-4F3F-85E4-F94C3B90059B.webp|width=100%]] [[파일:external/www.carpixel.net/lamborghini-diablo-vt-6-0-wallpaper-hd-47350.jpg|width=100%]] 이것이 최후기형이다. 정식 명칭은 람보르기니 디아블로 VT 6.0. 디자인이 좀 더 세련되어졌으며, 옵션도 처음 등장한 년식에 비해 “비교적” 호화스러워 졌다. 그 이유는 [[람보르기니 무르시엘라고|후속작]]의 등장이 코앞이였기 때문. 2000~01년식이 이러하며 디아블로의 마지막 에디션인 6.0 SE를 마지막으로 [[2001년]]에 공식 단종되었다. 1990년대를 풍미한 슈퍼카로서, 각종 매체에 많이 등장한다. 상단의 양산형 모델과 GTR 말고도 트랙용으로 GT1, GT2, SV-R 버전 등이 존재한다.[* 다만 GTR을 제외한 모델들은 그렇게 많이 알려지지는 않았다. 매체에서 디아블로의 파생형이라면 십중팔구 GTR이 나오는 것도 그 영향 중 하나.] === 레스토모드 버전 === || [[파일:2023 에센트리카 레스토모드_(1).jpg|width=100%]] || [[파일:2023 에센트리카 레스토모드_(2).jpg|width=100%]]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파일:2023 에센트리카 레스토모드_(3).jpg|width=100%]] || [[파일:2023 에센트리카 레스토모드_(4).jpg|width=100%]] || || [[파일:2023 에센트리카 레스토모드_(5).jpg|width=100%]] || [[파일:2023 에센트리카 레스토모드_(6).jpg|width=100%]] || || [[파일:2023 에센트리카 레스토모드_(7).jpg|width=100%]] || [[파일:2023 에센트리카 레스토모드_(8).jpg|width=100%]] || || [[파일:2023 에센트리카 레스토모드_(9).jpg|width=100%]] || [[파일:2023 에센트리카 레스토모드_(10).jpg|width=100%]] ||}}} || ||<-2> {{{#000000 '''에센트리카 레스토모드'''}}} || 한국 시각 2023년 7월 7일 이탈리아의 신생 기업인 에센트리카(Eccentrica Cars)에서 디아블로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레스토모드]] 버전을 선보였다. 람보르기니가 공식적으로 부활시킨 것은 아니므로 람보르기니의 로고는 들어가지 않는다.[* 동일한 사유로 별도의 문서로 분리하여 서술하지 않는다.][[https://carbuzz.com/news/lamborghinis-devilish-diablo-returns-as-a-1-3-million-restomod|관련 기사]] 전체적으로 클래식 디아블로보다는 디아블로 GT의 모습을 많이 엿볼 수 있으며, 현대적으로 다듬어진 외관에 디아블로의 상징이었던 리트렉터블 라이트를 계승해 전기형의 모습과 후기형의 모습을 동시에 볼 수 있는 게 특징이다. 이 리트렉터블 라이트는 위로 올라오는 게 아니라 아래로 내려가는 방식인데, 3단계로 조정할 수 있다.[* 완전히 내려가 전조등을 모두 노출시키거나, 아주 살짝만 내려가 간략한 LED 주행등만 노출시키거나 완전히 닫을 수 있다.] 그 외에도 레트로 게임기를 연상시키는 픽셀화 처리된 계기판과[* RPM 게이지까지 모두 픽셀로 되어 있고 요즘 차량들에 내장되는 스크린 형태의 계기판이 아니라서 더욱 게임기같은 느낌을 들게 한다.] 인테리어가 상당히 인상적이다. 