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또봇: 대도시의 영웅들)] ||<-2> '''{{{+1 {{{#!html 또봇 : 대도시의 영웅들}}}}}}''' (2023)[br]'''{{{#!html TOBOT DAEDO'S HEROES}}}'''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또봇: 대도시의 영웅들 1기 포스터.png|width=100%]]}}}|| ||<-2> {{{#fff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기타 키 비주얼 ▼ [[파일:뉴 또봇 포스터 선명한 버전.jpg|width=100%]]{{{#fff 티저 비주얼}}}[br][[파일:또봇 대도시의 영웅들 하나두리 포스터.webp|width=100%]]{{{#fff TIVING 비주얼}}}[br][[|width=100%]]{{{#fff 파트 2 키 비주얼}}}}}}}}}}}} || ||<-2> {{{#!wiki style="margin: 0px -11px" {{{#!folding 작품 정보 ▼ ||
'''장르''' ||[[사이언스 픽션|SF]], [[액션]], [[거대로봇물|거대로봇]], [[개그물|코미디]] || || '''책임 프로듀서''' ||김세중 || || '''프로듀서''' ||김대통[br]박초롱 || || '''총감독''' ||[[이달]] || || '''조감독''' ||김승만 || || '''각본''' ||김미혜 || || '''음악''' ||카일리{{{-2 (김우관, 서가연, 이해민)}}} || || '''애니메이션 제작''' ||[[레트로봇|[[파일:레트로봇 로고.png|width=100]]]] || || '''제작''' ||[[영실업|[[파일:영실업 로고.svg|width=75]]]], [[레트로봇|[[파일:레트로봇 로고.png|width=100]]]] || || '''방영 기간''' ||[[애니메이션/2023년 1월|2023. 02. 24.]] ~ 2023. 04. 14.^^파트 1^^[br][[애니메이션/2023년 4월|2023. 06. 09.]] ~ 방영 중^^파트 2^^[br]미정^^파트 3^^ || || '''방송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투니버스|[[파일:투니버스 로고.svg|height=14]]]] / (금) 16:00 {{{-2 (본)}}}[br][[파일:투명.png|width=20]] [[애니맥스 코리아|[[파일:애니맥스 코리아 로고.svg|height=25]]]] / (월) 08:00[br][[파일:투명.png|width=20]] [[JEI 재능TV|[[파일:JEI 재능TV 로고.png|height=30]]]] / (수) 16:30[br][[파일:투명.png|width=20]] [[대교어린이TV|[[파일:대교 어린이 tv 로고.jpg|height=30]]]] / (토) 08:00[br][[파일:투명.png|width=20]] [[카툰네트워크#한국|[[파일:카툰네트워크 로고.svg|height=25]]]] / (금) 16:30[br][[파일:투명.png|width=20]] [[부메랑(미국 방송)|[[파일:부메랑(미국) 로고.svg|height=30]]]] / (토) 15:00[br][[파일:투명.png|width=20]] [[KBS Kids|[[파일:KBS Kids 로고.svg|height=20]]]] / (토) 13:00[br][[파일:투명.png|width=20]] [[애니원|[[파일:애니원 로고.svg|height=20]]]] / (화) 08:00[br] || || '''국내 스트리밍 서비스''' ||[[TVING|[[파일:TVING 로고.svg|width=60]]]] [[https://www.tving.com/contents/P001698158|▶]][br][[네이버 시리즈온|[[파일:네이버 시리즈온 로고.svg|width=90&theme=light]][[파일:네이버 시리즈온 로고 화이트.svg|width=90&theme=dark]]]] [[https://serieson.naver.com/v2/broadcasting/554929|▶]], [[https://serieson.naver.com/v2/broadcasting/569665|▶]][br][[왓챠|[[파일:왓챠 