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라다|[[파일:external/www.tocak.co.rs/lada_logo_jpg.jpg|width=25%]]]]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2018 라다 칼리나 크로스.png|width=100%]]}}} || || {{{#ffffff '''Кали́на'''}}} || '''Lada Kalina/Ла́да Кали́на[* 차량의 이름은 러시아의 나무껍질의 일종에서 따왔다고 한다.]/Lada 117/119[* [[핀란드]] 시장 수출명][* [[핀란드어]]로 '칼리나'는 '''덜컹거린다'''라는 자동차치곤 좋지 않은 이름을 가졌기 때문이었다.]''' [목차] == 개요 == [[러시아]]의 자동차 제조사인 [[2004년]]부터 [[2018년]]까지 생산된 [[라다]]의 소형차이다. == 상세 == === 1세대(2004~2013) === || [youtube(F4IFXXw9afg)] || || {{{#ffffff '''칼리나 1세대 광고'''}}} || >'''ДУМАЙ ПО ЕВРОПЕЙСКИ.''' >'''(유럽을 생각하다.)''' || [[파일:라다 칼리나 세단1.jpg|width=100%]] || [[파일:라다 칼리나 세단2.jpg|width=100%]]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라다 칼리나 세단3.jpg|width=100%]]}}} || ||<-2> {{{#000 '''칼리나 세단'''}}}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파일:라다 칼리나 해치백1.jpg|width=100%]] || [[파일:라다 칼리나 해치백2.jpg|width=100%]]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라다 칼리나 해치백3.jpg|width=100%]]}}} || ||<-2> {{{#000 '''칼리나 해치백'''}}} || || [[파일:라다 칼리나 스텝 왜건1.jpg|width=100%]] || [[파일:라다 칼리나 스텝 왜건2.jpg|width=100%]]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라다 칼리나 스텝 왜건3.jpg|width=100%]]}}} || ||<-2> {{{#000 '''칼리나 스테이션 왜건'''}}} || || [[파일:라다 칼리나 엘 라다1.jpg|width=100%]] || [[파일:라다 칼리나 엘 라다2.jpg|width=100%]]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라다 칼리나 엘 라다3.jpg|width=100%]]}}} || ||<-2> {{{#000 '''칼리나 엘 라다'''}}} ||}}} || ||<-2> {{{#ffffff '''1세대'''}}} || [[1993년]]부터 개발이 이루어졌으며 [[1998년]]에 나온 라다-칼리나 프로토타입을 시작으로 해치백 사양은 [[1999년]], 세단 사양은 [[2000년]], 왜건(콤비) 사양은 [[2001년]]에 프로토타입으로 등장하였다. 경쟁차량으로는 [[현대 베르나]]/[[현대 엑센트]], [[다치아 로간]] 등이 있었다. [[2005년]]에 세단 사양이 출시되었고 [[2006년]]에 5도어 해치백, [[2007년]]에 스테이션 왜건 사양이 추가되었다. 또한 다수의 [[러시아]]산 철강회사에서 특별히 개발된 아연도금 강철이 사용되어 내식성의 강화가 이루어졌다. 차량의 가격은 7,000유로[* 원화가치 약 932만원]~8,000유로[* 원화가치 약 1,065만원]대의 가격으로 [[유럽]] 시장에 수출되었다. 생산은 [[루마니아]] [[부쿠레슈티]] 공장과 [[러시아]] 톨리야티 공장에서 이루어졌다. 