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영화 == ||
<#0C0000><-5><:> {{{#E5D85C '''역대 [[아카데미 시상식|{{{#E5D85C 아카데미 시상식}}}]]'''}}} || ||<#FFFFFF,#191919><-5><:> [[파일:oscar_logo.svg|width=80]] || ||<#0C0000><-5><:> [[아카데미 외국어영화상|{{{#E5D85C '''외국어영화상'''}}}]] || ||<:> '''제28회[br]([[1956년]])''' ||<:> {{{+1 →}}} ||<:> '''제29회[br]([[1957년]])''' ||<:> {{{+1 →}}} ||<:> '''제30회[br]([[1958년]])''' || ||<:> 사무라이 I: 미야모토 무사시 ||<:> {{{+1 →}}} ||<:> '''라 스트라다''' ||<:> {{{+1 →}}} ||<:> 카비리아의 밤 || ||<#0C0000><-5><:> || [[파일:external/cf5a2354820abc3d3b6f18014f1a52eb3756ced8b4fcb9773b114e1cdc31e89b.jpg]] [youtube(CucHyXsxCU8)] 물질적인 성향이 강했던 시대의 흐름에서 탈피해 인간의 순수성을 고찰한 1954년 [[이탈리아 영화]]. 번역 제목은 [[길]]이다. 감독은 [[페데리코 펠리니]]로, 1957년 [[아카데미 국제영화상|아카데미 외국어 영화상]]을 수상했고[* 당시 시대가 시대인지라 제작 후 2년이 지난 1956년에서야 미국에 개봉했다.], 한국에도 1957년에 개봉했다. 여주인공 젤소미나[* 이 이름을 제목으로 한 음악이 매우 유명하다.] 역은 페데리코 펠리니의 아내 줄리에타 마시나다. 시기적으로는 펠리니가 아직 네오 리얼리즘 계열에 속하던 초중기 작품인지라 후기 펠리니 영화들과는 차이가 있다. 좀 더 현실적이고 덜 풍자적인 편이다. 명성과 달리 만드는 과정이 매우 험난했고 공개 당시 평도 극명하게 갈린 영화였으며, 펠리니는 이 영화를 만든 뒤 신경쇠약에 빠져 치료를 받아야 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펠리니 영화 중에서는 가장 대중적으로 사랑받는 영화가 되었다. 1981년 2월 3일 평일 특별명작으로 [[KBS2]]로 밤 9시 40분에 더빙 방영한 것을 비롯하여 여러번 재방영했다.1998년 4월 12일 [[명화극장]]에서도 재방영했고 1992년 11월 1일 일요특선으로 오후 12시 10분에 [[SBS]]에서도 재더빙 방영하였다. KBS 더빙과 SBS 더빙 모두 주인공 [[안소니 퀸]]은 [[이치우(1939)|이치우]], 줄리에타 마시나는 [[성병숙]]이 연기했다. == [[마그나카르타 2]]의 공중요새 == [[http://www.magnacarta.co.kr/img/world/img_wm11.jpg]] 란츠하임 중부 상공에 떠있다. 원래는 [[카르타 대전]] 때 카르타에게 맞서기 위해 만들어진 공중전함이었으나, 카르타 대전 후 세계를 유지하는 [[칸]]이 부족해 재화종이 내리는 사태를 맞자, 세계에 칸을 공급하기 위한 목적으로 영웅 [[스트라스]]에 의해 개조되었다. ~~[[헤일로]]에 나오는 드레드 노트 오마쥬~~ 그 후 스트라스는 라 스트라다를 띄워 자신의 방대한 칸을 세상에 공급했고, 덕분에 구원받은 란츠하임은 풍요로운 세계로 변했다. 그 기적의 날 이후로 라 스트라다는 계속 하늘에 떠 세상에 칸을 고루 공급하기 위해 칸을 순환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었고, 덕분에 란츠하임 사람들은 칸의 혜택을 마음껏 누릴 수 있게 되었다. 그 후 천 년에 걸친 긴 시간이 흐른 지금 라 스트라다는 스트라스와 더불어 신격화되어, 라 스트라다를 향해 소원을 비는 풍습이나, 한 해의 마지막 날 라 스트라다를 보며 밤을 새는 축제도 생겨났다. [[분류:동음이의어]][[분류:1954년 영화]][[분류:이탈리아의 드라마 영화]][[분류:이탈리아의 로드 무비]][[분류:퍼블릭 도메인/영화]][[분류:니노 로타]][[분류:페데리코 펠리니]][[분류:마그나카르타 시리즈/설정]][[분류:영화 템플릿 미반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