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다른 라쳇 , rd1=라쳇(트랜스포머))]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파일:external/tfwiki.net/Autobot_symbol.png|width=50]] }}} || ||<-2> [[파일:external/tfwiki.net/Ratchetg1.jpg|width=100%]] || ||<-2> '''{{{#fff {{{+1 라쳇}}} [br]Ratchet / ラチェット}}}''' || || '''{{{#fff 비클}}}''' ||[[닛산 바네트|닛산 체리 바네트]] [[구급차]] || || '''{{{#fff 소속}}}''' ||[[오토봇]] || || '''{{{#fff 성우}}}'''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2]]]] 돈 메식[br][[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2]]]] [[에바라 마사시]], [[고다 호즈미]](WFC)[* [[비스트 워즈 세컨드]]에서 [[라이오 콘보이]]를 맡았다.][br][[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이규화]](KBS) || [목차] == 개요 == [[트랜스포머 G1]] 세계관에 등장하는 [[오토봇]] 소속의 [[트랜스포머]]로, [[의무병]]이다. == 행적 == === [[마블판 트랜스포머 코믹스 시리즈|마블 코믹스 세계관]] === 사실상 1권(이슈 1~16) 초중반의 주인공이나 마찬가지다. 인간과 사이버트로니안의 신체 구조가 다르다는 걸 인지하지 못한 [[재즈(G1)|재즈]]가 불을 쏴 버려서(…) [[트랜스포머(애니메이션)/기타 등장인물|스파크플러그]]가 부상을 당하자 버스터와 함께 그를 병원으로 보내주었다. 그 사이, 오토봇들은 [[디셉티콘]]의 습격에 맞서 승리하기 직전에 난입한 [[쇼크웨이브(G1)|쇼크웨이브]]의 공격으로 다 쓸려나간다. 다른 오토봇들은 모두 작동정지되고 [[옵티머스 프라임(G1)|옵티머스]]는 머리만 남은 상태에서 라쳇을 격려한다. 옵티머스의 격려로 라쳇은 오토봇을 구하기로 한다. 당시 쇼크웨이브에게 패배해 부하 위치가 된 [[메가트론(G1)|메가트론]]을 구슬려서 자신과 손잡게 하고 그 사이에 [[다이노봇(G1)|다이노봇]]들을 구해서 자신을 배신하려던 메가트론을 개발살 낸 다음 오토봇을 구하는데 지대한 공헌을 한다. 그런데 이후의 에피소드에선 메가트론과 융합당하는 사고를 겪게 된다. === [[트랜스포머(애니메이션)|애니메이션 세계관]] === 의무병이라 디셉티콘들에게 부상당한 아군을 수리해 주는 역할로 나온다. [[오메가 슈프림(G1)|오메가 슈프림]]이 과부하로 박살났을 때도 라쳇과 스파크플러그의 수리 덕분에 다시 활동할 수 있었다. 또한 [[과학자]]인 [[휠잭(G1)|휠잭]]의 조수도 겸하며 다이노봇들을 제작하는 것을 도와줬다. 치료뿐만 아니라 전투에도 참가하는데 [[썬더크래커(G1)|썬더크래커]]에게 [[헥토파스칼 킥]]을 날릴 정도로 싸움은 잘하는 듯하다. 부상자들에게 '''가만히 안 있으면 발성 회로를 잘라버리겠다'''는 무시무시한 말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건 동료들을 걱정하기 때문에 하는 발언이다. ==== [[트랜스포머 더 무비]] ==== [[파일:아이언하이드 라쳇 죽기 직전.jpg]] 셔틀을 타고 [[아이언하이드(G1)|아이언하이드]], [[프라울(G1)|프라울]], [[브런]]과 함께 오토봇 시티로 향하는 도중 쳐들어온 디셉티콘과의 총격전에서 사망한다. 그런데 대사가 1마디도 없다.(...) === [[IDW 트랜스포머 G1 코믹스|IDW 코믹스 세계관]] === 페이즈 1에선 --당연하게?--지구에서 활동하는 것으로 첫 등장. 범블비와 자주 활동하며, 어쩌다 엮이게 된 인간 3명과도 접점이 제일 큰 편이다. 페이즈 2의 시리즈인 MTMTE부터는 연륜 있는 중늙은이같은 캐릭터가 되었다. 애니메이티드 시리즈와 얼라인드 시리즈의 영향인 듯. 주로 [[드리프트(G1)|드리프트]]와 엮이면서 깨알같은 개그 콤비가 된다. D-VOID 사건에서 재생된 [[벡터 시그마]]의 영향을 받은 이후 [[프라이머스]]를 숭배하는 종교적 신비주의자가 된 드리프트와는 달리 과학적이고 이성주의적인 모습을 보여줘서 대비가 된다. 드리프트가 신비주의적 발언을 하면 라쳇이 딴지를 건다. 오토봇 수석 의료관을 사직하고 로스트 라이트 호에 탑승한 이유는 노후되면서 발생한 손 떨림 현상에 의해 더 이상 예전같은 기량을 발휘할 수 없게 되었기에 마지막으로 우주에 흩어진 다른 사이버트로니안들을 치료하기 위해서였다. 델피에서 드리프트가 자른 파르마의 손으로 교체한 후에는 다시 예전과 같은 실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되었다. 루나 1 사건 이후 [[핫로드(G1)|로디머스]]가 페이즈 식서 연구 프로젝트에 가담해 [[오버로드(마스터포스)|오버로드]]를 배에 실어 대재앙의 원인을 제공했다는 사실이 밝혀지자 그를 선장 자리에서 내쫓자는 선내 여론에 찬성표를 던졌다. 