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라스트오리진)] ##신규 전투원 추가 시 [[템플릿:라스트오리진의 전투원]]에 맞게 문서를 작성해주세요 [include(틀:라스트오리진)] [목차] == 전투원일람 == [include(틀:라스트오리진/종류)] == 개요 == [[모바일 게임]] [[라스트오리진]]에서 플레이어가 제작 및 육성 가능한 캐릭터들이다. 모든 전투원은 부관으로 설정해 메인화면에서 볼 수 있다. 중파 일러스트가 있는 경우, 중파된 모습으로 설정 가능하다. == 등급 == 전투원들은 희귀도에 따라 4개 등급으로 분류된다. 등급별 특징은 이하를 따른다. 승급 시스템을 통해 낮은 등급의 전투원을 한 단계 높은 등급으로 승급시킬 수 있으며, 승급한 전투원은 해당 등급에 맞게 능력치가 증가하고 추가 패시브 스킬이 부여된다. [[라스트오리진/연구]] 항목을 참조. || 이[BR]미[BR]지 ||<-4>{{{#!wiki style="margin: -6px -11px" [[파일:라스트 오리진_등급별 설명.png|width=100%]]}}}|| || 등[br]급 ||<#E2F0D9> '''{{{#5AAA50 {{{+3 B}}}}}}''' ||<#DEEBF7> '''{{{#5EE2F4 {{{+3 A}}}}}}''' ||<#FFF2CC> '''{{{#FDC431 {{{+3 S}}}}}}''' ||<#FFE699> '''{{{#FFFF00 {{{+3 SS}}}}}}''' || || 액[br]티[br]브 ||<-4> {{{#!wiki style="margin: -25px -10px; padding: 2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2F0D9,#DEEBF7,#FFF2CC,#FFE699)" '''2 종 보 유'''}}} || || 패[br]시[br]브 ||<#E2F0D9> '''{{{#CF1020 없음}}}''' ||<#DEEBF7> 1종 ||<#FFF2CC> 2종 ||<#FFE699> '''{{{#blue 3종}}}''' || || 범[br]용[br]성 ||<#E2F0D9> '''{{{#CF1020 없음}}}''' ||<#DEEBF7> '''낮음''' ||<#FFF2CC> '''높음''' ||<#FFE699> '''낮음''' || || 성[br]장[br]속[br]도 ||<#E2F0D9> '''{{{#blue 빠름}}}''' ||<#DEEBF7> '''빠름''' ||<#FFF2CC> '''보통''' ||<#FFE699> '''느림''' || || 드[br]랍[br]율 ||<#E2F0D9> '''높음''' ||<#DEEBF7> '''보통''' ||<#FFF2CC> '''낮음''' ||<#FFE699> '''{{{#CF1020 매우[br]낮음}}}''' || || 코[br]스[br]트 ||<#E2F0D9> '''{{{#blue 낮음}}}''' ||<#DEEBF7> '''보통''' ||<#FFF2CC> '''높음''' ||<#FFE699> '''{{{#CF1020 매우[br]높음}}}''' || 등급에 따른 능력치의 차이는 10~20% 남짓으로 적은 편이며 액티브와 패시브 스킬의 성능에 따라 유용성이 갈린다. B등급은 패시브가 아예 없으며, 등급이 오를수록 패시브가 하나씩 늘어난다. B등급은 패시브가 없기에 액티브 스킬에 개성을 주는 편이지만, 패시브를 통한 시너지를 얻을 수 없어 후반으로 갈수록 효용이 떨어진다. 그래서 주전으로 쓸만한 것은 A등급부터며, 그나마도 쓸만한 S등급들이 등장하면 서서히 대체되게 된다. 특히 최종컨텐츠라 할 수 있는 [[영원한 전장]]에서는 S등급이 기본이다. 그래도 일단 상당수의 전투원들에게 승급이 나오고, 자원절약을 위한 저등급 오토도 자주 돌리게 되므로 저등급이라고 완전히 버려지는 경우는 그리 많지 않다. 게임 초창기에는 S, SS등급임에도 스킬이 좋지 않아 등급 값을 못하던 전투원들이 꽤 많았다. 하지만 지속적인 상향으로 대부분의 고등급 캐릭터들이 제 밥값을 하게 되었다. 등급이 높을수록 패시브를 통한 상호 시너지가 중요하기 때문에 시너지를 고려해서 조합을 짜야 한다. 흔히 초보들이 시너지를 고려하지 않고 S, SS등급으로만 스쿼드를 짜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면 자원만 많이 먹는 허당 스쿼드가 될 뿐이다. 초반에는 자원도 싸고 코어링크도 쉬운 B등급 전투원들 위주로 기용하다가, 조합을 짤 인원이 갖춰지면 그 때 교체하는 것이 좋다. [[https://cafe.naver.com/lastorigin/632840|스테이지를 수천 번씩 돌아본 유저의 통계]]에 따르면 대체로 후반 지역이고 한 판에 웨이브 수가 적을 수록 웨이브당 고등급 캐릭터의 드랍률이 높다고 한다. 등급별로 웨이브당 드랍률[* 웨이브가 끝날 때마다 실종 대원 목록에 나와있는대로 고등급부터 차례차례 드랍 여부가 정해진다. 한 웨이브에서 중복으로 드랍되거나 저등급 대원이 먼저 튀어나오는 일은 없다. 큰 의미는 없지만 과거 올드랍 버그가 있었을 때 확인된 바로, 특정 웨이브에서는 일부 전투원이 드랍되지 않는 스테이지도 있다.]은 B등급이 고정 10%, A는 약 2%[* 똑같은 2웨이브 구성이라도 2-4 파니의 경우 0.4%에 불과하나 7-4Ex의 엘븐 자매는 3%가 넘는다고 한다.] S는 0.4%를 표준으로 0.3~0.8 이내고 SS는 0.1%를 표준으로 0.08~0.15% 선이라고 한다. 추가로 중장형은 다른 타입보다 드랍률이 더 낮다.[* 5-8Ex 에서 경장인 리리스와 중장인 블러디 팬서는 드랍률이 4배 정도 차이난다고 한다.] 링크까지 해서 6장을 구하자면 B등급은 몇 분만에 끝낼 수 있지만 SS등급은 수십만 자원을 부어 맞춘 최적화된 세팅으로도 일주일 넘게 걸리기도 하니까 초반엔 공략 따라가는 거 아니면 얌전히 저등급 캐릭터를 키우는게 낫다. 사족을 덧붙이자면 SS등급 전투원은 이벤트맵 드랍리스트에 있을 때 파밍하는게 제일 낫다 == 전투원 분류 == [include(틀:라스트오리진/전투원)] 전투원들은 '''경장형, 기동형, 중장형''' 3가지 타입과 '''공격기, 보호기, 지원기''' 3가지 역할군, 총 9개의 카테고리로 분류되어 있다. 자세한 것은 각 문서를 참고. 각 분류에 따라 소모하는 자원의 종류가 다르며, 적들 중에서도 특정 타입을 먼저 공격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신경쓰게 된다. * 타입 사용하는 무장에 따른 분류. 캐릭터의 외형과 타입 분류는 상당히 잘 들어맞는 편이다.[* 예외라면 공중에 떠다니는 [[에이다 Type-G]], [[불굴의 마리]]가 경장형으로 분류되는 것이 있다. 다만 둘은 '''비행'''하는 것이 아니라 '''부유'''하고있는 것이기 때문에 엄밀하게 말하면 크게 틀린 것도 아니다.] 