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990년 출생]] [[분류:코트디부아르의 축구선수]] [[분류:공격수]] [[분류:아비장 출신 인물]] [[분류:스트라이커]] [[분류:CFR 1907 클루지/은퇴, 이적]] [[분류:FC 쿠반 크라스노다르/은퇴, 이적]] [[분류:FC 안지 마하치칼라/은퇴, 이적]] [[분류:AS 모나코/은퇴, 이적]] [[분류:에버튼 FC/은퇴, 이적]] [[분류:PFC CSKA 모스크바/은퇴, 이적]] [[분류:스포르팅 히혼/은퇴, 이적]] [[분류:아미앵 SC/은퇴, 이적]] [[분류:우이페슈트 FC/은퇴, 이적]] [[분류:반디르마스포르/은퇴, 이적]] [[분류:바르징 SC/은퇴, 이적]]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rgba(50%, 50%, 50%, 30%) 0%, transparent)" {{{+1 {{{#000000,#e5e5e5 ''' 코트디부아르의 축구선수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acina-Traore.webp|width=100%]]}}} || || '''{{{#000000 이름}}}''' || '''{{{+1 라치나 트라오레}}}[br] Lacina Traoré''' || || '''{{{#000000 본명}}}''' ||라치나 에메가라 트라오레[br]Lacina Emeghara Traoré || ||<|2> '''{{{#000000 출생}}}''' ||[[1990년]] [[5월 20일]] ([age(1990-05-20)]세) || ||[[코트디부아르]] [[아비장]] || || '''{{{#000000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코트디부아르)] || || '''{{{#000000 신체}}}''' ||203cm, 87kg || || '''{{{#000000 포지션}}}''' ||[[스트라이커]] || || '''{{{#000000 주발}}}''' ||왼발 || || '''{{{#000000 유스클럽}}}''' ||[[ASEC 미모사]] (2006~2007) || || '''{{{#000000 프로클럽}}}''' ||스타드 아비장 (2007~2008)[br][[CFR 클루지]] (2008~2011)[br][[PFC 쿠반 크라스노다르]] (2011~2012)[br][[안지 마하치칼라]] (2012~2014)[br] [[AS 모나코]] (2014~2018) [BR]→ {{{-1 [[에버턴 FC]] (2014 / ^^임대^^)}}} [BR] → {{{-1 [[CSKA 모스크바]] (2016 / ^^임대^^)}}}[BR]→ {{{-1 [[스포르팅 히혼]] (2017 / ^^임대^^)}}}[BR] → {{{-1 [[아미앵 SC]] (2017~2018 / ^^임대^^)}}} [BR] [[우이페슈트 FC]] (2019) [BR] [[CFR 클루지]] (2019~2020) [BR] 반디르마스포르 (2020~2021) [BR] [[바르징 SC]] (2022) || || '''{{{#000000 국가대표}}}''' ||[[코트디부아르 축구 국가대표팀|[[파일:코트디부아르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width=25]]]] 13경기 4골 ^^([[코트디부아르 축구 국가대표팀|코트디부아르]] / 2012~)^^ || [목차] [CLEARFIX] == 개요 == [[코트디부아르]]의 축구선수,포지션은 [[스트라이커]].203cm의 장신을 주 무기로 가지고 있다. == 클럽 경력 == 코트디부아르 [[아비장]]에서 태어나고 자란 라치나는 코트디부아르 최고명문팀인 [[ASEC 미모사]]에서 처음 축구를 시작하였다.