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2018년 기업]][[분류:IT 관련 기업]][[분류:스타트업]] ||<-2> {{{+2 '''라이드플럭스'''}}}[br]{{{+1 '''RideFlux'''}}}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 Rideflux_logo.jpg|width=100%]]}}} || || '''국가''' ||[[대한민국]]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 || '''업종'''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개발 || || '''설립일''' ||[[2018년]] [[5월 2일]] || || '''대표''' ||박중희 ^^([[CEO]])^^|| || '''본사'''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노형11길 25 ([[노형동]]) || || '''서비스 지역''' ||[[제주특별자치도]]|| || '''운영 서비스''' ||[[제주공항]]-[[쏘카]]스테이션 자율주행 셔틀 서비스[* 2020년 5월부터 2021년 3월까지의 서비스를 운영했으며, 이후 해당 서비스는 종료, 중문 유상운송 서비스로 확장되었다고 한다.], 제주공항-[[중문관광단지]] 자율주행 유상운송 서비스[* 국내 최장거리(왕복76km)의 자율주행 유상운송 서비스다], 서귀포 혁신도시 자율주행 모빌리티 서비스[* 국내 최초의 구역형(일정 구역 안에서 출도착지를 자유롭게 설정 가능) 자율주행 서비스라고 한다], 탐라자율차 서비스[[https://reservation.rideflux.com/tamra|#]] || ||<|3> {{{#ffffff '''링크'''}}} ||[[https://www.rideflux.com/| {{{#3366ff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youtube.com/c/RideFlux/|[[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18]]]] [[https://www.linkedin.com/company/rideflux/?viewAsMember=true|[[파일:LinkedIn 아이콘.svg|width=18]]]] || [목차] [clearfix] == 개요 == >For the Safety, Beyond the Safety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ideflux main.png|width=100%]]}}}|| 한국의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스타트업이다. 2018년 5월 설립돼 도심 완전 자율주행을 위한 풀스택(Full-Stack)[* 소프트웨어의 일부 스택이 아닌, 소프트웨어 구현에 필요한 모든 스택을 말한다.]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있다. 본사는 제주도 제주시 노형동에 두고 있다. 본사가 있는 제주를 중심으로 자율주행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 상세 == 라이드플럭스는 도심 완전 자율주행 기술을 개발하고 있는데, 이 도심 완전 자율주행 기술은 보통 생각하는 차량의 운전자 보조 시스템, 즉 [[ADAS]] 기능과는 조금 다르다. 차량 제조사에서 옵션으로 넣는 ADAS 기능은 고속도로 같이 사람이 없이 차만 다니는 도로 상황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반면, 도심 완전 자율주행 기술은 자율주행 지도가 구축된 지역 안에서라면 사람이 다니더라도 자율주행이 가능하다. 자율주행기술을 왜 하필 제주에서 개발하나 싶은데, 대표 인터뷰에 따르면 제주 특성상 날씨가 자주 변하고 교통사고도 많은 지역이라 자율주행을 테스트해보기엔 좋은 곳이라고 한다.[[https://www.mk.co.kr/news/it/view/2022/01/76554/|제주공항~중문단지 38㎞…자율차 국내 최장구간 운행, 도심·고속구간·산·언덕…혹독한 환경서 자율차 성공]] == 투자사 == 2021년에 시리즈A 투자를 받아 2022년 기준 누적 투자금이 292억원이다.[[https://biz.chosun.com/it-science/ict/2021/12/26/BCBKCOJN4FDTBKEV34W35UKA2Y/|#]] 투자사로는 쏘카를 비롯해 에이티넘인베스트먼트, SBI인베스트먼트 캡스톤파트너스, 현대투자파트너스, 서울투자파트너스, 옐로우독 등이 있다. == 라이드플럭스 팀 == [[MIT]]에서 기계공학을 전공한 박중희 대표와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박사 출신 윤호 [[기술이사]]가 공동 창업했다. 정하욱 부대표는 서울대 전기컴퓨터공학 박사 출신으로,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현재는 MX사업부로 이름을 바꿨다.]에서 일한 경험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