기본적으로 '''경장형 > 기동형 > 중장형 > 경장형'''이라는 상성으로 설계되었지만 별개의 보정이 있는 것은 아니고 단순히 스탯 및 스킬셋에 의한 상성이기 때문에 스탯 및 장비 배분만으로도 충분히 극복 가능하며, 대놓고 상성을 무시하는 전투원도 출시되어[* [[세라피아스 앨리스]]는 기동형이지만 피해감소 무시와 대 경장 보너스를 가지고 있어 경장형에 강하다. [[샬럿(라스트오리진)|샬럿]]은 경장형이지만 피해 감소 무시를 가지고 있고, [[라비아타 프로토타입]]은 중장형이지만 경장형 뺨치는 행동 횟수로 기동형이든 뭐든 다 때려잡는다.] 많이 희석된 감이 있다. * 경장형 구성원 대부분이 평범하게 보행을 하며, 다리에 추진 장치가 있을 경우, 바퀴나 부스터로 지상을 주행하는 경우가 많다. 소총, 한손검 같은 비교적 가벼운 무장을 하고 있다. 타 유형에 비해 기본 적중률이 높고 스킬의 사정거리가 긴 편인 대신, 다른 타입에 비해 피해량이 다소 낮은 편이다. 행동력은 4 전후로 평범하지만, 스킬의 AP 소모가 적은 편이라 행동 횟수가 높은 편이다. 높은 적중률과 행동 횟수 덕분에 체력이 낮고 회피에 의존하는 기동형에게 유리하다. 또한 자원소모가 가장 적어서 부담 없이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경장 공격기는 낮은 공격력을 커버하기 위해 지원 공격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으며, 경장 보호기는 속성저항 30%를 기본으로 가지고 있다. * 기동형 부스터, 날개, 초능력 등 자체적으로 비행을 할 수 있는 전투원으로 인게임에선 날거나 호버링 상태로 이동한다. 전체적으로 체력이 낮지만 회피율이 높고, 대부분의 기동 보호기들은 적의 공격을 전부 회피하는 회피탱의 형태로 아군을 지킨다. 적중률은 낮지만, 행동력은 4.5 전후로 높은 편이라 1라운드에 선공권을 가지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스킬들의 AP 소비가 높은 편이라 경장형에게 빠르게 따라 잡힌다. 대신 스킬 대미지가 높은 편이고 관통 효과를 가진 경우가 많아 방어력이 높고 행동력이 낮은 중장형에게 유리하다. 자원은 전력을 많이 소비한다. * 중장형 중장형은 유닛 자체의 크기가 거대하거나, 사용하는 장비(중화기, 외골격 슈트 등)가 전신을 뒤덮을 정도로 큰 편이다. 전반적인 스텟이 높아, 기본 대미지가 낮은 적에게 강하다. 그러나 기동형과 마찬가지로 적중률이 그다지 높은 편이 아니고, 행동력도 3.5 전후로 매우 낮은데다가 스킬들이 소모하는 AP가 높아서 행동이 매우 느리다. 일부 중장형 캐릭터들은 1라운드에 행동을 못하고 턴을 넘겨야 할 정도. 하지만 세 유형중 가장 강력한 화력을 가지고 있고 행동 하나 하나가 위력적이다. 방어가 높아서 한방이 약한 경장형을 상대로 유리하다. 또한, 중장형 보호기는 이동효과에 면역이다. * 역할군 파티플레이 게임에서 자주 보이는 [[딜러]]/[[탱커]]/[[버퍼]]의 개념이다. [[힐러]]는 없고 나오지도 않을 것이라 한다. 그러나 표시된 역할과 실제로 사용되는 역할이 다른 경우가 꽤 많다. * 공격기 공격기는 보통 대미지가 높은 딜링형 스킬들을 갖고 있다. 상태이상과 연동해서 데미지가 늘어나거나 방어관통, 보호무시 같은 방법으로 화력을 극대화하는 경우가 많다. 크게 단일딜러와 광역딜러로 나눠지나 단일과 광역기를 둘 다 가진 경우도 많다. * 보호기 보호기는 보호 스킬을 사용하거나 도발 등의 상태이상으로 아군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앞에 서 있는 것만으로는 대신 맞아줄 수 없기 때문에 추가적인 보호 능력이 요구된다. 맞고 버티는 방탱과 피하고 살아남는 회피탱으로 나뉘며, 특정 역할의 아군을 보호해 주거나 특정 범위의 아군을 보호해 주는 등의 다양한 차이가 존재한다. 예외적으로 [[포츈(라스트오리진)|보호기인데도 사실은 지원기에 가까운 경우]]도 있고 딜탱/반격탱으로서 설계되어서 공격력이 좋지만 그 반대급부로 탱킹 성능은 부족한 경우도 있다. 자원은 부품을 많이 소모한다. * 지원기 지원기는 보통 다른 전투원에게 버프를 걸어주거나 적에게 디버프를 걸어주는 등으로 팀 전체의 효율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단순히 공격기를 다수 배치하는 것보다는 지원기를 통해 소수의 공격기들에게 버프를 걸어주는 것이 더 화력이 좋을 때가 많다. 1스킬인 공격기로 적에게 디버프를, 2스킬인 지원기로 아군에게 버프를 주는 구성이 일반적이지만 예외도 많은데 [[마이티R|지원기인데 지원성능 보단 자신의 딜링에 치중한 경우]], [[오베로니아 레아|광역 딜러에 가까운 스킬셋을 가진 지원기]]도 있다. 또 게임 초기에는 부대별 시너지 효과 거의 없었고 각 캐릭터들의 스킬들을 비교해가며 시너지 효과를 내는 캐릭터들을 묶어 사용하는 일이 많았으나, 2020년부로 자신의 소속부대 혹은 자매기에게 전용 버프, 강화된 버프를 제공하는 캐릭터들이 늘어감에따라 기존까진 대부분 예능픽이었던 특정 부대 구성원만으로 부대를 편성하는 것의 효율성이 크게 상승했다. === [[바이오로이드(라스트오리진)|바이오로이드]] === 인조인간. 자세한 설정은 해당 문서 참조. 각 바이오로이드는 스토리상 종류별로 한 기체씩만 '''등장'''한다는 설정이며, 동일기종에 대해서는 언급만 된다. 예외는 [[T-2 브라우니]], [[바바리아나]] 정도가 있다. '''{{{#RED 호감도}}}'''라는 스탯이 존재하며, 자세한 내용은 [[#s-13|해당 문단]] 참조. 출격 시 '''{{{#A8D18D 영양}}}'''을 많이 소모하며, '''{{{#FFC000 부품}}}'''과 '''{{{#9DC3E6 전력}}}'''역시 소모하는데 이 두 자원의 소모 비율은 타입이나 역할군에 따라 조금씩 다르다. 수복 자원은 출격 자원과 무관한 경우도 발견되는데, 예를 들어 발키리의 경우는 수복에 전력이 가장 많이 소모된다. === [[AGS]] === AI 로봇. 상세 설정은 해당 문서 참조. '''{{{#RED 호감도}}}'''가 존재하지 않는다. 제작이나 출격 시 '''{{{#A8D18D 영양}}}'''을 전혀 소비하지 않는다.[* 단, [[에이다 Type-G|에이다]]의 경우 제작 시 영양을 소모한다.] 대신 '''{{{#FFC000 부품}}}'''과 '''{{{#9DC3E6 전력}}}'''을 동급의 바이오로이드 보다 좀 더 소비하므로 자원 수급, 소모 상황에 따라 바이오로이드와 적절히 섞어서 사용 하는 것이 좋다. 분해시 바이오로이드처럼 영양을 주는 것은 같다. 특이하게도 수복에는 영양이 소비된다. 정해진 재료로 확정 제작하는 방식이지만 연구를 통해 설계도를 해금해야 제작할 수 있다. A등급까지는 쉽게 설계, 제작할 수 있지만 S등급부터는 설계도 해금 뿐만 아니라 제작재료도 상당한 노가다를 요구하므로, 확정 제작이니까 코어링크가 마냥 쉬울 거라고 생각하면 낭패를 볼 수 있다. 