로고.svg|width=60]]]] [[https://watcha.com/contents/tl9gLD6|▶]][br][[wavve|[[파일:wavve 로고.svg|width=90]]]] [[https://www.wavve.com/player/vod?programid=F0901_F09000000064&landing=season&page=1|▶]] || || '''편당 러닝타임''' ||11분 || || '''화수''' ||24화 ([[분할 3쿨]])[* 파트 1(8화) + 파트 2(8화) + 파트 3(8화)] || || '''국내 심의 등급'''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등급 제도#관련 규정|[[파일:7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width=20]] {{{#ffffff 7세 이상 시청가}}}]] || || '''관련 사이트''' ||[[https://www.youtube.com/channel/UC1WEOQjm8tyT1pXY6xaoYZQ|[[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 [[https://tv.naver.com/tobot|[[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5]]]] ||}}}}}} || [목차] [clearfix] == 개요 == [[또봇 시리즈]]의 4번째 작품. [[영실업]]과 [[레트로봇]]이 [[애슬론 또봇]] 이후 '''5년''' 만에 협업하는 '''[[변신자동차 또봇]]의 정식 후속작'''이다.[* [[애슬론 또봇]]은 세계관을 공유하고 몇몇 캐릭터도 등장하지만 스토리 자체는 [[스핀오프]] 작품이며, [[또봇 V]]는 캐릭터와 설정 등이 모두 교체된 [[리부트]]작인지라 연관성이 없다.] [[변신자동차 또봇|전작]]으로부터 [[시퀄|약 2년 후의 시점을 다루며,]] [[분할 시즌제#분할 3쿨|총 3개의 파트로 구성되어있다.]] 전작이 [[기아]]에서 디자인 라이선스를 받은 것과 달리 [[현대자동차]]에서 라이선스를 받아 제작되었다.[* 물론 [[기아]] 역시 [[현대자동차그룹]]의 계열사이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현대자동차그룹의 차량들의 라이센스를 받아서 제작되었다.] == [[/방영 전 정보|방영 전 정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또봇: 대도시의 영웅들/방영 전 정보)] === PV === ==== Part 1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lu1B-3PVmnc,width=100%)]}}}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UDgCtHbOOBs,width=100%)]}}} || || '''티저 트레일러''' || '''공식 트레일러'''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IN8-PH6bzWc,width=100%)]}}}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xIbxZbo0OtI,width=100%)]}}} || || '''[[투니버스|{{{#fff 투니버스}}}]] PV''' || '''[[대교어린이TV|{{{#fff 대교어린이TV}}}]] PV''' || ==== Part 2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U2a69cBl73w,width=100%)]}}}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innB-5hiQSo,width=100%)]}}} || || '''공식 트레일러''' || '''[[투니버스|{{{#fff 투니버스}}}]] PV''' || ==== Part 3 ==== == [[/줄거리|줄거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또봇: 대도시의 영웅들/줄거리)] >'''[[또봇]]이 돌아왔다?!''' >[[변신자동차 또봇/줄거리#s-6.3|또봇 19기]]로부터 2년 후, 악당 로봇군단이 사라지자 또봇이 활약할 일도 없어져 >또봇들은 [[대도시(변신자동차 또봇)|대도시]]의 전설이 