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Example1232.jpg|width=400]] [[JR 도카이]]에서 운영했던 대표적인 라이너 열차인 [[센트럴라이너]]. 현재는 폐지되었다. [목차] == 개요 == 라이너 형태의 최초 등장[* 다만, 이 때에는 라이너라는 명칭은 없었다.]은 [[일본국유철도]]에서 [[급행]] 이상 우등열차의 운행 종료 후 차량기지로 회송하는 편성에 특급요금 없이 여객영업을 실시했던 것이라고 한다. 대표적인 예시로 1968년 10월 1일 다이아 개정부터 운행하였던 보소반도([[우치보선]]/[[소토보선]] 방면)발 [[신주쿠역|신주쿠]]행 급행열차가 신주쿠역에 도착 후 [[오리카에시]] 운행하여 [[오차노미즈역|오차노미즈]]발 [[치바역|치바]]행으로 운행하는 패턴[* 정차역은 [[아키하바라역|아키하바라]], [[후나바시역|후나바시]]] 이었다. 이 당시에는 회송 열차의 다이어를 이용하여 운행하는 형태였기 때문에, 속도는 사실상 각역정차와 별 다를 바 없었다. 라이너라는 명칭 및 현재의 라이너 개념이 정식으로 도입된 것은 1984년의 일인데, 당시 [[일본국유철도]] 여객국장이었던 스다 히로시(須田 寛, 현재 [[JR 도카이]] 상담임원)가 처음으로 고안하여 동년 7월 23일에 [[우에노역|우에노]]~[[오미야역(사이타마)|오미야]] 간의 특급열차 공차회송편을 활용한 '홈 라이너 오미야(ホームライナー大宮)[* 이는 후에 '홈 라이너 코가(ホームライナー古河, [[우에노역|우에노]]~[[코가역(이바라키)|코가]])', '홈 라이너 코노스(ホームライナー鴻巣, [[우에노역|우에노]]~[[코노스역|코노스]])'로 변경되어 운행하다가 2014년 3월 14일 다이어 개정을 끝으로 폐지. 한때는 혼슈 정 반대편에 위치한 '''[[JR 서일본]]''' 소속 [[485계 전동차]]로 운행했다. [[카나자와역]]행 [[노토#s-1.3|야간급행 노토]]와 편성을 공유했기 때문.], '홈 라이너 츠다누마(ホームライナー津田沼[* 이는 후에 '홈 라이너 치바(ホームライナー千葉, [[도쿄역|도쿄]]/[[신주쿠역|신주쿠]]~[[치바역|치바]])'로 변경되어 운행하다가 2019년 3월 16일 다이어 개정으로 폐지], [[도쿄역|도쿄]]~[[츠다누마역|츠다누마]])' 운행을 시작한 것이라고 한다. 다만, 이 때에는 한 편성의 객차 일부를 활용한 것이라 점점 높아져가는 인기에 대응할 수가 없었기에 후에는 모든 객차를 활용하여 승객을 대응했다고 한다. 이후 1986년 11월 1일에는 한와 라이너(阪和ライナー)[* 2011년까지 운행]와 그 유명한 [[쇼난라이너|쇼난 라이너(湘南ライナー)]]를 운행하기 시작했으며, 이 때부터는 회송열차 활용이 아닌 명실상부한 단독 운행편으로 거듭났다고 한다. 주요 대도시권에서 운행되며, 철저히 '''통근객의 착석 보장'''을 위해 굴린다. '''고급 [[통근열차]] 서비스'''인 셈. 이 열차들은 [[JR패스]] 들이밀어도 라이너권을 추가로 구입해야(일부 그린샤를 굴리는 라이너 열차는 JR패스 그린샤 패스로 추가 지불 없이 탈 수 있다.) 탈 수 있어서 대한민국 사람이 이걸 타는 경우는 [[정기권]] 끊은 경우 아니면 없으며, 일반적인 여행객 동선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가 많아[* 통근 수요를 위해 운행하니 아침에는 대도시 방향으로, 저녁에는 위성도시 방향으로 움직인다. 대도시에 숙소를 두고 외곽 지역을 돌아다니다 대도시로 돌아오는 여행객 이동 동선과 정반대이다.] 일본 철도 여행기에서도 찾기 어려운 열차 중 하나이다.[* 여행객들이 타는 라이너는 쾌속 열차 애칭이 라이너거나([[시사이드 라이너]], [[하코다테 라이너]] 등), 사철 특급 애칭이 라이너거나([[킨테츠 특급|어반 라이너]] 등), 노선명에 라이너가 들어가는 경우([[포트 라이너]] 등)이다.]. 하지만 공식적으로는 쾌속열차의 변종으로 취급받다보니, [[청춘 18 티켓]] 이용자라도 라이너권만 구입하면 탑승할 수 있다. 