이는 달리 말해 모든 연구가 끝나고 재료가 쌓이기 시작하면 확정 제작의 장점만 남게된다. == 코스트 == 전투에 입장할 때 소모되는 자원이다. 바이오로이드는 기본적으로 영양 소모량이 많은 편이며, 영양 소모량은 등급별로 고정되어 있다. AGS는 영양을 전혀 소모하지 않는 대신 부품과 전력 소모량이 많다. 타입별로도 자원 소모량이 차이가 있다. 경장형은 전체적으로 자원 소비가 적고, 기동형 전투원은 부품 소비가 적고 전력 소비가 많은 편이며, 중장형은 전체적으로 자원 소비가 많다. 한편 역할군 별로도 자원 소모량이 차이가 있다. 공격기는 평균적인 자원 소모량을 보이고, 보호기 역할군은 전력 소비가 적고 부품 소비가 많으며, 지원기 역할군은 전력 소모가 적다. === 바이오로이드 === ||<|4> {{{#FFFFFF '''타입'''}}} ||<|4> {{{#FFFFFF '''등급'''}}} ||<-11> {{{#FFFFFF '''역할군'''}}} || ||<#DCDCDC><-3> 공격기 ||<#DCDCDC><-5> 보호기 ||<#DCDCDC><-3> 지원기 || ||<-11> {{{#FFFFFF '''소모 자원'''}}} || ||<#FFD864> 부품 ||<#E2F0D9> 영양 ||<#DEEBF7> 전력 ||<|14><#DCDCDC> ||<#FFD864> 부품 ||<#E2F0D9> 영양 ||<#DEEBF7> 전력 ||<|14><#DCDCDC> ||<#FFD864> 부품 ||<#E2F0D9> 영양 ||<#DEEBF7> 전력 || ||<#000000><|4> [[파일:타입_경장.png]][br]{{{#ffffff 경장형}}} || B || 7 || 12 || 7 || 12 || 12 || 2 || 7 || 12 || 2 || || A || 10 || 16 || 10 || 16 || 16 || 3 || 10 || 16 || 3 || || S || 13 || 22 || 13 || 22 || 22 || 4 || 13 || 22 || 4 || || SS || 16 || 27 || 16 || 27 || 27 || 5 || 16 || 27 || 5 || ||<-13><#DCDCDC> || ||<#000000><|4> [[파일:타입_기동.png]][br]{{{#ffffff 기동형}}} || B || 5 || 12 || 15 || 10 || 12 || 10 || 5 || 12 || 10 || || A || 7 || 16 || 20 || 13 || 16 || 13 || 7 || 16 || 13 || || S || 9 || 22 || 26 || 18 || 22 || 18 || 9 || 22 || 18 || || SS || 11 || 27 || 32 || 21 || 27 || 21 || 11 || 27 || 21 || ||<-13><#DCDCDC> || ||<#000000><|3> [[파일:타입_중장.png]][br]{{{#ffffff 중장형}}} || A || 16 || 16 || 16 || 23 || 16 || 10 || 16 || 16 || 10 || || S || 22 || 22 || 22 || 31 || 22 || 13 || 22 || 22 || 13 || || SS || 27 || 27 || 27 || 38 || 27 || 16 || 27 || 27 || 16 || === AGS === ||<|4> {{{#FFFFFF '''타입'''}}} ||<|4> {{{#FFFFFF '''등급'''}}} ||<-8> {{{#FFFFFF '''역할군'''}}} || ||<#DCDCDC><-2> 공격기 ||<#DCDCDC><-4> 보호기 ||<#DCDCDC><-2> 지원기 || ||<-8> {{{#FFFFFF '''소모 자원'''}}} || ||<#FFD864> 부품 ||<#DEEBF7> 전력 ||<|14><#DCDCDC> ||<#FFD864> 부품 ||<#DEEBF7> 전력 ||<|14><#DCDCDC> ||<#FFD864> 부품 ||<#DEEBF7> 전력 || ||<#000000><|4> [[파일:타입_경장.png]][br]{{{#ffffff 경장형}}} || B || 15 || 12 || 20 || 7 || 15 || 7 || || A || || || || || 20 || 10 || || S || 28 || 22 || || || || || || SS || || || || || 32 || 16 || ||<-10><#DCDCDC> || ||<#000000><|4> [[파일:타입_기동.png]][br]{{{#ffffff 기동형}}} || B || || || || || 12 || 15 || || A || 16 || 26 || || || || || || S || || || || || || || || SS || 27 || 43 || 38 || 32 || || || ||<-10><#DCDCDC> || ||<#000000><|4> [[파일:타입_중장.png]][br]{{{#ffffff 중장형}}} || A || 26 || 23 || 33 || 16 || 26 || 16 || || S || 35 || 31 || || || || || || SS || 43 || 38 || || || 43 || 27 || == 레벨과 경험치 == 전투원의 최대 레벨은 120이다.[* 기본적으로 100레벨까지 올릴 수 있으며 추가레벨 확장으로 120까지 올릴 수 있다.] 각 웨이브를 클리어할 때마다 현재 스쿼드의 모든 전투원이 각각 경험치를 얻는다. 전투 불능이 되었거나, 다른 스쿼드에 있었다면 경험치를 얻지 못한다. 경험치 버프가 적용되는 방식은 다음과 같다. 이는 전투 한정이며, 경험치 책을 선물해서 경험치를 올리는 경우에는 버프를 받지 못한다. 전투원이 승급해서 등급이 올라도 태생 등급의 경험치 테이블을 따라간다. 90~100레벨 필요 경험치량은 1~90레벨 필요 경험치량의 거의 정확히 '''2배'''다. >경험치 획득량 = (웨이브 기본 경험치) × [ (리더 보너스) × (링크 보너스) × (장비 보너스[* 전투 기록 회로, 고속 학습 시스템] + 경험치 버프[* 공진의 알렉산드라, 토미 워커]) × (경험치 업 이벤트) + (시설) ] ||<-2> {{{#fff '''등급별 필요 경험치량'''}}} || || {{{#fff 등급}}} || {{{#fff 필요 경험치 }}} || || B || (기준) || || A || B등급의 약 1.25배 || || S || B등급의 약 1.5배 || || SS || B등급의 약 1.875배 || [[https://arca.live/b/lastorigin/1455369|전투원 경험치 테이블]] == 스킬 == 모든 전투원은 2개의 액티브 스킬을 쓸 수 있으며, 등급에 따라 최대 3개의 패시브 스킬이 붙는다. 스킬 레벨은 10까지 올릴 수 있다. 일반적으로 레벨업을 할 때마다 모든 수치가 1레벨마다 5%씩 상승해서 10레벨에는 1레벨의 1.45배로 효과가 좋아진다. 일부 스킬은 범위가 늘어나기도 한다. 당연히 10레벨 운용이 기본이다. 