되어가고 있다. >그 사이 친구들은 다른 도시로 떠나고 [[차하나|하나]], [[차두리(변신자동차 또봇)|두리]], [[권세모|세모]]는 초등학교 5학년이 되었다. >함께 카센터를 운영하며 평화롭게 살고 있던 [[차도운|도운]]과 [[권리모|리모]]는 >대도시에 새롭게 등장한 악당 로봇들을 저지하기 위해 또봇들을 다시 출동시킨다. >----- >[[https://tooniverse.cjenm.com/ko/tobot2023/|[[파일:투니버스 로고.svg|width=88]]]] == 특징 == [[변신자동차 또봇/등장인물|원조 멤버들]]이 등장하는 시리즈에서 2016년까지 방송된 [[변신자동차 또봇]] 이후 약 '''7년''' 만에 방영되는 애니메이션이다. 방영 이전에 [[변신자동차 또봇]] 시절의 등장인물들[* 특히 주딩요, 오혜라, 독고오공, 네옹과 파트너 또봇들, 옥디룩.][* 전작에서 2년의 시간이 흘렀기에 세는 나이로 19세가 된 네옹은 [[고3|수험생]]이 되었을 것이다.]의 복귀를 바라는 목소리가 많았으나, 시놉시스에서 다른 친구들은 다른 도시로 떠났다는 언급이 나오면서 기존 조연들의 등장은 불투명해졌고, 실제로 공개된 엔딩 크레딧에는 하나, 두리, 세모 외의 미등장 파일럿 및 주변 인물들의 이름은 기재되어 있지 않다. 전작에서 내적으로는 2년, 외적으로는 7년의 시간이 흐른 만큼 설정에 [[근미래]]적 면모가 반영되었다. 차 열쇠 대신 [[스마트키]]가 보편화된 시대상에 영감을 받아 파일럿이 또봇을 변신시킬 때 [[또키]]가 아닌 전용 스마트폰인 ''''[[또폰]]\''''을 사용하며, 자동차 역시 대부분 [[자율주행]] 기능이 있는 [[전기자동차]]다. 또한 다목적 도우미 로봇 MAX가 보급되는 한편 [[경찰차]], [[구급차]], [[소방차]]는 일부 드론으로 대체되었고[* 6화 마지막에 소방차가 등장하였으며, 1화에서 [[카사장]]이 X, Y의 비클 모드를 보고 [[경찰차]]로 오해한 것을 보아 아직 완전히 대체된 것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재난 발생 시 긴급구호에도 로봇이 투입될 정도로 발전한 시대상을 보여주고 있다. 심지어 주요 악행으로 차량 절도를 저지르는 악당들조차 '''클로킹 모드'''라는 투명화 기능을 사용할 정도. 차량 라이선스가 [[기아]]에서 [[현대자동차]]로 변경되었으며, [[캐딜락 CTS]], [[아우디 A5]], [[피아트 500]] 등 실존하는 차량을 큰 모델링 변형 없이 등장시켰던 [[변신자동차 또봇]] 시절의 트래픽카들에 비해[* 5도어로 개조되고 엠블럼 자리에 그릴이 생긴 피아트 500, 범퍼 하단의 그래픽이 변경된 [[폭스바겐 골프]], 다마스의 전면부 그래픽이 적용된 [[대우 라보]] 정도만 의도적으로 가한 변형의 폭이 큰 편이며, 나머지는 엠블럼 정도만 제거하는 최소한의 변형만 가하거나 모델링 자체에서의 왜곡에서 마무리되었다.[[https://www.imcdb.org/m1004518022.html|#]]], 예고편 및 오프닝에 등장하는 본작의 트래픽카들은 변형의 폭이 크다.[* [[헬로 카봇]]은 2기까지 카봇들의 비클 모드의 디테일에 대해 또봇보다도 충실했기 때문에 헬로 카봇의 방영 후에는 차덕들의 관심은 또봇보다는 헬로 카봇에 갔으며, 조연급 인물들의 차도 원형이 거의 보존된 차들이 종종 나온 것은 물론 트래픽카도 시즌 4부터는 실존 차종임을 알아볼 수 있는 상태의 모델링으로 변경되었다.] 트래픽카의 차종은 [[왜건]][* [[현대 i40]]와 같은 앞 엔진 전륜구동 레이아웃의 중형 스테이션 왜건으로, [[제네시스 G70 슈팅 브레이크]]를 연상시키는 랩어라운드식 뒷유리창과 리어 엔드 그래픽이 적용되었다.]을 제외하면 다양한 체급의 크로스오버 SUV 위주로 구성하여[* [[현대 캐스퍼]]를 베이스로 [[또봇 W]]의 차량 모델인 [[기아 레이]]의 일부 디자인을 적용한 듯한 흰색 투톤의 경형 크로스오버 SUV와 [[현대 팰리세이드]], [[제네시스 GV80]], [[기아 쏘렌토]]를 베이스로 모델링한 것으로 추정되는 중형 크로스오버 SUV 3종, 풀 사이즈 SUV 형태의 1종이 등장한다.] 세단, 쿠페 등의 3박스형 [[노치백]] 및 [[해치백]]이 대부분이었던 과거 트래픽카들에 비해 [[SUV]] 비중이 훨씬 늘었으며[* 요즘 SUV 열풍으로 인해 크로스오버의 비중이 늘어나고 세단, 해치백, MPV 같은 차들이 저물어져가는 것을 표현한 듯 하다. 