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변신자동차 또봇/등장인물)] ||<-3> '''{{{+3 {{{#!html또봇 기가세븐}}}}}}[br]{{{#!htmlTobot Giga 7}}}''' || ||<-3>{{{#!wiki style="margin:-6px -10px" [[파일:(2)기가세븐.png|width=100%]]}}} || >'''"하늘아래 존귀한, 기가세븐이 왔도다!"''' [목차] == 개요 == ||<-6> {{{#!wiki style="margin:-6px -10px" [[파일:또봇 기가세븐 합체 색 변경.gif|width=100%]]}}} || ||<|2><#FF6D18> '''[[또봇 X#어드벤처 모드|{{{#000 또봇 어드벤처 X}}}]]''' || '''[[또봇 Y#어드벤처 모드|{{{#fff 또봇 어드벤처 Y}}}]]''' ||<|2> '''[[또봇 D|{{{#000 또봇 D}}}]]''' || || '''[[또봇 테라클|{{{#9F441C 또봇 테라클}}}]]''' || ||<#00F058> '''[[또봇 Z#어드벤처 모드|{{{#4E4E4E 또봇 어드벤처 Z}}}]]''' || '''[[또봇 태권K|{{{#9F441C 또봇 태권K}}}]]''' || '''[[또봇 카고|{{{#red 또봇 카고}}}]]''' || >'''또봇! [[차하나|X!]] [[차두리(변신자동차 또봇)|Y!]] [[권세모|Z!]] [[주딩요|D!]] [[국수호|K!]] [[김녹원(변신자동차 또봇)|테라클!]] [[우표돌|카고!]] 기가세븐, 인티그레이션!''' [[또봇 탐험대]] 19기에 등장하는 합체 로봇. [[또봇 X#어드벤처 모드|어드벤처 X]], [[또봇 Y#어드벤처 모드|어드벤처 Y]], [[또봇 Z#어드벤처 모드|어드벤처 Z]], [[또봇 D|D]], [[또봇 태권K|태권K]], [[또봇 카고|카고]], [[또봇 테라클|테라클]] 7체의 또봇이 전부 합체한 [[또봇]]이다.[* D를 제외하면 모두 어드벤처 또봇이다.] 성우는 [[이현(성우)|이현]].[* [[이사팔]]의 성우이기도 해서 처음 이사팔과의 대결은 사실상 자문자답이다. 하지만 연기 결과가 다르기에 위화감은 없다. 합체 구성원 중에서는 K의 성우이기도 하다.] 역대 합체 [[또봇]] 중 가장 크고 강하다. 중세 [[기사(역사)|기사]]와 같은 외모에 셰익스피어 비극의 주인공과 같은 말투가 특징. 모티브는 전술했듯 [[기사(역사)|기사]]. 어투는 어미에 '-도다!'로, 중세 시대의 귀족~기사들이 쓰는 고풍스런 말투이다.[* 말하는 방식에서 조금 더 자유로운 연출을 했다면 어미에 '-노라'도 붙이거나 아니면 완전한 사극형 말투를 구사했을 듯하다. 참고로 -'노라'를 붙인 어미는 기가세븐 DX 완구에서 음성 기믹으로 구현된 바 있다.] 또한 머리 디자인의 경우 마치 [[가오 머슬|구시대 로봇]]을 오마주 한 듯이 리벳이 있다. 그리고 사실상 마지막 등장이었던 19.5기에서 합체 또봇으로서의 마무리를 잘한 사실상 유일한 합체 또봇이다.[* 타이탄은 11기에 까매봇이 뿌린 연막을 제거하기 위해 폭풍스핀 한번 날리고 끝, 트라이탄은 왕지네봇의 공격에 리타이어한 것으로 끝, 델타트론은 그나마 요새봇의 공격에 분리하긴 했지만 이후로 미등장, 쿼트란은 결정적으로는 몸통과 머리이자 코어담당인 W가 강탈당한 탓에 15기에선 매직봇 앞에서 위엄을 보여준 이후에는 싸우지도 못하고 리타이어를 당했다.] 테라클이 흉부와 두부를, 어드벤처 X가 오른팔을, D가 왼팔을, 어드벤처 Z가 오른다리를, K가 사타구니를, 카고가 왼다리를, 어드벤처 Y가 등의 기가 부스터를 맡는다. 여기서 어드벤처 Y의 발판과 로터 등 일부 잉여 부품은 [[레이저비크|기가 팔콘]]으로 새로 합체하는 뜻밖의 아이디어를 보였다.