초기에는 급행형 열차를 이용하여 굴렸으나, 급행형 열차가 거의 없어지다시피한 2000년대 들어서는 노후 특급열차가 라이너로 주로 운행하였으며, 도쿄권, 삿포로권, 니가타권, 나고야권, 시즈오카권, 간사이권, 후쿠오카권, 미야자키권, 가고시마권 등지에서 운행하였다. 90년대에는 [[215계 전동차]] 등 라이너 운행이 주목적인 열차까지 개발되는 등 전성기를 누렸으나 2000년대 들어서는 특급보다 낮은 객단가, 보통열차 그린샤 추가로 인한 이용객 감소(도쿄권 한정) 등의 문제로 [[JR 서일본|간사이권]]과 [[JR 큐슈|후쿠오카권, 미야자키권, 가고시마권]] 등에서는 특급/쾌속으로 대체되어가다가 2011년에 전부 사라졌으며, 2021년 3월 [[JR 동일본|도쿄권과 니가타권]]의 라이너 열차가 전부 폐지된다. 도쿄권은 특급으로 승격, 니가타권은 전석지정석 쾌속으로 대체되는 형태이다. [[청춘 18 티켓]]로는 이용할 수 없게 되었기 때문에(도쿄권 한정) 청춘 18 티켓에게는 손해이지만, 반대로 [[JR패스]]로는 추가요금 없이 탈 수 있게 되었기 때문에 JR패스 이용자들에게는 오히려 이득이긴 하지만, 일반적인 여행객들의 동선과는 다른 동선으로 운행하는 열차들이라는 점 때문에 그다지 큰 이득이라고는 할 수 없다. == 현황 == ※ 2022년 3월 기준. 열차명에 '라이너(ライナー)' 를 포함하더라도 유료열차가 아닌 경우는 제외한다.[* ex) [[하코다테 라이너]]] === JR === * [[홋카이도]]권 ([[JR 홋카이도]]) * [[홈 라이너(홋카이도)|홈 라이너]] ([[하코다테 본선]] [[테이네역|테이네]] → [[삿포로역|삿포로]]) : 평일 아침 삿포로행만 3회 운행. 중간정차역 없음. 승차정리권 100엔. * [[시즈오카현|시즈오카]]권 ([[JR 도카이]]) * 홈라이너 누마즈 ([[도카이도 본선]] [[시즈오카역|시즈오카]] → [[누마즈역|누마즈]]) : 평일 아침 누마즈행 1회, 평일 저녁 누마즈행 2회 운행. 승차정리권 330엔. [[373계 전동차|373계]]로 운행한다. * 홈라이너 시즈오카 ([[도카이도 본선]] [[누마즈역|누마즈]], [[하마마츠역|하마마츠]] → [[시즈오카역|시즈오카]]) : 누마즈발 시즈오카행은 평일 아침 1회, 금요일 심야 1회 운행하며 하마마츠발 시즈오카행은 매일 아침 2회, 평일 저녁 2회 운행. 승차정리권 330엔. [[373계 전동차|373계]]로 운행한다. * 홈라이너 하마마츠 ([[도카이도 본선]] [[누마즈역|누마즈]], [[시즈오카역|시즈오카]] → [[하마마츠역|하마마츠]]) : 누마즈발 시즈오카행은 평일 저녁 2회 운행하며 시즈오카발 하마마츠행은 평일 저녁 2회 운행. 승차정리권 330엔. [[373계 전동차|373계]]로 운행한다. * [[아이치현|나고야]]권 ([[JR 도카이]]) * 홈라이너 미즈나미 ([[츄오 본선]] [[미즈나미역|미즈나미]] ↔ [[나고야역|나고야]]) : 승차정리권 330엔, 그린샤 지정석권 780엔. [[383계 전동차|383계]]로 운행한다. * 홈라이너 오가키 ([[도카이도 본선]] [[나고야역|나고야]] ↔ [[오가키역|오가키]]) : 승차정리권 330엔, 지정석 그린샤권 780엔. [[681계 전동차|681계]]와 [[683계 전동차|683계]]로 운행한다. === 사철, 공영 및 제3섹터 === * [[케이세이 전철]] * [[케이세이 스카이 라이너|모닝 라이너]] ([[케이세이 본선]] [[나리타 공항역|나리타공항]] → [[케이세이우에노역|우에노]]) : 매일 아침 우에노행 4회. 전차지정석 열차. 라이너권 420엔. [[케이세이 AE형 전동차]]로 운행한다. * [[케이세이 스카이 라이너|이브닝 라이너]] ([[케이세이 본선]] [[케이세이우에노역|우에노]] → [[나리타 공항역|나리타공항]]) : 매일 저녁 나리타행 4회, 나리타공항행 3회 운행. 전차지정석 열차. 