이 모델은 19대만 생산될 것이라고 하며, 가격은 한화로 약 17억 원이다. == 미디어에서 출연 == * [[아스팔트 9: 레전드]]에서 디아블로 GT 모델이 등장한다. * [[테스트 드라이브 2]], [[테스트 드라이브 3]]에 등장했다. * [[Grand Theft Auto Online]]에서 페가시 인퍼너스 클래식으로 등장한다. * 애니매이션 [[전설의 용자 다간]]의 [[다간]]과 [[트랜스포머 카로봇]]의 [[카로보 3형제]]의 멤버 마하 얼럿이 순찰차 사양의 람보르기니 디아블로로 변신한다. * [[니드 포 스피드 시리즈/1994~2002#니드 포 스피드: 무한질주 2|니드 포 스피드: 무한질주 2]]에서 [[스포일러]]가 없는 VT 6.0이 일반형과 순찰차형으로 등장하지만, [[PS2]] 버전엔 순찰차형이 없다. * [[소닉윙즈]] 3에서 히든 기체로 디아블룬이라는 이름의 전투기로 마개조된 빨간 색상의 디아블로가 나온다. * [[폭렬 크래쉬 레이스]]에서 신사아/앨런 듀오의 차로 노란색상의 디아블로 전기형 모델이 나온다. == 여담 == * 후기형의 고정식 전조등은 본래 노르웨이의 한 차주가 몇 년 뒤 자국에서 시행될 데이라이트(DRL) 규정에 맞춰 우연치않게 사적인 이유로 장착해 본 것인데, 그것을 본 람보르기니 관계자가 바로 흡족해 하면서 정식으로 채용 되었다. 실제로도 브라켓 몇 종류만 만들면 장착이 간단하다고 한다. 전술했듯이 전조등은 [[닛산 페어레이디 Z#s-2.4|닛산 300ZX]]의 것을 빌려온 것인데, 상단에 닛산 로고가 새겨져 있어서 마치 속눈썹 같은 탄소섬유 커버로 가려놓은 것을 볼 수 있다. * 국내 오너 중에서는 [[서태지]]가 2015년 9집 음반 활동 마무리 당시 레진코믹스 V홀에서 있었던 "일겅" 공연 때 몰고 온 것이 팬들--과 홈마들--에 의해 목격되었다. [[https://youtu.be/ceQp98oqu08?t=3900|#]] 일종의 팬서비스인 듯.[* 람보르기니 디아블로는 평소 서태지의 대외활동 시 잘 목격되지 않는다. RC카나 드론처럼 서태지 개인의 취미인 듯하며, 평소에는 회사 차량인 벤츠 S클래스 시리즈 세단을 타고 다니고 자가운전용으로는 광고 모델로도 활동했던 [[토스카]]를 오랫동안 타고 다녔다. "서태지가 람보르기니 갖고 있다더라"는 소문은 팬들 사이에서 많이 돌았는데 실체를 확인한 경우는 별로 없었기 때문에 아예 공연날 작정하고 끌고 나온 듯하다.] 2021년 이후 현재 서태지는 이 차량을 처분한 상태인 듯 하며, 보배드림에 매물로 올라온 것이 확인되었다. * 배우 [[박상민(배우)|박상민]]이 디아블로 VT의 오너이기도 하다. * 이외에도 [[유노윤호]]가 이 차량의 주인이라는 소문이 돌았으나 실제로는 닛산 370Z이다. [[람보르기니 아벤타도르|아벤타도르]]의 차주가 [[G-DRAGON]]인 것이 와전된 듯. 이외에도 최후기형 모델은 공도에서 가끔씩 포착되기도 한다. * [[터보(그룹)|가수 터보]]의 [[280km/h Speed|1집 앨범]] 자캣 디자인 중 로드스터 버전이 등장한다. 참고로 [[김종국|터보]] [[김정남(터보)|맴버]]가 차량 의자 위에 걸터 앉아 포즈를 취한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hide_pose&logNo=220581644143|사진]]이다. 실제로 차량을 섭외 했는지 합성했는지는 미지수이지만. 거기에 디아블로에 터보가 없는건 덤이다. * [[2NE1]]의 Can't Nobody 뮤직비디오에 등장한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람보르기니의 차량)] [[분류:람보르기니/생산차량]][[분류:1990년 출시]][[분류:2001년 단종]][[분류:슈퍼카]][[분류:타르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