당장 미국에서는 [[제너럴 모터스]]와 [[포드 모터 컴퍼니|포드]], [[크라이슬러]]같은 미국 메이커들이 세단 라인업을 정리하고 크로스오버 라인업 확장에 집중하며, 소형 MPV가 가세였던 유럽에서마저 SUV에게 밀려 하나 둘 씩 단종 수순을 밟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마찬가지로 세단 라인업은 [[현대자동차그룹]]이 사실상 독점하고 있는 반면, SUV 라인업은 [[KG모빌리티]], [[한국GM]], [[르노코리아자동차]]까지 특히 소형급에서 치열하게 붙고 있다. [[KG 토레스]]나 [[르노코리아 QM6]]처럼 준중형~중형 SUV 라인업도 나름 경쟁이 이루어지고 있다.] 카캐리어 트레일러는 [[메르세데스-벤츠 악트로스]]를 베이스로 모델링했다. 2화에 등장하는 스쿨버스는 전기차 및 자율주행차 트렌드에 맞춰 오버행을 최소화한 저상버스 형태에 가까운 가상 모델로 모델링했다. 그래픽과 음향에도 변경점이 많으며, 특히 그래픽 퀄리티는 이때까지 [[레트로봇]]의 전작들에 비해 월등히 향상되었다. 또한 전작보다 조명의 연출 요소를 적극 활용했다. == 등장인물 및 메카 == === [[/등장인물|등장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또봇: 대도시의 영웅들/등장인물)] === [[/등장 메카|등장 메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또봇: 대도시의 영웅들/등장 메카)] ==== [[또봇]]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또봇)] == [[변신자동차 또봇/설정|설정]]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변신자동차 또봇/설정)] * '''[[또폰]]''' * '''[[또봇#코어로이드|코어로이드]]''' * '''굿카굿카''' 용용회 재단의 지원이 끊긴 후 [[차도운]]과 [[권리모]]가 새로 차린 [[카센터]]. [[심기사]]가 정비사로 근무 중이다. 도운, 리모 일가의 집과 연결되어 있으며, 또봇 본부의 역할도 겸하고 있다. * '''월면공업사''' [[카사장]], [[엔진박]], [[조발레]] 일당의 은신처. 작중 그들의 조직명이 공개되지 않았기에 이 명칭으로 부르는 사람도 있다. * '''달로웨이 서비스''' * '''대도 바나나''' 대도초등학교 축구부. 한수와 공주가 소속되있다. * '''[[닐리리]] 몽키즈''' 닐리리초등학교 축구부.[* 다만 전작에서 묘사된 닐리리에는 아이들이 많지 않은데 축구부를 결성할 만한 인원을 어디에서 모집하였는지 불명이다.] 8화에서 대도 바나나에게서 승리한 뒤 그들을 잡아먹었다고 놀렸다고 한다. == 음악 == === 주제가 === ||<-2>
'''OP[br][[함께 가는 길|{{{#fff 함께 가는 길}}}]]''' || ||<-2>{{{#!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8FNjaLPiLaA,width=100%)]}}} || ||<-2> '''TV ver.''' || ||<-2>{{{#!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kGwnlKJW7Do,width=100%)]}}} || ||<-2> '''Full ver.''' || || '''노래''' || 카일리 {{{-2 (김우관, 서가연, 이해민)}}} || || '''작사''' ||<|2> 정창국 || || '''작곡''' || || '''편곡''' || [[이달]], 카일리 {{{-2 (김우관, 서가연, 이해민)}}}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Go, Go, Let’s go, 또봇! Go, Go, Let’s go, 또봇! Go, Go, Let’s go, 또봇! Go, Go, Go! 너와 함께라면 두렵지 않아 지혜롭고 용감한 너와 함께라면 (Go!) 오늘은 또 무슨 일이 생겨날까 언제나 새로운 모험 생겨나는 이 길에 사나운 바람이 몰아쳐도 (Let's go!) 떠오르는 태양을 향해 자, 우리 함께 가는 거야 (Let's go, 또봇!) 때론 길이 험난할지라도 (또봇!) 굳게 잡은 우리 손 놓진 않아 거울 속에 다른 나는 너일 거야 (또봇!) 