패시브 스킬은 AP 소모 없이 적용되는 스킬이지만, 모든 패시브 스킬이 무조건 좋은 것은 아니다. 특정한 전투원과 함께 있을 때만 발동되거나 대기나 이동처럼 일반적으로 전투에 불리한 행동을 해야 되는 패시브도 있으며, [[멸망의 메이]]처럼 강력한 디메리트가 있는 경우도 있다. 스킬 레벨은 스킬 경험치를 쌓아서 올릴 수 있다. 액티브든 패시브든 등급이 낮든 높든 관계 없이 동일한 스킬 경험치를 요구한다. '''스킬 경험치는 리더 보너스를 제외한 모든 경험치 버프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심지어 경험치 업 이벤트도 못 받는다. 액티브 스킬을 자주 사용하면 해당 스킬 경험치가 약간 증가하지만 어차피 패시브 스킬까지 모두 10레벨을 찍어야 하므로 의미는 없다. 대부분은 전투원 100레벨을 찍는 동안에 스킬 10레벨이 되지만, 승급 스킬의 경우 승급에 필요한 레벨 및 호감도를 맞추고 승급한 뒤에 처음부터 올려야 하기 때문에 전투원 100레벨이 먼저 찍힐 수 있다. 경험치 버프가 많을수록 이런 현상이 심하다. >스킬 경험치 획득량 = (웨이브 기본 경험치) × (등급 별 배율)[* B, A, S, SS등급 각각 0.12, 0.11, 0.105, 0.1. 승급 스킬은 해당 승급의 등급 별 배율을 따른다.] × (리더 보너스) × (1 + 0.04 × 해당 스킬 사용 횟수) ||<-3> 스킬 경험치 || || '''Lv''' || 필요 경험치 || 누적량 || ||<#DCDCDC> 1 → 2 ||<:> 100 || 100 || ||<#DCDCDC> 2 → 3 || 600 || 700 || ||<#DCDCDC> 3 → 4 || 1,800 || 2,500 || ||<#DCDCDC> 4 → 5 || 6,000 || 8,500 || ||<#DCDCDC> 5 → 6 || 15,000 || 23,500 || ||<#DCDCDC> 6 → 7 || 30,000 || 53,500 || ||<#DCDCDC> 7 → 8 || 50,000 || 103,500 || ||<#DCDCDC> 8 → 9 || 75,000 || 178,500 || ||<#DCDCDC> 9 → 10 || 105,000 || '''283,500''' || == 스탯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라스트오리진/전투)] 전투원의 스탯은 HP, 공격력, 방어력, 이동력, 치명타, 적중률, 회피율의 7가지가 있으며, 레벨 업만으로 자동으로 성장하는 능력치는 HP, 공격력, 방어력 셋 뿐이다. 나머지는 처음부터 고정인 스텟이며 행동력을 제외한 모든 스텟은 강화를 통해서 추가로 올릴 수 있다. 행동력을 포함한 모든 스텟은 장비를 착용해서 추가적으로 올릴 수 있다. == 장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라스트오리진/장비)] 전투원의 장비는 각각 레벨 20, 40, 60, 80에 슬롯이 하나씩 개방되며 칩 2개, OS 1개, 보조장비 1개를 할당받는다. 일반적인 전투원은 칩, 칩, OS, 보조장비 순으로 슬롯이 개방되나 전투원에 따라 순서가 다른 경우가 있다. 또한 장비는 착용 전투원의 분류에 따라 제한이 있는 경우도 있으니 미리 알아두는 것이 좋다.[* 예로 대응형 전투 시스템은 '''지원기'''만, 보조 부스터 유닛은 '''기동형'''만 장착할 수 있다.] == [[라스트오리진/제작|전투원 제작]]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라스트오리진/제작)] == [[라스트오리진/공방|전투원 강화]]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라스트오리진/공방)] == 코어링크 == 많은 가챠 게임에서 볼 수 있는 한계돌파 시스템이다. 같은 전투원을 추가 장착하여 능력치를 상승시키는 시스템이라 할 수 있다. 설정상으로는 일종의 [[멀티코어]] 프로세싱. 10, 30, 50, 70, 90 레벨에 링크할 수 있는 수가 각각 하나씩 늘어나 총 5개까지 장착할 수 있다. 또 적합률이라는 개념이 있는데 같은 캐릭터는 적합률이 100%이며, 다른 캐릭터는 분류의 일치성과 랭크가 높을수록 높다. 정확한 수식은 기본 10%, 동일 타입시 10%, 동일 역할군 10%, B 이후 추가 랭크당 0.5배 배율 추가가 있다. 예시로 같은 타입, 역할군이면 30%인데 A랭크라면 1.5배가 되어서 총 45%가 된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와 같다. ||<-5> {{{#fff '''전투원 코어링크 적합률'''}}} || || {{{#fff 등급}}} || {{{#fff 일치 없음 }}} || {{{#fff 같은 타입 or 같은 역할군 }}} || {{{#fff 같은 타입 and 같은 역할군 }}} || {{{#fff 같은 캐릭터 }}} || || B || 10% || 20% || 30% ||<|4> 100% || || A || 15% || 30% || 45% || || S || 20% || 40% || 60% || || SS || 25% || 50% || 75% || 초반에 저등급을 쓰는 것을 권장하는 주된 이유가 바로 이것 때문이다. [[리세마라]]를 통해 SS급 캐릭터를 하나 얻어봤자 100% 링크를 올리기 어려워서 제 성능을 못 내는 상황이 온다. 고등급은 자원소모가 큰 것도 문제이다. 따라서 쉽게 코어 링크가 가능한 B, A급 위주로 구성하여 일단 시작하고 여건이 되면 고등급으로 올려가는 게 좋은 것이다. [* 물론 하위등급, 특히 B급은 성능이 영 구리므로 빠르게 배제하고. 초반에 파밍이 가능한 S급 전투원으로 갈아타는 것을 추천한다.] 성능 상승에 있어 링크는 매우 중요한데, 코어링크 하나를 할 때마다 '''"적합률 100% 기준"으로''' 공격력과 HP가 각각 '''20%'''씩 상승한다. 풀링크 기준으로 하면 공격력과 HP가 2배가 되는 것. 그 외에 획득하는 경험치가 적합률 100% 당 4%씩 상승하여 풀링크 기준 20% 상승하며, 그 외에 전투원에 따라 행동력, 치명률, 회피, 스킬 위력 등 전투원의 운용에 핵심이 되는 한 가지의 능력치가 상승한다. 거기에 추가해서 500% 풀링크를 하면 보너스로 5가지 보조 버프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소모 자원 감소, 스킬 위력 증가, 행동력 증가의 3종이 공통으로 있으며 여기에 더해 전투원에 따라 (치명타/회피/HP 등의) 능력치 증가, 사거리 증가, 버프/디버프 레벨 증가 중 2가지 선택지가 더해진다. 처음 선택한 뒤에는 링크 해제기를 1개 소모하여 변경할 수 있으므로 상황과 용도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코어 링크로 얻을 수 있는 성능 상승폭이 상당히 크기 때문에 공격기에게 특히 중요하다. 