이후 스타드다비장을 거쳐 2008년 [[CFR 클루지]]에 입단하며 본격적인 유럽무대에 입성하였다. [[CFR 클루지]]에서 2008-2009시즌에는 별다른 활약을 보여주질 못하였으나 2009-2010시즌 36경기 9골 3도움을 기록하며 포텐이 터지기 시작했다.2010-2011시즌에도 물오른 득점 감각을 보여준 라치나는 2011년 러시아의 [[PFC 쿠반 크라스노다르]]로 이적하였다. FC 쿠반 크라스노다르 입단 첫시즌 옐로카드를 11장 받는등 거친 플레이를 보여주었지만 38경기 18골 5도움으로 물오른 득점감각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활약을 바탕으로 당시 엄청난 물량과 재력을 퍼부어 선수를 영입하던 [[FC 안지 마하치칼라]]의 눈에 띄어 안지로 이적하게 되었다.2012-2013시즌 공식경기 39경기 17골 8도움을 기록하면서 다시 한번 기대에 부응하는 활약을 보여주었다.특히 유럽대항전에서 좋은활약을 보여주면서 유럽의 여러 빅리그 클럽에서 영입리스트에 오르기도했다. 좋은 폼을 유지하던중 2014년 [[AS 모나코]]로 이적하면서 유럽5대리그에 입성하였다.이후 [[EPL]]의 [[에버튼 FC]]로 잠시 임대되면서 생애 첫 영광의 무대인 프리미어리그에 오게 되었다.임대 이적한지 얼마 되지 않아 FA컵 [[스완지시티]]전에서 에버튼 데뷔골을 기록하면서 순조로운 출발을 알렸으나 이후 잦은 부상과 부진에 시달리며 전혀 기회를 받지 못하였고 사이버선수로 전락하면서 순식간에 커리어가 꼬여버리고 말았다. 에버튼에서 처참한 시간들을 보낸 후 [[AS 모나코]]에 복귀했고 2014-2015시즌 [[레오나르두 자르딤]]감독에게 기회를 받았으나 모나코에서도 잦은부상에 시달리며 기회를 받지 못하였다. 2015-2016시즌에는 부상을 이겨내며 경기에 출전했으나 아쉬운 경기력과 아쉬운 득점능력을 보여주면서 공식경기 27경기 10골 2도움에 그치면서 러시아리그시절의 파괴력은 사라진지 오래였다.[* 두자릿수 득점능력을 보여주었으나 죄다 몰아넣기였고 그마저 약팀을 상대로 넣은 골들이였다.] 모나코에서 두시즌간 아쉬운 순간들을 보내면서 입지가 줄어들었고 결국 2016년 가장 큰 활약을 보여주었던 러시아 무대의 [[CSKA 모스크바]]로 임대이적하게 되었다.그러나 2016-2017시즌 전반기 21경기 6골 1도움을 기록하며 확실히 폼이 저하된 모습을 보여주었고 CSKA 모스크바가 겨울이적시장에 새로운 스트라이커를 데려오며 결국 모스크바에서도 임대 해지를 당하면서 체면을 구겼다. 모스크바에서 임대해지를 당하며 남은 2016-2017시즌 후반기는 [[라리가]]의 [[스포르팅 히혼]]으로 약 반년간 임대를 가게되었다.스포르팅 히혼에서 8경기 2골을 기록하며 2016-2017시즌을 마무리하였다.두 차례 임대생활에서 전혀 임팩트 있는 모습을 보여주지 못한 트라오레는 2017-2018시즌 시작전[[리그앙]]의 [[아미앵 SC]]로 다시한번 임대를 가게 되었다. 그러나 [[아미앵 SC]]에서 18경기 3도움을 기록하였고 골은 단 한골도 넣지 못하는 처참한 골결정력과 파괴력을 보여주면서 커리어 사상 최악의 활약을 보여준 시기가 되버렸다. 아미앵에서도 망한 트라오레는 결국 [[AS 모나코]]와 완전히 결별하면서 모나코와의 질긴 인연을 끝냈다.모나코에서 방출된 후 긴 무적생활을 보냈고 마침내 2019년 헝가리리그의 [[우이페슈트 FC]]에 입단하면서 새 팀을 찾았다.우이페슈트에서 3경기 연속골을 넣는등 부활의 날갯짓을 펼쳤으나 남은 경기에서 무득점 행진을 보여주면서 아쉬운 활약을 펼쳤고 반년만 뛰고 바로 우이페슈트를 나오게 된다.곧바로 친정팀인 [[CFR 클루지]]에 입단한 라치나는 2019-2020시즌 19경기 2골 2도움을 기록하면서 이제는 득점과는 거리가 먼 스트라이커가 되고 말았다. 2020-2021시즌엔 [[터키 쉬페르리그]]의 반디르마스포르에 입단하면서 다시 한번 부활을 노렸으나 16경기 3도움이라는 처참한 활약을 보여주었다.폼이 떨어질대로 떨어진 그는 2021-2022시즌 포르투갈 2부리그의 [[바르징 SC]]에서 선수생활을 이어갔으나 5경기 0골 0도움을 기록하였다. [[바르징 SC]]를 나온 후 2023년 11월 현재까지 무적신분으로 지내고 있다. == 국가대표 경력 == 2012년 [[코트디부아르 축구 국가대표팀]]에 첫 차출되었고 현재까지 A매치 13경기 4골을 기록중이다. == 플레이 스타일 == == 여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