네가 한 발 내디디면[* 노래할 때는 '내딛으면'으로 발음한다. 맞춤법은 '내디디면'이 맞다.] 난 그 길을 따라갈게 Go, Go, Let’s go, 또봇! Go, Go, Let’s go, 또봇! (너와 함께라면 두렵지 않아) Go, Go, Let’s go, 또봇! (지혜롭고 용감한 너와 함께라면) Go, Go, Go! || }}}}}}}}} || 오프닝은 [[변신자동차 또봇]]의 1~6기 오프닝 곡인 '''[[함께 가는 길]]'''을 어레인지한 곡이다.[* 다만 곡의 느낌이나 분위기, 원곡과는 달리 여성 가수가 부른 점 때문에 해당 곡의 분위기는 원곡의 [[https://m.youtube.com/watch?v=jbD7NvZk-Xw|오프닝 버전]]보다는 [[https://m.youtube.com/watch?v=ONPX6ZWsvr4|엔딩 버전]]에 더 가깝다.] 2023년 1월 13일에 타이틀명보다 앞서 선공개되었다.[* 다만 타이틀명보다 앞서 공개됐다라고 서술되어 있듯, [[https://youtu.be/U5MPBBEsxJI|당시 공개된 영상]]은 정식 로고가 생략된 상태의 영상이며, 후에 음악 판권사인 지니뮤직 측으로 로고가 추가된 영상이 공개되었다.] ---- ||<-2>
'''ED[br]{{{#fff 내 친구 또봇}}}''' || ||<-2>{{{#!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B5YpXKuzvxU,width=100%)]}}} || ||<-2> '''TV ver.''' || || '''노래''' || 카일리 {{{-2 (김우관, 서가연, 이해민)}}} || || '''작사''' || 서가연, 김미혜 || || '''작곡''' || 서가연, 이해민 || || '''편곡''' || 카일리 {{{-2 (김우관, 서가연, 이해민)}}}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Ooh-la-la-la la-la-li-la Ooh-la-la-la la-la-li-la 하루 끝 집에 돌아가는 길 헤어져야만 하는 시간 싱글벙글 하루 종일 웃기에도 모자란 시간 저무는 해가 아쉽기만 해 괜히 늦춰보는 발걸음 못다 나눈 이야기들, 못다 나눈 마음 Hey! 오늘의 기쁨 Smile! 오늘의 웃음 언젠가 마주할 어려움 앞에 Hey! 눈물 닦아줄 빛이 돼줄 소중한 추억일 걸 알기에 짧은 안녕은 슬프지 않아 내 친구 또봇 내일 또 만나자 내 친구 또봇 함께 걸어가자 Ooh-la-la-la la-la-li-la Ooh-la-la-la la-la-li-la Ooh-la-la-la la-la-li-la Ooh-la-la-la la-la-li-la Ooh-la-la-la la-la-li-la || }}}}}}}}} || 이전 [[변신자동차 또봇]] 시절 쓰였던 엔딩이 아닌 아예 새로운 엔딩이 나왔으며, 엔딩에 [[변신자동차 또봇|구작]]의 여러 장면들을 넣어준 덕분에 올드팬으로 호평을 받고 있다. 전작의 7기~13기 엔딩곡, 12기 부제와 같은 제목이다. === 삽입곡 === ||<-2>
'''삽입곡[br]{{{#fff 한 번 더 힘차게}}}''' || ||<-2>{{{#!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width=100%)]}}} || ||<-2> '''Full ver.''' || || '''노래''' || 카일리 {{{-2 (김우관, 서가연, 이해민)}}} || || '''작사''' || 서가연 || || '''작곡''' || 서가연, 이해민 || || '''편곡''' || 카일리 {{{-2 (김우관, 서가연, 이해민)}}} || 사운드트랙에서 풀버전이 유일하게 공개되지 않은 노래다. TVA의 지난 이야기와 다음 이야기 코너에서 배경음악으로나마 들을 수 있는 노래다. ----- ||<-2>