보호기는 노링(0링크)으로도 방어나 회피컷을 맞추면 버틸 수 있는 경우가 있고 지원기는 링크 없이도 버프에서만큼은 기본적인 성능은 내기에, 링크를 올리면 자원소모도 올라가는 것을 이유로 노링으로 쓰는 경우가 간혹 있다. 코어 링크 하나를 할 때마다[* 적합률과 상관없이 자원 증가량은 고정이다.] 출격시 소모자원이 '''약 10%''' 내외로 늘어나서, 풀링크를 하면 '''약 1.7 ~ 1.8배'''가 들어간다. 다만 노링으로 굴리는 것은 어디까지나 여력이 없거나, 쫄작으로 레벨업 중이거나, 극한의 자원절약을 추구할 때이고, [[영원한 전장]] 같은 하이엔드 컨텐츠로 가면 역할 불문하고 500% 풀링의 이점이 크게 작용하기 때문에 가능하다면 이에 맞추는 것이 좋다. 그래서 전투원 파밍시 6기씩 얻는 것이 기본이다. 기존에는 링크된 전투원도 창고를 그대로 차지해서 공간부족이 심했으나, 21년 10월 25일 패치로 링크 전투원은 더이상 자리를 차지 않는다. 모든 링크는 영구링크로 통합되었으며 대체코어와 특수대체코어는 소모품으로 이동되었다. 2019년 6월 27일에 등장한 대체 코어는 어떤 전투원에게든 100%의 적합률로 링크할 수 있다. 원래 등급[* 승급이 있는 전투원의 경우 승급 전의 등급을 의미한다.]이 S 이하인 전투원에게 사용하는 청색의 대체 코어와 원래 등급이 SS인 전투원에게 사용하는 황색의 특수 대체 코어로 구분된다. 대체 코어는 매달 출석으로 2개 + 일반 교환소 교환으로 3개로 총 5개까지 교환할 수 있는데다 이벤트로도 매회 5개 정도 풀려서 사용에 별 부담이 없으나,[* 나중가면 부담이 없는 수준을 넘어서 창고공간만 차지하며 남아돌아 쓸데가 없으니 (확정제조 가능한)메카닉 전투원 링크용으로 쓰는 경우도 있다. 5개 초과해 쟁여놓지 말고 필요하면 팍팍쓰자.] 특수 대체 코어는 매달 출석으로 1개 + 일반 교환소 교환으로 1개 +오르카패스 보상 1개로 총 3개밖에 교환할 수밖에 없는데다, 이벤트에서도 회당 1개 정도로 잘 풀리지 않기 때문에 신중히 사용해야 한다.[* 유산깡으로 얻은 중복 스킨을 처분하면 프리미엄 쿠폰을 얻을 수 있는데, 이 쿠폰으로도 교환할 수 있다. 매월 대체 코어는 15개, 특수 대체 코어는 3개까지 교환할 수 있다. 기지시설 중 대체코어와 특수대체코어가 드랍풀에 있는 시설이 있지만 드랍율이 낮아 없는거나 다름없는 수준이다.] 유료재화를 통해 구입할 수 있지만 비싸다! 따라서 특수 대체 코어는 얻는대로 쓰기보다는 쟁여두고 있다가 당장 공략이나 파밍에 써야하는 전투원에게 우선적으로 써야 한다. 이외에도 메인스토리 6-8, 7-8, 8-8 클리어 보상인 [[라비아타 프로토타입]]과 [[무적의 용]], [[레모네이드 알파]]는 제조도 드랍도 없으며 앞으로도 나올 일이 없으므로, 특수 대체 코어 5개를 사용해서 링크해야 한다. 링크용 전투원에 스킨을 입히고 링크하면 스킨이 적용된 상태로 링크되며, 19년 6월 27일 업데이트로 링크 하단의 버튼을 누르면 스킨의 모습으로 바꿀 수 있게 되었다. SS급 미만의 전투원을 승급하더라도 동일 전투원이나 대체 코어로 링크가 가능하다. == 호감도와 서약 == 바이오로이드에게만 있는 시스템. 호감도는 0부터 시작하며 200까지 올릴 수 있다. 단, 기본 호감도 상한은 100이며, 호감도를 200까지 올리려면 상한을 확장한 후에 올려야 한다. '''약속의 꽃다발'''을 선물하면 상한이 10씩 확장된다. 호감도가 40(호감), 70(친밀), 100(애정)이 되면 로비 대사가 달라진다. 오픈 초기에는 이 기능밖에 없었으나 승급이 추가된 이후 중요도가 올라갔다. 바이오로이드 승급 시 일정 수치의 호감도를 요구하기 때문이다. B→A 승급은 60, A→S 승급은 80, S→SS 승급은 100 이상이어야 한다. 또한 2.0 업데이트로 호감도 상한을 200까지 확장할 수 있게 되었고, 호감도 200 달성 시 '''버프 / 디버프 +1레벨''' 효과를 얻게 되어 전투에도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호감도를 올리는 방법은 다음과 같으며 바이오로이드의 성격에 따라 증감수치가 다르다. [[https://arca.live/b/lastorigin/1455386|호감도 증가량 정리]] 전투 증가량과 선물 증가량이 둘 다 평균 미만인 캐릭터는 없으므로 어느 한 쪽이 낮아도 반드시 차선책이 있다. * '''전투 승리''' 스테이지 난이도와 무관하게 각 웨이브를 클리어할 때마다 일정량의 호감도가 오른다. 표준 증가량은 웨이브당 0.05이며 최대 [[시저스 리제|0.12]]에서 최저 [[오베로니아 레아|0.01]]까지 분포한다.[* 이 둘을 제외하면 0.1~0.02 사이다.] 증가량이 평균 미만만 아니면 보통[* 경험치 이벤트 기간에 키우는 B랭크거나 5-8Ex 쫄작으로 레벨업 시키는 등의 경우는 제외.] 100레벨 되기 전에 호감도 100을 찍는다. 호감도 200을 맞추고 싶다면 풀링 스킬위력 [[LRL]]로 1-6B(4웨이브)를 돌거나, 풀링 [[에이다 Type-G|에이다]]로 4-6(6웨이브)을 도는 방법이 있다. * '''{{{#red 전투 불능}}}''' 전투 불능이 되면 호감도가 감소한다. 감소량 표준치는 2.0이며 아예 감소하지 않는 캐릭터부터 최대 6이 감소하는 경우까지 있다. 전투 속행 효과로 부활할 경우 [[https://cafe.naver.com/lastorigin/587784|호감도가 감소하지 않는다.]] * '''선물''' 스킨(+10), 수제 케이크(+5), 초콜릿(+2.5), 합성 롤리팝(+1)을 선물해서 호감도를 올릴 수 있다. 증가량 최대치는 표준치의 세 배이며 최저는 절반이다. 상술했듯 전투로 증가하는 호감도가 평균미만인 전투원이 선물의 효율이 높다. 따라서 만렙을 찍었는데도 호감도가 낮은 전투원에게 선물을 주는것이 효율적이다. * ~~'''부관 설정'''~~ 매일 오전 9시 이후 첫 로그인 시 부관 캐릭터의 호감도가 성격에 상관없이 1 올랐으나 현재는 부관으로 설정해도 오르지 않고 있다. * '''하트 터치''' 매일 오전 9시 이후 기지 탭에서 하트를 터치하면 호감도가 성격에 상관없이 0.5 오른다. ---- 호감도가 100 이상이면 서약 반지를 주고 서약을 할 수 있다. 서약 반지는 상점 - 티켓에서 60 참치캔으로 구매할 수 있다. * '''호감도 200 최대로 유지''' 상술한 버프 / 디버프 +1레벨 효과를 즉시 받으며, 전투 불능이 되어도 호감도가 감소하지 않게 된다. * '''전투원 닉네임 설정 가능''' 1회에 한해 전투원의 이름을 지어줄 수 있다. 