이후 로스트 라이트를 떠난 드리프트를 찾으러 잠시 떠났다가 로디머스 일행과 다시 합류한다. 전쟁 이전부터 의료부 담당자로써 [[노미누스 프라임|노미누스]], [[센티널 프라임(G1)|센티널]], [[제타 프라임|제타]], [[옵티머스 프라임(G1)/IDW|옵티머스]] 등 여러 프라임들의 건강을 담당했다. 그러나 노미누스 시절 사이버트론 사회의 불평등한 의료 혜택 시스템에 의문을 품고, 아카데미에서 만난 오라이온 팩스의 제안으로 몰래 불법 치료소를 운영해서 하층민들을 치료했다. 드리프트와도 이 시절에 처음 만났다. 그런데 드리프트가 이 시절 첫 만남을 선원들에게 해설하면서 이때의 라쳇은 종교적인 기도도 하고 그랬다고 하는데 당연히 라쳇은 난 그런 적 없다고 어디서 구라를 치냐면서 재빨리 드리프트의 입을 틀어막았다. 오토봇으로 전향한 [[메가트론(G1)/IDW|스포일러]]를 치료하는 도중, 그가 라쳇을 보며 "나도 어렸을 때 의사가 되고 싶었었다."라고 말하자 라쳇은 "그래? 나는 학살하고 다니는 폭군 독재자가 되고 싶었어. 인생 참 재밌지 않아? 안 그래?"라며 비꼰다. == 완구 == === 제너레이션 1 === [[파일:external/tfwiki.net/Ratchettoyg1.jpg]] [[다이아클론]] 카로봇 닛산 바네트 구급차가 원본. 같은 금형을 유용한 아이언하이드와 마찬가지로 '''머리가 없다!''' 후에 3사에서 머리 파츠를 별도로 발매하였다. 한정판으로 [[라쳇(트랜스포머 시네마틱 유니버스)|실사영화 라쳇]]과 비슷한 [[연두색]] 버전이 발매되기도 했다. === [[트랜스포머 클래식]] === [[파일:external/tfwiki.net/Ratchet25toy.jpg]] === [[마스터피스(완구)|마스터피스]] === [[파일:external/tfwiki.net/MP-30_Ratchet.jpg]] 2016년 4월 발매. 모두가 예상했듯이 아이언하이드와 같은 금형을 활용하여 나와주었다. === [[워 포 사이버트론 트릴로지]] === ==== [[트랜스포머 워 포 사이버트론 트릴로지#s-2.1|워 포 사이버트론: 시즈]] ==== * '''WFC-S34 디럭스 클래스 라쳇''' [[파일:시즈라쳇.jpg|width=700]] 시즈 아이언하이드의 리툴 및 리데코 제품으로, 비클과 로봇 외에 작은 로봇을 올려놓고 치료(수리)하는 모습을 연출할 수 있는 수술대로도 변신할 수 있다. 월그린 한정판으로 출시되었다. ==== [[트랜스포머 워 포 사이버트론 트릴로지#s-2.2|워 포 사이버트론: 어스라이즈]] ==== * '''갤럭틱 오딧세이 컬렉션 파라드론 메딕''' [[파일:갤럭틱 오딧세이 컬렉션 파라드론 메딕 디럭스 클래스 라쳇.jpg|width=700]] 어스라이즈 아이언하이드의 리툴 및 리데코 제품으로, 같은 디럭스 클래스인 라이프라인과의 합본으로 [[아마존(기업)|아마존]] 한정으로 발매되었다. === [[스튜디오 시리즈|스튜디오 시리즈 86]] === * '''코어 클래스 라쳇''' [[파일:SS86 코어 클래스 라쳇.jpg|width=700]] * '''SS86-23 보이저 클래스 라쳇''' [[파일:SS86 보이저 클래스 라쳇.jpg|width=700]] SS86-17 보이저 클래스 아이언하이드의 리툴 및 리데코 제품. 아이언하이드와 마찬가지로 구판 완구와 애니메이션에 모두 있었던 비클 모드 측면의 붉은색 라인이 없다. == 그 외 == * 라쳇과 아이언하이드는 동형기이다. 따라서 위에 나온 완구들은 하나도 빠짐없이 모두 아이언하이드의 리툴 또는 반대로 라쳇을 리툴하여 아이언하이드가 발매되었다. * 라쳇의 원본은 '인간이 입는 파워드 슈트'라는 설정인 [[다이아클론]]이다. 즉, 로봇도 아닌 [[그냥 시체|그냥 무기]]. 그래서 완구에 머리는 없었고 트랜스포머로 출시되었을 때 좌석 부분에 머리 형태의 스티커가 동봉되어 있었다. 후에 머리가 별도 파트로 딸려 출시됐었다. * 이름의 유래는 [[톱니바퀴]]를 뜻하는 [[라쳇]]이 아니라 [[뻐꾸기 둥지 위로 날아간 새(영화)|뻐꾸기 둥지 위로 날아간 새]]의 등장인물인 '밀드레드 랫체드'. * [[https://gall.dcinside.com/transformers/49953|초기에는 '''여성'''으로 나올 예정이었다.]] [[타카라토미]]판 컴바이너 세트(링스 마스터)에서의 라쳇은 완구 세트 구매 시 함께 동봉되는 일러스트(무대에서 연극을 하는 일러스트)에서 치마와 왕관을 둘렀고 공주님처럼 꾸몄기에 이 버전만큼은 여자라는 설정을 부활시켜서 도입된 듯하다. * 넥슨의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와 해즈브로가 제휴를 맺어 아이템 전용 카트 바디로 출시된 바가 있다. 지금은 제휴가 끝나서 판매 종료. 자세한 것은 [[라쳇(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 문서 참조. [[분류:트랜스포머 제네레이션 1/등장인물]][[분류:라쳇(트랜스포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