'''4화 삽입곡[br]뭔지 알지''' || ||<-2>{{{#!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qOt73_6O8tE,width=100%)]}}} || ||<-2> '''TV ver.''' || || '''노래''' || 신해윤, [[신경선]] || || '''작사''' || 김미혜, [[이달]] || || '''작곡''' ||<|2> [[이달]] || || '''편곡''' || || '''안무''' || 이민경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2 ALL [[이한수(또봇: 대도시의 영웅들)|{{{#A47949 이한수}}}]] [[또봇 Z|{{{#FF0033 또봇 Z}}}]]}}}''' {{{#A47949 뭔지 알지, 내가 무슨 생각 하는지}}} {{{#FF0033 (뭐냐 그러더라구)}}} {{{#A47949 뭔지 알지, 내가 무얼 하고 싶은지}}} {{{#FF0033 (뭐냐 그러더라구)}}} {{{#A47949 모르면 알려줄게 너도 알려줘 그렇게 친구가 되어 가는 거야}}} [[축구|{{{#A47949 축구}}}]] [[야구|{{{#A47949 야구}}}]] [[술래잡기|{{{#A47949 술래잡기}}}]] [[연(도구)|{{{#A47949 연날리기}}}]] [[팽이치기|{{{#A47949 팽이치기}}}]] [[띠부띠부씰|{{{#A47949 띠부띠부씰}}}]] {{{#A47949 모으기}}} [[가위바위보|{{{#A47949 가위바위보}}}]] {{{#FF0033 우린 단짝인 거야 실과 바늘처럼 단짝인 거야 숟가락과 젓가락처럼}}} {{{#A47949 단짝인 거야}}} [[손케 듀오|{{{#A47949 손케 듀오}}}]]{{{#A47949 처럼}}} [[단짠|{{{#A47949 단짠}}}]]{{{#A47949 인 거야 탕수육과 짜장면처럼}}} {{{#A47949 (뭔지 알지)}}} 우린 단짝인 거야 실과 바늘처럼 {{{#A47949 (뭔지 알지)}}} 단짝인 거야 숟가락과 젓가락처럼 {{{#A47949 (뭔지 알지)}}} 단짝인 거야 손케 듀오처럼 {{{#A47949 (뭔지 알지)}}} 단짠인 거야 탕수육과 짜장면처럼 || }}}}}}}}} || [[이한수(또봇: 대도시의 영웅들)|한수]]와 [[또봇 Z]]가 친해지는 계기가 되는 노래. 4화 방영 전에 [[정관장]] 홍이장군과 콜라보 광고를 진행하면서 안무 영상이 선공개되었다.[[https://youtu.be/a9Sn1EVRBVs|#]] == 회차 목록 == [include(틀:투니버스 신작)] ||
'''회차''' || '''제목''' || {{{#!wiki style="margin: 0px -10px" '''방영일자[br]{{{-3 (투니버스 본방송 기준)}}}'''}}} || ||<-3> '''{{{#fff Part 1}}}''' || || 제1화 || 또봇의 전설 || 2023. 02. 24. || || 제2화 || [[이한수(또봇: 대도시의 영웅들)|남겨진 소년]]과 [[또봇 Z|자동차]] || 2023. 03. 03. || || 제3화 || 앞집의 엄청난 비밀 || 2023. 03. 10. || || 제4화 || 한수와 제트 || 2023. 03. 17. || || 제5화 || [[또봇 Z|용서받지 못할 또봇]] || 2023. 03. 24. || || 제6화 || [[카사장|덫]]에 걸려들다 || 2023. 03. 31. || || 제7화 || 또봇 제트, 트랜스포메이션! || 2023. 04. 07. || || 제8화 || [[변심]]자동차 또봇 제트 || 2023. 04. 14. || ||<-4> '''{{{#fff Part 2}}}''' || || 제9화 || 너희들은 누구냐? || 2023. 06. 09. || || 제10화 || || 2023. 06. 16. || || 제11화 || || || || 제12화 || || || || 제13화 || || || || 제14화 || || || || 제15화 || || || || 제16화 || || || ||<-4> '''{{{#fff Part 3}}}''' || || 제17화 || || || || 제18화 || || || || 제19화 || || || || 제20화 || || || || 제21화 || || || || 제22화 || || || || 제23화 || || || || 제24화 || || || == [[/제품|제품]]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또봇: 대도시의 영웅들/제품)] == [[/평가|평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또봇: 대도시의 영웅들/평가)] == 또봇 인터뷰 == [[포텐독]]처럼 [[레트로봇]] 유튜브 채널에서 주연 성우들의 인터뷰가 공개되었다.