다시 변경하려면 닉네임 변경권이 필요하다. * '''서약 전용 로비 / 전투 대사 추가''' 서약 전용 로비 대사가 추가되며, 일부 캐릭터는 __모든 대사가 변경되는__ 서약 전용 대사 세트도 추가된다. * '''로비 / 전투 대사 설정 가능''' 로비 대사를 보통/호감/친밀/애정/서약 중에서 선택할 수 있고, 대사 세트도 기본 대사 세트/스킨 대사 세트/서약 전용 대사 세트 중에서 선택할 수 있게 된다. == 부대별 전투원 == [include(틀:라스트오리진 부대목록)] [include(틀:080기관)] [include(틀:가디언 시리즈)] [include(틀:골든 워커즈)] [include(틀:둠 브링어)] [include(틀:머메이드(라스트오리진))] [include(틀:몽구스 팀)] [include(틀:배틀 메이드 프로젝트)] [include(틀:버뮤다 팀)] [include(틀:비스마르크 코퍼레이션)] [include(틀:스마트엔조이)] [include(틀:스카이 나이츠)] [include(틀:스트라이커즈)] [include(틀:스틸라인)] [include(틀:시스터즈 오브 발할라)] [include(틀:시티 가드)] [include(틀:아머드 메이든)] [include(틀:애니웨어 시리즈)] [include(틀:앵거 오브 호드)] [include(틀:어뮤즈 어텐던트)] [include(틀:오비탈 와쳐)] [include(틀:와쳐 오브 네이쳐)] [include(틀:컴패니언 시리즈)] [include(틀:코헤이 교단)] [include(틀:퍼블릭 서번트)] [include(틀:페어리 시리즈)] [include(틀:포세이돈 인더스트리)] [include(틀:호라이즌)] [include(틀:AA캐노니어)] [include(틀:AGS 로보테크)] [include(틀:D-엔터테인먼트)] == 일러스트레이터에 따른 분류[Anchor(일러스트레이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라스트오리진/스태프)] == 업데이트 내역 == 출시 초기엔 2주 2캐릭터씩 추가하다가 로열 아스널부터 캐릭터 수를 하나 줄이는 대신 2주마다 중파를 하나씩 업데이트하는 방향으로 바꿨다. 다만 무적의 용과 라인리터를 추가할때는 2개씩 추가했고[* 각각 클리어 보상, 확정 제조가 가능하다.] 그 후 안드바리부터 비정기적으로 2주 2캐릭터씩 업데이트 하다가[* 물론 기본적으로 2주 1캐릭터지만 2캐릭터씩 추가할때는 제조말고 다른 획득처가 있거나(클리어 보상, 이벤트 드랍 등) 확정 제조가 가능한 ags가 있는 경우가 많다] 우르부터 2주 1캐릭터로 계속 고정되더니 바르그 부터는 1달 1캐릭터로 바뀌었다. === 최초의 전투원 === ||<-5> 2019년 1월 24일 || || [[37식 다이카]] || [[공진의 알렉산드라]] || [[네오딤]] || [[다프네(라스트오리진)|다프네]] || [[닥터(라스트오리진)|닥터]] || || [[더치 걸]] || [[드론 08]] || [[라비아타 프로토타입]] || [[레이시(라스트오리진)|레이시]] || [[마이티R]] || || [[멸망의 메이]] || [[미스 세이프티]] || [[바닐라 A1]] || [[불굴의 마리]] || [[블랙 리리스]] || || [[성벽의 하치코]] || [[스카디(라스트오리진)|스카디]] || [[신속의 칸]] || [[시저스 리제]] || [[아쿠아(라스트오리진)|아쿠아]] || || [[에이다 Type-G]] || [[에이미 레이저]] || [[익스프레스 76]] || [[철혈의 레오나]] || [[켈베로스(라스트오리진)|켈베로스]] || || [[코코 인 화이트셸]] || [[콘스탄챠 S2]] || [[퀵 카멜]] || [[토모(라스트오리진)|토모]] || [[토미 워커]] || || [[티에치엔]] || [[포츈(라스트오리진)|포츈]] || [[프레스터 요안나]] || [[프로스트 서펀트]] || [[화롯가의 포티아]] || || [[A-1 블러디 팬서]] || [[A-54 칼리스타]] || [[A-6 이오]] || [[AA-7 임펫]] || [[AG-1 네레이드]] || || [[AL 팬텀]] || [[AS-12 스틸 드라코]] || [[AT-100 비스트헌터]] || [[AT-4 파니]] || [[B-11 나이트 앤젤]] || || [[CM67 스팅어]] || [[CS 페로]] || [[CT2199W 폴른]] || [[CT66 램파트]] || [[GS-10 샌드걸]] || || [[HQ1 알바트로스]] || [[K180 셀주크]] || [[LRL]] || [[M-5 이프리트]] || [[P-18 실피드]] || || [[P-2000 지니야]] || [[P-24 핀토]] || [[P-49 슬레이프니르]] || [[P/A-00 그리폰]] || [[P/A-8 블랙 하운드]] || || [[S5 기간테스]] || [[SD3M 펍 헤드]] || [[T-10 님프]] || [[T-14 미호]] || [[T-2 브라우니]] || || [[T-3 레프리콘]] || [[T-50 PX 실키]] || [[T-60 불가사리]] || [[T-75 워울프]] || [[T-8W 발키리]] || || [[T-9 그렘린]] || [[X-05 에밀리]] || === 2019년 === ||<|2> 2019년 3월 7일 || [[마법소녀 매지컬 모모]] || |||| [[S12 쉐이드]] || ||<|2> 2019년 3월 20일 || [[질주하는 아탈란테]] || |||| [[GS-130 피닉스]] || || 2019년 3월 27일 || [[P-3M 운디네]] || || 2019년 4월 4일 || [[캐럴라이나]] || || 2019년 4월 11일 || [[랜서 미나]] || || 2019년 4월 17일 || [[오드리 드림위버]] || || 2019년 4월 25일 || [[T-20S 노움]] || || 2019년 5월 2일 || [[소완]] || ||<|3> 2019년 5월 9일 || [[S25 스파르탄 캡틴]] || |||| [[S25A 스파르탄 어썰트]] || |||| [[S25B 스파르탄 부머]] || ||<|2> 2019년 5월 23일 || [[커넥터 유미]] || |||| [[엘븐 포레스트메이커]] || ||<|2> 2019년 6월 5일 || [[샬럿(라스트오리진)|샬럿]] || |||| [[A-14B 스프리건]] || ||<|2> 2019년 6월 20일 || [[AG-2C 세이렌]] || |||| [[아자젤(라스트오리진)|아자젤]] || ||<|2> 2019년 7월 4일 || [[트리아이나]] || |||| [[RF87 로크]] || ||<|2> 2019년 7월 18일 || [[오베로니아 레아]] || |||| [[이그니스(라스트오리진)|이그니스]] || ||<|2> 2019년 8월 8일 || [[세라피아스 앨리스]] || |||| [[엠프리스(라스트오리진)|엠프리스]] || ||<|2> 2019년 8월 23일 || [[CT-103 포트리스]] || |||| [[P-29 린트블룸]] || ||<|2> 2019년 9월 6일 || [[마법소녀 매지컬 백토]] || |||| [[뽀끄루 대마왕]] || ||<|2> 2019년 9월 20일 || [[T-12 칼리아흐 베라]] || |||| [[다크엘븐 포레스트레인저]] || ||<|2> 2019년 10월 4일 || [[T-13 