라이너권 420엔. [[케이세이 AE형 전동차]]로 운행한다. * [[케이세이 스카이 라이너|호쿠소 라이너]] ([[호쿠소 철도 호쿠소선|호쿠소선]] [[인바니혼이다이역|인바니혼의대]] → [[케이세이우에노역|우에노]]) : 평일 아침 우에노행만 1회 운행. 라이너권 500엔. [[케이세이 AE형 전동차]]로 운행한다. * [[케이오 전철]] * [[케이오 라이너]] 항목 참조. * [[케이큐 전철]] * [[케이큐 본선#s-2|모닝 윙/케이큐 윙]] 문서 참조. * [[도부 철도]] * [[TJ라이너]] 문서 참조. * 도부 철도, 도쿄메트로 [[도쿄메트로 히비야선|히비야선]] * [[TH라이너]] 문서 참조. * [[세이부 철도]], [[도쿄메트로]] [[도쿄메트로 유라쿠초선|유라쿠초선]] (및 후쿠토신선, 도큐 도요코선-미나토미라이선[* 주말 한정]) * [[S-TRAIN]] 문서 참조. * [[세이부 철도]] [[하이지마선]] * [[하이지마 라이너]] : [[하이지마역]]과 [[세이부신주쿠역]]을 잇는다. [[S-TRAIN]]용으로 도입된 [[세이부 40000계 전동차]]가 운행한다. * [[케이한 전기철도]] * 라이너([[쿠즈하역|쿠즈하]]/[[히라카타시역|히라카타시]] → [[요도야바시역|요도야바시]]) : 하행(아침) 2회만 운행한다. 라이너권 300엔(프리미엄카는 400엔). [[케이한 8000계 전동차]]로 운행한다. * [[아이노카제 토야마 철도]], [[IR 이시카와 철도]] *[[ 아이노카제 라이너]] ([[IR 이시카와 철도]] [[카나자와역|카나자와]] ↔ [[아이노카제 도야마 철도]] [[토마리역(도야마)|토마리]]) - 카나자와행 아침, 저녁 각 1회, 토마리행 저녁만 3회 운행. 전차지정석이나 발매한도가 없어 입석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라이너권 300엔. [[521계 전동차|521계]]로 운행한다. * [[교토 탄고 철도]] * 통근 라이너([[미야즈역|미야즈역]] → [[후쿠치야마역|후쿠치야마]]) : 하행(아침) 1회만 운행한다. 라이너권 300엔. KTR8000형 동차로 운행한다. 한국에서는 조금 다른 의미로 '''특실편성 [[새마을호]]'''가 서울-임진강/도라산 구간을 평일 한정으로 운행하자 [[철도 동호인]]들이 경의선/임진강/도라산라이너라는 별명을 붙여준 적이 있다. KTX 환승용 단거리 새마을호였던 동대구-진해 새마을호에도 비슷한 맥락에서 진해라이너라는 별명이 붙었다. 물론 수익성이나 차량의 내구도 등의 문제들로 전부 단명했지만. 이후 [[ITX-청춘]]이 [[경춘선]]에서 춘천시와 인근 지역 통근객을 타겟으로 한 프리미엄 정기권 셔틀열차의 컨셉으로 운행을 시작함에 따라 사실상 라이너 포지션의 명맥을 잇고 있다. 다만 이는 평일 한정으로, 주말과 휴일에는 관광열차로서의 성격이 더 강해진다. 독일에는 [[인터시티익스프레스#s-2.1.1|고속열차로 운행하는 라이너 서비스]]가 있다. 최고등급 열차 운임에다가 패스 소지자라 할지라도 추가요금을 내야 하는 어마무시한 가격을 자랑한다. 물론 [[고속철도|속도도 최고급]]. 한국에도 고속열차로 운행하는 라이너 서비스가 있는데 [[동탄역]]을 오전 7시 40분에 출발하는 수서행 [[SRT]] #690 출근열차가 운행된다.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이 개통하기 전까지 임시로 운행하는 열차이다. 이쪽은 일반 SRT보다 저렴하다. ~~[[가면라이더 덴오|모 특촬물]]에서는 [[덴라이너|시간여행과 전투가 가능한 통근열차가 등장한다 카더라.]]~~ == 관련 문서 == * [[일본 철도 정보]] * [[일본 철도 정보/열차 등급 관련 정보]] * [[특급(철도)]]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라이너, version=203)] [[분류:일본의 철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