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RtuawveuWXDCIWyY684FIhHOrRZ5pci1|재생목록]] ||<^|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ep.1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Eo_jZsJTf3s, width=100%)]}}} || ||'''노영주{{{-2 ([[차하나|{{{#fff 차하나}}}]] 역)}}}'''||}}}}}}}}}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ep.2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ENNJmsMPR1E, width=100%)]}}} || ||'''장하영{{{-2 ([[권세모|{{{#fff 권세모}}}]] 역)}}}'''||}}}}}}}}}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ep.3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wj8Xn-VCpus, width=100%)]}}} || ||'''[[신경선|{{{#fff 신경선}}}]]{{{-2 ([[또봇 Z|{{{#fff 또봇 Z}}}]], [[또봇 Y|{{{#fff 또봇 Y}}}]], [[권리모|{{{#fff 권리모}}}]] 역)}}}'''||}}}}}}}}}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ep.4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yLsZKUrefuE, width=100%)]}}} || ||'''[[오유진(2000)|{{{#fff 오유진}}}]]{{{-2 ([[차두리(변신자동차 또봇)|{{{#fff 차두리}}}]] 역)}}}'''||}}}}}}}}}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ep.5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aekMMBkpTOU, width=100%)]}}} || ||'''신해윤{{{-2 ([[이한수(또봇: 대도시의 영웅들)|{{{#fff 이한수}}}]] 역)}}}'''||}}}}}}}}}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ep.6-1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Vpv4-bgD2SE, width=100%)]}}} || ||'''[[박태성(배우)|{{{#fff 박태성}}}]]{{{-2 ([[또봇 X|{{{#fff 또봇 X}}}]], [[차도운|{{{#fff 차도운}}}]] 역)}}} & 문혜원{{{-2 ([[카사장|{{{#fff 카사장}}}]] 역)}}} 1'''||}}}}}}}}}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ep.6-2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fmGVl-mREN0, width=100%)]}}} || ||'''[[박태성(배우)|{{{#fff 박태성}}}]]{{{-2 ([[또봇 X|{{{#fff 또봇 X}}}]], [[차도운|{{{#fff 차도운}}}]] 역)}}} & 문혜원{{{-2 ([[카사장|{{{#fff 카사장}}}]] 역)}}} 2'''||}}}}}}}}}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ep.7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iDk9r2x9B7Q, width=100%)]}}} || ||'''이경수{{{-2 ([[엔진박|{{{#fff 엔진박}}}]] 역)}}}'''||}}}}}}}}}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ep.8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DTmLw9nO80U, width=100%)]}}} || ||'''손샛별{{{-2 ([[조발레|{{{#fff 조발레}}}]], [[심기사|{{{#fff 심기사}}}]] 