알비스]] || |||| [[AO-2 레이븐]] || ||<|2> 2019년 10월 18일 || [[아르망 추기경]] || |||| [[펜리르(라스트오리진)|펜리르]] || ||<|2> 2019년 11월 1일 || [[키르케(라스트오리진)|키르케]] || |||| [[베로니카(라스트오리진)|베로니카]] || ||<|2> 2019년 11월 22일 || [[X-00 티아멧]] || |||| [[에키드나(라스트오리진)|에키드나]] || ||<|2> 2019년 12월 6일 || [[C-77 레드후드]] || |||| [[E-16 탈론페더]] || ||<|2> 2019년 12월 20일 || [[금란 S7]] || |||| [[보속의 마리아]] || === 2020년 === ||<|2> 2020년 1월 3일 || [[P-22 하르페이아]] || |||| [[스파토이아]] || ||<|2> 2020년 1월 17일 || [[아이언 애니]] || |||| [[바바리아나]] || || 2020년 1월 31일 || [[로열 아스널]][* 이전까지는 2주에 2캐릭 출시 정책을 유지했으나, 로열 아스널을 기점으로 2주 1캐릭 정책으로 바뀌었다.] || || 2020년 2월 14일 || [[아우로라(라스트오리진)|아우로라]] || || 2020년 2월 28일 || [[C-77 홍련]] || || 2020년 3월 13일 || [[세띠]] || || 2020년 3월 27일 || [[아크로바틱 써니]] || || 2020년 4월 10일 || [[타이런트(라스트오리진)|타이런트]] || || 2020년 4월 24일 || [[A-87 밴시]] || ||<|2> 2020년 5월 8일 || [[MH-4 테티스]] || |||| [[무적의 용]] || || 2020년 5월 22일 || [[럼버제인]] || || 2020년 6월 5일 || [[블랙 웜 S9]] || || 2020년 6월 22일 || [[쿠노이치 제로]] || ||<|2> 2020년 7월 6일 || [[시라유리(라스트오리진)|시라유리]][* 일본서버에 사전예약 보상으로 최초 공개되어 선행출시된 바 있다.] || |||| [[AT72 라인리터]] || || 2020년 7월 20일 || [[스노우 페더]] || || 2020년 8월 3일 || [[생명의 세레스티아]] || || 2020년 8월 18일 || [[Mr.알프레드]] || ||<|2> 2020년 8월 31일 || [[C-33 안드바리]][* 이 이후부터 비정기적으로 2주 2캐릭을 내기 시작했다.] || |||| [[드리아드(라스트오리진)|드리아드]] || || 2020년 9월 14일 || [[징벌의 사디어스]] || ||<|2> 2020년 9월 28일 || [[쿠노이치 카엔]] || |||| [[와쳐 MQ-20]] || ||<|2> 2020년 10월 12일 || [[EB-48G 흐레스벨그]] || |||| [[AL 레이스]] || ||<|2> 2020년 10월 26일 || [[자비로운 리앤]] || |||| [[포이(라스트오리진)|포이]] || ||<|2> 2020년 11월 9일 || [[이터니티(라스트오리진)|이터니티]] || |||| [[골타리온 XIII세]] || ||<|2> 2020년 11월 23일 || [[해체자 아자즈]] || |||| [[레모네이드 알파]] || || 2020년 12월 7일 || [[천공의 엘라]] || ||<|2> 2020년 12월 21일 || [[레나 더 챔피언]] || |||| [[메리(라스트오리진)|메리]] || === 2021년 === ||<|2> 2021년 1월 4일 || [[마키나(라스트오리진)|마키나]] || |||| [[A-15 샐러맨더]] || || 2021년 1월 18일 || [[드라큐리나]] || || 2021년 2월 1일 || [[사라카엘(라스트오리진)|사라카엘]] || || 2021년 2월 8일 || [[천향의 히루메]] || || 2021년 2월 22일 || [[T-40 하이에나]] || || 2021년 3월 8일 || [[티타니아 프로스트]] || || 2021년 3월 22일 || [[스트롱홀드(라스트오리진)|스트롱홀드]] || || 2021년 4월 5일 || [[타치(라스트오리진)|타치]] || || 2021년 4월 19일 || [[뮤즈(라스트오리진)|뮤즈]] || || 2021년 5월 3일 || [[보련]] || || 2021년 5월 17일 || [[니키 트레이시]] || ||<|2> 2021년 5월 31일 || [[퀸 오브 메인]] || || [[글라시아스]] || || 2021년 6월 14일 || [[므네모시네(라스트오리진)|므네모시네]] || ||<|2> 2021년 6월 28일 || [[AC-6 후사르]] || || [[오렐리아(라스트오리진)|오렐리아]] || || 2021년 7월 12일 || [[엔젤(라스트오리진)|엔젤]] || || 2021년 7월 26일 || [[라미엘(라스트오리진)|라미엘]] || || 2021년 8월 9일 || [[N2E-888 아라크네]] || || 2021년 8월 23일 || [[B-7 스트라토 엔젤]] || || 2021년 9월 6일 || [[장화(라스트오리진)|장화]] || || 2021년 9월 27일 || [[엘리 퀵핸드]] || || 2021년 10월 12일 || [[사멸의 세크메트]] || ||<|3> 2021년 10월 25일 || [[오렌지에이드]] || || [[엠피트리테]] || || [[살라시아(라스트오리진)|살라시아]] || ||<|2> 2021년 11월 8일 || [[트리톤(라스트오리진)|트리톤]] || || [[프리가(라스트오리진)|프리가]] || || 2021년 11월 22일 || [[X-02 우르]] || || 2021년 12월 6일 || [[천아]] || || 2021년 12월 20일 || [[페레그리누스]] || === 2022년 === || 2022년 1월 3일 || [[사이클롭스 프린세스]] || || 2022년 1월 24일 || [[바니 슬레이어 니바]] || || 2022년 2월 7일 || [[C-79G 하베트롯]] || || 2022년 2월 21일 || [[프랭스터 머큐리]] || || 2022년 3월 7일 || [[C-11 스카라비아]] || || 2022년 3월 21일 || [[멜리테]] || || 2022년 4월 4일 || [[유린의 소니아]] || || 2022년 4월 18일 || [[아이아스(라스트오리진)|아이아스]] || || 2022년 5월 2일 || [[에라토(라스트오리진)|에라토]] || || 2022년 5월 16일 || [[브륀힐드(라스트오리진)|브륀힐드]] || || 2022년 5월 30일 || [[T-4 케시크]] || || 2022년 6월 27일 || [[바르그]][* 이때부터 신캐릭터 업데이트 주기가 격주에 한 캐릭터→한달에 한 캐릭터로 변경되었다.] || || 2022년 7월 25일 || [[갈라테아(라스트오리진)|갈라테아]] || || 2022년 8월 29일 || [[클로버 에이스]] || || 2022년 