[* 물론 그래도 프로펠러가 잉여 부품으로 남는다. 다만 완구에서는 이 프로펠러도 활용한다. 자세한 사항은 후술할 완구 항목 참조.] 합체 구성원 중 태권 K, 카고, 테라클로서는 첫 합체이며[* 하지만 변신자동차 또봇의 마지막 합체 또봇이라 처음이자 마지막 합체라고 봐도 무방하다.], Y로선 [[또봇 트라이탄]] 이후로 모처럼만의 합체인 셈이다.[* 색상도 트라이탄때처럼 빨간색으로 바뀐다.] 19기의 주적인 [[닥터 M]]이 만든 거대 요새인 [[요새봇]]에 대항하기 위해 닐리리에 있는 홀로 섬의 변신 로봇 연구소장인 '[[변신자동차 또봇/등장인물#신중한|신중한]]'의 주도로 개발되었다.[* [[흠좀무]]한건, [[또봇]]을 처음 본 순간부터 기가세븐을 구상했다고 했는데, 카고와 테라클이 정식으로 등장한 18기 마지막 전투 이후로 '''최대 한달 안에 7단합체 구조를 구상한 것이 된다.'''] == 전투력 == 역대 최다 합체인 7단 합체답게 성능은 역대 또봇 중에서 최강이다. 어드벤처 Y가 통째로 등의 부스터로 합체하여 합체 또봇 최초로 비행 능력을 가졌으며[* 트라이탄도 등에 추진기가 달려있기는 하지만 어디까지나 점프 보조용일 뿐이기에 호버링하거나 공중에서 방향을 바꾸는 등 자유로운 비행을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애당초 그게 가능했으면 W를 개발할 이유도, 랩터봇과의 1차전에서 고전할 일도 없었을 것이다.], 이 능력을 살려서 몸집이 거대한데도 자유롭고 역동적인 움직임을 보인다. 파워도 7대가 합체한 만큼 몸빵으로도 적을 날려버릴 정도로 막강하다. 심지어 팔만 대충 휘둘러도 펀치봇 이상의 전투력을 지닌 헌터봇 수마리를 대사에서 말한것 마냥 정말로 낙엽처럼 날려버릴 정도. 7대가 합체해서 쿼트란처럼 민첩성이 떨어지는가 하면 그것도 아닌게 비행하지 않는 상태로도 [[요새봇]]의 공격을 종횡무진 피하는 것은 물론 점프 한번으로 끊어진 다리 너머에서 후퇴 중이던 헌터봇들의 앞에 착지해 길을 가로막기도 했다. 내구력도 경이적인 수준이라 기가세븐 스페셜에서 자폭하는 [[요새봇]]을 하늘로 들고 날아갔음에도 아무 손상 없이 멀쩡하게 돌아왔다. 참고로 이때 나오는 BGM이 5기에서 트라이탄의 희생 BGM으로 유명한 [[https://youtu.be/u2KyBkmHgKQ|Definition]]이다. 기가세븐의 강력함을 어필할 겸 오마주인 듯. 또한 마인드 파워가 충분할 때는 몸에 광채가 나며 이때의 기가세븐은 자신의 파워를 100%, 혹은 그 이상까지도 발휘한다. 하지만 그렇다고 마냥 장점만 있지는 않다. 2단 합체인 타이탄, 3단 합체인 트라이탄, 델타트론, 4단 합체인 쿼트란과 달리 무려 7대나 합체해야 하기에 조종이 복잡하여 파일럿 7명이 [[쪼꼬 베이스]]에서 원격으로 조종을 실행해야 한다. 즉, 쪼꼬 베이스가 없으면 합체해도 조종하기가 매우 어려워진다. 게다가 7명의 파일럿의 마음이 정확히 일치해야 하는만큼 다른 합체 또봇보다 조종하기가 까다로운 편이다.[* 이 문제는 3단 합체인 트라이탄까지는 괜찮았지만 4단 합체인 쿼트란 때부터 부각된 문제점이다. 때문에 쿼트란은 리더를 정함으로서 컨트롤을 사실상 한 명에게 집중하였지만 기가 세븐은 어째서인지 따로 리더를 정하는 등의 의견 통합을 사전에 하지 않았다. 일단 작중 묘사로는 동시에 조종을 하되, 상황 판단이 빠른 한 명이 세부적인 지시를 해서 미리 의견을 맞춘 뒤에 조종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주로 하나가 그 역할을 도맡는 편.] 또한 또봇 7대 분의 파워를 지닌 기가세븐이 너무 강한 것도 문제다. 기본기인 소울 블레이드조차 어지간한 로봇은 물론 건물 크기만한 [[요새봇]]의 팔도 일도양단하는 만큼 강력한데 혹여나 빗나가거나 상대를 뚫고 지나가는 오버킬이라도 일어나는 날에는 지켜야할 주변 기물이나 시민에게 어마어마한 피해를 주게 되며 특히 필살기인 플레임 스트라이크나 페이탈 그래비티는 자칫 주변을 초토화시킬 수도 있다.