역)}}}'''||}}}}}}}}}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ep.9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PChbmf245uk, width=100%)]}}} || ||'''설재근{{{-2 ([[또봇 ZERO|{{{#fff 또봇 ZERO}}}]] 역)}}}'''||}}}}}}}}}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ep.10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JPh-LCinC2Q, width=100%)]}}} || ||'''우설리{{{-2 (아나운서 역)}}}'''||}}}}}}}}} || == 기타 == * 정식 명칭 공개 전 가제는 '''뉴또봇'''[* [[한국콘텐츠진흥원]] 라인업 및 완구 안전인증에서의 표기.]과 '''또봇 2023'''[* 공식 정보 공개 당시 표기.]으로 혼용되었다가, '''또봇: [[대도시(변신자동차 또봇)|대도시]]의 영웅들'''이라는 제목으로 확정됐다. 그러나 부제가 길다보니 가제로 부르는 사람이 대부분이며 공식에서도 밀어주는 중. * 1화가 첫 방송되고 TVING 스트리밍이 시작될 당시 포스터에 티빙 온리 문구가 붙어 있었으나, 이후 네이버 시리즈온을 시작으로 다른 곳으로도 공개되자 해당 문구가 사라졌다. * [[독고오공]] 성우을 맡았던 [[CRAVITY]]의 [[원진]]이 본작에 대해 언급했다.[[https://twitter.com/CRAVITY_twt/status/1615961906732466176|#]] 이후 2023년 3월 3일 또봇 공식채널에 원진의 [[https://youtu.be/EApdgbhtsN4|응원 메시지 영상]]이 공개됐다. 이후 본편에서 [[또봇 쎈]]을 맡게 됐다. * [[변신자동차 또봇|전작]]과는 달리 주제가 및 삽입곡의 음원이 정식 발매되었다. [[https://www.facebook.com/youngtoysforall/posts/pfbid0ZrcFZ6t5AtieqYY8qEtANtHuBuBW1eh3QqNbwupmCevpWLd9txmXQjabqY5v4upsl|#]][* 전작 19기의 GO! 또봇 이후의 시리즈 주제가들은 정식 발매되었다.] * 1화 방영 당시 논란이 된 부분이 있는데, 방영 전날까지만 해도 금요일 4시에 방영한다고 홍보가 되었으나, 실제 방영 시간은 3시 55분이었다. 이 탓에 4시에 맞춰 채널을 튼 팬들은 1화의 절반 가까이 시청하지 못하는 불상사가 벌어졌다. 방영사 측에서 시간 조율에 있어 실수를 한 것으로 보이며, 이후 방영회차들은 4시 정각에 방영된다. * 1화 첫방송 이후 며칠간 유튜브에 개인 다수가 불법으로 풀 에피소드를 올리는 일들이 계속해 일어났었다. 시리즈의 많은 팬들이 이를 비판했고, 이 사건의 여파인지 2화부터는 불법 업로드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라는 결말이였으면 좋겠지만 여전히 불법 업로드가 판을 치고 있다. * [[https://youtu.be/Kqf5jDfoFFs?t=307|2화에서 한수가 보는 과거 또봇 영상]]은 [[변신자동차 또봇]] 11기 중 [[https://youtu.be/szj39FPQFUs?t=1944|X, Y&Z가 말다툼을 하는 모션]]을 재사용한 것이다. * 2023년 3월 6일 토이메거진에서 [[이달]] 감독의 [[https://blog.naver.com/kotoys/223036020392|인터뷰]]가 공개되었다. * 현재 본작이 방영되고 있는 것과 별개로 [[http://tobot.youngtoys.com/m/kor/index.do|또봇 공식 홈페이지]]는 2023년 3월 26일 기준 방영된지 1달이 지나고 완구까지 팔리고 있는 상황임에도 여전히 [[또봇 V]]가 메인으로 나와 있는 모습을 유지하고 있다. 사실상 종영 이후 사이트를 방치하는 중이다.[* 다만 이는 아직 해외에선 또봇 V가 방영되고 있는 탓도 있다. 이후 또봇: 대도시의 영웅들이 해외 방영을 시작하면 업데이트될듯.] == 둘러보기 틀 == [include(틀:또봇 시리즈)]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또봇: 대도시의 영웅들/평가, version=94)] [[분류:또봇: 대도시의 영웅들]][[분류:한국 애니메이션/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