9월 26일 || [[쿠노이치 엔라이]] || || 2022년 10월 31일 || [[헬라(라스트오리진)|헬라]] || || 2022년 11월 28일 || [[테일러 클로스컷]][* 최초로 소개 직후 점검에 추가되지 않은 전투원이다] || || 2022년 12월 26일 || [[블라인드 프린세스]] || === 2023년 === || 2023년 1월 25일 || [[멀린(라스트오리진)|멀린]] || || 2023년 2월 21일 || [[올리비아 스타수어]] || || 2023년 3월 28일 || [[윤회의 우로보로스]] || || 2023년 4월 25일 || [[천우의 하토르]] || || 2023년 5월 30일 || [[데카르트 보이저 삿갓]] || || 2023년 6월 27일 || [[나스호른(라스트오리진)|나스호른]] || || 2023년 7월 25일 || [[알키오네(라스트오리진)|알키오네]] || || 2023년 8월 22일 || [[S7 데스스토커]] || || 2023년 9월 26일 || [[망나니 무녀 코요리]] || || 2023년 10월 24일 || [[카엔(라스트오리진)|카엔]] || || 2023년 11월 28일 || [[레모네이드 베타]] || || 2023년 12월 -일 || - || == 전투원 통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라스트오리진/전투원/통계)] == 플레이어블 캐릭터가 아닌 전투원들 == === 인게임에 등장한 경우 === * '''삼안 산업''' * 메로페 : 플레이아데스 7자매 중 막내이자 지휘개체, 가디언 시리즈 치고는 약한편이지만 일반 바이오로이드보다는 센편이다. 델타의 함정에 걸려 죽을 위기에 처하지만 감마에게 구조된 뒤 감마의 부관이 된다. * '''블랙리버 유한회사''' * [[신속의 칸]] 이전의 [[앵거 오브 호드]]의 상관: 금발에 금안 호드 문장힌 베레모쓴 외형으로 [[분노의 늑대 송곳니]]이벤트 에서 칸의 회상에서 잡담하는 브라우니와 케시크 시절의 칸을 혼내며 등장했고 이후 복부에 상처를 입고 케시크에게 지휘를 부탁하며 사망, 사망하기전에 윤회하며 평범한 인간의 여자아이가 되고싶었다는 유언을 남긴다. 이전까지의 이벤트 엑스트라 캐릭터들은 검은 실루엣으로 등장한데 비해 눈이 보이지않은 모브 캐릭터의 형태로 그려졌으며 미형이라 나름 인기가 있었다. 팬텀에서는 주로 '상관짱'이라 부르며 우로부치도 그렇게 부른다. * '''팩스 콘소시움''' * 비서 [[커넥터 유미|유미]] : 레모네이드 오메가의 부관. * [[테일러 리스트컷]] : 테일러 클로스컷이자 레모네이드 델타의 부관. * [[잉글리쉬 셰퍼드]] : 시티가드 소속의 바이오로이드이다. 2076에 미국의 반회사 및 바이오로이드 테러리스트 집단인 엉클노웬의 수장인 리를 사살한 바이오로이드이기도 하다. [[https://cafe.naver.com/ArticleList.nhn?search.clubid=29589050&search.menuid=10&search.boardtype=L|출처]] * [[비서 레모네이드]] : 펙스 수장들의 비서 바이오로이드, 현재 제타, 엡실론은 아직 이미지가 없다 * 용살자 : 직접 등장하지는 않았지만 꾸준히 언급되며 비스마르크, 덴세츠의 합작인 드래곤 슬레이어의 주인공. 1기만 만들어졌는데다가 유전 정보도 소실되어서 남성 바이오로이드처럼 등장할 일이 없다. === 설정으로만 있는 경우 === * '''삼안 산업''' * 에바 : 에바 프로토타입의 양산형 바이오로이드.[[https://cafe.naver.com/lastorigin/4495|#]] * 케인 : 2053년에 삼안 산업이 애덤 존스와 에바 존스의 유전자를 조합해 만들어서 발표한 남성형 바이오로이드이다. 에바의 남성형. [[https://cafe.naver.com/ArticleList.nhn?search.clubid=29589050&search.menuid=10&search.boardtype=L|출처]] 블랙리버는 케인을 기반으로 [[T-1 고블린]]을 제작했다. * '''블랙리버 유한회사''' * 티타니아 프로젝트의 결과물: [[불굴의 마리]]를 보좌할 강력한 전투 개체 바이오로이드를 개발하는 <티타니아> 프로젝트와, 좀 더 냉정한 새로운 형태의 지휘관을 개발하는 <암사자> 프로젝트가 동시에 진행되었다. [[철혈의 레오나]]가 <암사자> 프로젝트의 결과물. 이름 때문에 [[티타니아 프로스트]]가 이 프로젝트와 관련이 있다고 보이지만, [[https://cafe.naver.com/lastorigin/776072|GM 아이샤의 답변]]에 따르면 관련 없다고 한다. * T-3W 프로스트 레프리콘 : [[T-3 레프리콘]]을 극지형으로 개조한 모델이다. 그러나 성능이 기대 미만이었던 실패작이었고, 그 대신에 만든 극지용 분대 지원 유닛이 [[T-10 님프]]이다. 멸망 전의 어느 기록 12화에서 등장하였지만, GM 아이샤의 답변에 따르면 게임에서 출연할 확률은 낮다. * T-5 마리나 : 호라이즌 소속의 해병형 바이오로이드이다. * '''팩스 콘소시움''' * 콜 걸 바이오로이드 : 어떤 정부에서 공창에 투입할 용도로 구매했다. [[https://cafe.naver.com/ArticleList.nhn?search.clubid=29589050&search.menuid=27&search.boardtype=I|출처]] * '''덴세츠 사이언스''' * 바이바르스: [[프레스터 요안나]]와 함께 영화 <예루살렘의 검은 방패>에 주연으로 등장한 바이오로이드이다. [[https://cafe.naver.com/lastorigin/411167|출처]] * 오우치: 시대극 <대전란 ~ 시들어 버린 무로마치의 꽃 ~>의 주연인 바이오로이드이다. [[https://cafe.naver.com/lastorigin/411167|출처]] * 삼총사의 다른 배역을 맡은 바이오로이드들: [[샬럿(라스트오리진)|샬럿]]과 [[아르망 추기경]]처럼 삼총사의 다른 주역들을 맡은 바이오로이드가 있다. [[https://cafe.naver.com/lastorigin|출처]] * 기업의 대표 바이오로이드 : 회장 요시미츠의 환상과 취향을 집약한 대표 바이오로이드가 존재했다. [[https://cafe.naver.com/lastorigin/787159|출처]] * 릴림 : [[뽀끄루 대마왕]]의 수하. [[만월의 야상곡]]에서 언급됐으며 사디스트 성향으로 예상하고 있다. * 마법소녀 : 총 5명이 있으며, 이 중에서 [[마법소녀 매지컬 모모|모모]]와 [[마법소녀 매지컬 백토|백토]]만이 나왔다. * '''AGS''' * 아테나: 지휘관 AGS이다. 화성의 지구화 명령 네트워크를 총괄하기 위해 이를 업그레이드한 것이 에이다이다. [[https://cafe.naver.com/lastorigin/411167|출처]] [[분류:라스트오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