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바이러스성 질병]][[분류:1급 법정 감염병]] [include(틀:감염증 관련 문서)] ||<-2> '''{{{#fff {{{+1 라싸열}}}[br]Lassa (hemorrhagic) fever}}}''' || || '''{{{#fff 국제질병분류기호[br]{{{-1 ([[ICD-10]])}}}}}}''' ||[[https://icd.who.int/browse10/2019/en#/A96.2|A96.2]] || || '''{{{#fff 의학주제표목[br]{{{-1 (MeSH)}}}}}}''' ||[[https://id.nlm.nih.gov/mesh/D007835.html|D007835]] || || '''{{{#fff 진료과}}}''' ||[[감염내과]] || || '''{{{#fff 질병 원인}}}''' ||라싸바이러스 감염 || || '''{{{#fff 관련 증상}}}''' ||[[발열]], [[출혈]] || [목차] [clearfix] == 개요 == {{{+2 Lassa fever, Lassa hemorrhagic fever}}}[* 여기서 라싸는 [[중국]]의 [[라싸시]]와는 다른 곳으로, 라싸 마을은 [[나이지리아]] 북부의 [[사하라]]와 면한 지역으로 [[사헬 지대|사헬]]이라고 불리는 곳이다.] '''라싸열''' 또는 '''라싸 출혈성 열'''은 주로 서아프리카 지역에서 아레나바이러스에 속하는 라싸바이러스에 의해서 발병하는 [[전염병]]이다. 많은 확진자와 사망자 때문에 [[생물 안전도]] 4급[* 그 위험하다는 '''[[천연두|{{{#E00 천연두}}}]]''', '''[[에볼라|{{{#E00 에볼라}}}]]''', '''[[마버그열|{{{#E00 마버그열}}}]]'''이 이 등급에 해당된다.]에 해당된다. [[한국]]에서는 [[전염병 #s-7.2.1|1급 전염병]]으로 분류되어있다. 그리고 다행히 아직 한국에서의 감염 사례는 없다. == 역사 == 1969년, [[나이지리아]] 보르노 주 라싸 마을[* [[티베트]]의 [[라싸]]가 아니다.] 에서 처음 발생했기 때문에 라싸열이라 불리게 됐다. 이후 [[미국]], [[영국]], [[독일]], [[일본]], [[홍콩]], [[캐나다]] 등으로 퍼지게 되었다. 현재는 전염력이 강하고 치명률이 높기 때문에 엄중한 격리 치료를 해야 하는 국제 전염병으로 발전했다. == 전염 경로 == ||<-2> '''{{{#000,#fff {{{+1 라싸바이러스}}}[br]Lassa virus}}}'''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라싸열.jpg|width=100%]]}}} || || '''병명''' ||'''라싸열''' || ||<-2> '''분류''' || || {{{#000 '''미분류'''}}} ||[[바이러스]]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Orthornavirae ||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네가르나바이러스문(Negarnaviricota) ||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엘리오바이러스강(Ellioviricetes) ||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분야바이러스목(Bunyavirales) ||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아레나바이러스과(Arenaviridae) ||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맘마레나바이러스속(Mammarenavirus) || ||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라싸바이러스(Lassa mammarenavirus)''' || [clearfix] 주로 서아프리카에서 라싸바이러스에 감염된 [[쥐]]의 분비물과 접촉 또는 분비물에 오염된 음식을 섭취 시 전염된다. 혹은 쥐의 분비물이 [[에어로졸]]의 형태로 공기를 통해 전염될 수도 있다. 그리고 사람간의 [[체액]]의 접촉을 통해서도 전염이 가능하다. 대부분 [[서아프리카]]에 위치한 [[시에라리온]], [[라이베리아]], [[기니아]], [[나이지리아]] 등에서 발생한다. == 증상 == 잠복기는 1~3주 정도다. 잠복기가 지나면 증상이 발현되는데, 문제는 감염된 사람의 80% 정도는 무증상 또는 경증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나머지 20%의 경우, 여러 장기에 바이러스가 침범한다. 잠복기가 지나면 [[발열]], 흉부 통증, [[두통]], [[근육통]], [[복통]], 인후통, [[기침]], [[구토]], [[설사]] 등의 다양한 증상이 나타난다. 만약 중증 라싸열의 경우 [[저혈압]], [[경련]], [[부종]], [[신부전]] 등의 증상이 발생하고, 심각하면 [[호흡곤란|호흡부전]]과 함께 [[다발성 장기 부전]]을 보여 증상 발생 2주 후 사망하게 된다. [[결막염]], 안면 부종, [[단백뇨]], 점막 [[출혈]], [[진전]], [[뇌염]] 등과 같은 신경학적 이상이 생기기도 한다. 후유증으로 [[난청]], [[유산(의학)|자연 유산]]이 나타난다. 심각한 증상 때문에 입원한 환자의 15%에서 20%는 사망하지만 전체 환자 대비 치명률은 1% 정도다.[* [[미국]] 국립 보건원이 1999년 5월 제정한 지침서에 따르면 가장 치사율이 높은 질병이 라싸열이다.] == 치료 == 아직까지 라싸열의 정확한 치료제는 없다. 대신 증상 발현 후 6일 안에 항바이러스 약제인 리바비린을 이용한 치료를 진행하면 효과가 있다. 또는 환자에게 수분과 [[전해질]]을 공급하고, 산소 공급과 혈압 유지 등의 치료를 시행한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라사열, version=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