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말똥가리속]] ||<-2> '''{{{#fff {{{+1 띠꼬리말똥가리}}}[br] Zone-tailed hawk}}}'''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띄꼬리말똥가리 유조.png|width=100%]] [br] 유조 }}} || || [[학명|{{{#000 '''학명'''}}}]] || ''' ''Buteo albonotatus'' '''[br](Kaup, 1847) || ||<-2> {{{#000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문(Chordata) ||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새|조강]](Aves)||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수리목(Accipitriformes) ||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수리과(Accipitridae) || || '''아과''' ||말똥가리아과(Buteoninae) || || [[생물 분류 단계#족|{{{#000 '''족'''}}}]] ||말똥가리족(Buteonini) ||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말똥가리속(''Buteo'') || ||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띠꼬리말똥가리(''B. albonotatus'')''' || ||<-2><#f93> {{{#000 '''멸종위기등급'''}}} || ||<-2><#FFF> [[파일:멸종위기등급_최소관심.svg|width=240]] || [목차] [clearfix] == 개요 == 말똥가리속에 속하는 [[맹금류]]이다. 조류에서는 드문 공격적 의태의 예시다. == 소개 == [[미국]] 남서부부터 [[중앙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의 대부분의 생태계에 서식한다. 다만 둥지를 짓기 위해 큰 나무들이 조금이라도 자라고 있어야 하며, 근처에 트이고 건조한 환경이 있는 것을 선호한다. 언뜻 보면 [[칠면조독수리]]와 매우 비슷하다. 띠꼬리말똥가리가 약간 더 작지만 큰 차이는 아니며, 둘 다 전체적으로 비슷한 어두운 채색에 꼬리와 날개깃은 더 밝은 회색을 띄고 있으며 둘 다 비행시 날개를 위쪽으로 치켜세우고 좌우로 심하게 흔들리는 비행을 한다. 또한 띠꼬리말똥가리의 눈 앞에는 깃털이 빠지고 맨살이 드러난 부위가 있어, 먼 거리에서 보면 칠면조독수리의 비교적 작고 깃털이 없는 머리처럼 보인다. 성조의 흰색 꼬리띠는 흰 요산이 뭍어 있는 칠면조독수리의 다리와 비슷하게 보인다.[* 칠면조독수리는 몸이 과열되면 자신의 다리에다 자신의 요산과 배설물을 누어 혈액을 식힌다.] 게다가 칠면조독수리 무리의 일원으로 동행하는 경우가 매우 흔하다. 그리고 이 모든 것은 특화된 사냥 전략의 핵심이다. [[스케빈저]]인 칠면조독수리는 일반적으로 사냥을 하지 않으므로 작은 동물들에게 경계의 대상이 아니다.[* 물론 다른 새의 둥지 근처라면 상황이 달라진다.] 띠꼬리말똥가리는 칠면도독수리를 [[의태]]하여 사냥감을 속이고, 은신처가 전혀 없는 상공에서도 은밀하게 지형을 수색하고 먹잇감에 접근한다. 높이 날아다니다 사냥감이 포착되면 눈으로는 목표를 주시하면서도 무시하고 지나가는 척 하지만, 사냥감의 시야를 벗어나는 순간 급강하하며 빠르게 가속하고 저공비행으로 기습한다.[* 이 때문에 맹금류 중에서는 특이하게도 유조와 성조의 체색에 큰 차이가 없다. 어린새들도 의태에 의존해서 사냥하기 때문이다.] 주식은 작은 새들인데, 대부분의 말똥가리속 맹금류는 속도나 민첩성이 조류 사냥에 특화되어있는 [[매속]]이나 새매속에 비해 떨어지기 때문에 기회가 오는 대로만 다른 조류를 사냥하지만 이 녀석은 의태로 사냥감을 기만시키기 때문에 다른 새들을 전문적으로 사냥한다. 그 외에는 소형 파충류도 자주 먹는데 역시 칠면조독수리가 위협적이지 않는다는 것을 학습할 수 있는, 따라서 역으로 그 학습된 경험 때문에 이런 의태에 속을 수 있는 사냥감이다. == 기타 == 먼 거리에서 보면 의태가 사람도 쉽게 속이기 때문에 탐조인들이 찾아내기 어려워 하는 새이기도 하다. 가장 빨리 찾는 방법은 본종의 서식지 내 칠면조독수리 무리들을 한마리씩 자세히 살피는 것이다. 이러다 보면 어느 무리 중에 한 마리는 위장해 있는 띠꼬리말똥가리로 드러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