플랫폼은 수평 형태로 적용되었고 운전석 및 조수석 에어백, ABS, 전자식 파워 스티어링, 에어컨, 접이식 뒷좌석 등이 적용되었다. [[파워트레인]]은 1.4L 가솔린 I4 엔진이 탑재되어 91마력, 1.6L 8밸브 가솔린 I4 엔진은 81마력, 1.6L 16밸브 가솔린 I4 엔진은 98마력을 냈다. [[전륜구동]] 차량이며 전장은 해치백은 3,850mm, 세단/스테이션 왜건은 4,050mm, 전폭은 1,670mm, 전고는 1,500mm, 휠베이스는 2,470mm, 공차중량은 1,080kg이었다. 슈퍼 1600 버전의 컨셉트카를 기반으로 한 '칼리나 GS 스포츠'가 생산되었고 자연 흡기가 기본 적용되는 1.6L 터보 엔진이 탑재되었다. 충돌테스트는 [[러시아]] ARACP를 통해 [[2005년]]에 이루어졌는데 총점 16점 만점에서 5.6점을 받아 별점 4점 중 1점을 획득해 조악한 안전성을 보여주었다. 판매량은 [[2009년]]에 [[러시아]] 내에서 4번째로 가장 많이 판매된 차량이었으며 총 60,746대가 판매되었고 [[2012년]]에는 가장 많이 팔린 차량이기도 했다. 또한, 러시아판 [[탑기어]]에서 '가장 합리적인 자동차'로 소개되기도 했다. 전기차 버전으로 '엘 라다'가 있는데 [[2011년]]에 출시되었다. [[파워트레인]]은 23kWh의 배터리 팩과 30kW의 전기 모터가 탑재되었고 스테이션 왜건 형태로 100대 한정 생산이 이루어졌다. ==== 1세대 판매량 ==== |||| '''{{{#ffffff 1세대 라다 칼리나 판매량}}}''' || ||<#FFFFFF> '''연식''' ||<#FFFFFF> '''[[러시아]] 시장 판매량''' || || [[2004년]] || 4,258대 || || [[2005년]] || 18,103대 || || [[2006년]] || 52,740대 || || [[2007년]] || 78,550대 || || [[2008년]] || 94,094대 || || [[2009년]] || 60,746대 || || [[2010년]] || 108,989대 || || [[2011년]] || 142,930대 || || [[2012년]] || 119,890대 || || '''총 판매대수''' || '''680,300대''' || === 2세대(2013~2018) === [[파일:라다 칼리나.png|width=700]] [[2013년]]형 칼리나 [[2012년]] 모스크바 모터쇼에서 최초로 공개되었으며, 13인치 및 14인치 휠 디스크, 전자 스로틀 제어를 갖췄으나 세단 사양 없이 해치백과 왜건 사양으로만 판매되었다. 실내 제어 장비는 영어로만 제공되었으며 [[일본]] [[닛산]] 산하의 닷선 브랜드를 통해 만들어진 [[닷선 mi-Do]]의 기반이 되기도 하였다. 해치백 사양은 [[2013년]] 5월에 왜건 사양은 같은 해 9월부터 생산하기 시작했으며 [[러시아]] 톨리야티 공장과 [[카자흐스탄]] 외스케멘 공장에서 이루어졌다. [[파일:라다 칼리나 크로스.png|width=700]] 라다 칼리나 크로스 칼리나 크로스는 [[2014년]]에 출시되었으며, 변속기의 기어비와 플라스틱 키트가 사용되었다는 점에서 기존 차량과 차이가 있었으며 20mm 정도 도로 간극이 증가하였다. 1.6L 8밸브와 16밸브 사양의 I4 엔진이 탑재되었으며 86마력과 105마력을 내며 140Nm과 145Nm의 최대 토크를 냈다. [[전륜구동]] 차량이며 전장은 해치백이 3,893mm, 왜건 사양은 4,084mm, 전폭은 1,670mm, 전고는 1,500mm~1,560mm, 휠베이스는 2,476mm로 길어졌으며 공차중량은 칼리나 크로스 및 왜건 사양이 1,125kg~1,160kg, 스포츠는 1,626kg이었다. 실제로 이루어지지는 않았으나 [[라다]] 측에서는 [[미국]]과 [[캐나다]] 시장에 이 차량을 가지고 진출하려는 포부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칼리나는 [[2018년]]까지 생산된 후 단종되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라다의 차량)] [[분류:라다/생산차량]][[분류:2004년 출시]][[분류:소형차]][[분류:세단]][[분류:왜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