[* 실제로 기가세븐이 댐 위에 있는 [[요새봇]]에게 소울 블레이드를 시전했는데 이게 [[요새봇]]을 뚫고 댐까지 날아가는 바람에 하마터면 기가세븐이 댐을 박살낼 뻔했다.] 작중에서 기가세븐이 치룬 전투가 시골인 닐리리에서 벌어졌기에 부각되지 않았지 만약 트라이탄이나 쿼트란처럼 대도시에서 싸웠다면 이는 간과하기 어려운 사항이다.[* 다른 합체 또봇인 트라이탄, 쿼트란, 델타트론의 필살기인 슈퍼 콤보, 용광로, 챔프 피니쉬는 근접 공격이기 때문에 빗나가도 별 문제가 없다. 그 밖에 원거리 공격조차 대부분이 구속 계통(스파이더 건, 아이스 건)이거나 물리적인 파괴력은 거의 없는 공격(썬더 파워, 워터 캐논)이다. 그나마 파괴력을 지닌 공격은 오리지널 X의 그린 에너지탄, C의 하이퍼 복스, 마하W의 아이스 그리네이드인데 그린 에너지탄은 탄속이 워낙 빨라 막아낸 적은 있어도 피한 경우는 없으며 하이퍼 복스는 직접적인 데미지를 주기보다는 진동을 통해 피격 대상을 내부에서부터 서서히 박살내는 원리라 빗나가도 바로 해제하면 그나마 피해를 최소화할 수는 있다.] 외전 [[애슬론 또봇]]의 같은 포지션인 [[마그마 식스]]가 기술의 파괴력은 기가세븐과 엇비슷하면서도 도시 한복판에서 주변에 피해없이 [[칠키]]를 쓰러뜨린 것과는 대조적.[* 물론 요새봇과 비교하면 칠키의 전투 성능은 현저히 떨어지지만 [[애슬론 챔피언|챔피언]]을 광선 한번으로 제어불능 상태로 만들 만큼 화력만큼은 위협적이었다.] == 기술 목록 == 기술 시전 후 대사는 '-슬프도다!'라고 마무리짓는다. * '''소울 블레이드''' >'''"그대의 가슴에 깊은 상처를 남기나니, 슬프도다!"''' 양팔을 X자로 교차하면서 [[참격]]을 날리는 공격기. 한 팔로도 날릴 수 있다. * '''기가 팔콘''' [[파일:또봇 기가세븐 기가팔콘.png|width=400]] >'''"그대의 마음을 받아줄 수가 없구나, 슬프도다!"''' Y의 부품으로 합체한 전용 서포트 메카인 '''기가 팔콘'''을 [[킹 제이더|제이 쿼스]]처럼 자유롭게 원격 조종해 적의 공격을 방어한다.[* 기가 팔콘으로 공격기술을 쓰지않았기 때문에 기가 팔콘은 기가세븐의 방패같은 존재라고 할 수 있다.] * '''윈드 버스터''' 등의 기가 부스터로 하늘을 높이 나는 비행 기술. * '''플레임 스트라이크''' >'''"불꽃처럼 타오르다 덧없이 사라질 그대여, 슬프도다!"''' >------- >'''"모두 물럿거라!"''' - 풀 파워시 [[에네르기파|양 팔의 푸른 화염 에너지를 모아 단번에 발사]]하는 에너지 화염포. 연습 부족으로 페이탈 그래비티를 쓰지 못했던 19기에서는 이 기술을 페이탈 그래비티 대신 사용했다. 이 공격에 적중한 [[요새봇]]이 잠깐 동안 전투 불능이 되었던 것으로 보아 페이탈 그래비티와 비슷하거나 살짝 아래급의 기술일 듯하다. * '''페이탈 그래비티''' >'''"그대의 소망은 먼지가 되어 사라지니, 슬프도다..."''' - 기술 시전에 성공시 >------- >'''"하나된 마음이여야 하거늘... 슬프도다..."''' / '''"아직도 하나가 되질 못했구나. 슬프도다..."''' - 기술 시전에 실패시 [[원기옥|양팔을 위로 모아 에너지를 보낸뒤 태양형태의 구체를 던지는]] 기가 세븐의 필살기. 단점은 마음을 하나로 맞추지 않으면 제대로 나오지 않는다.[* 다만, 실패한다고 트라이탄 슈퍼 콤보처럼 합체까지 해제되지는 않는다.] 기술 시전 시 기가 팔콘이 기가 세븐 등의 기가 부스터에 붙게 된다[* 단, 완구에서는 기가 팔콘이 부스터에 붙을만한 공간이 없기에 불가능하다.]. 그야말로 기가 세븐의 [[眞]] 필살기다. == 어록 == >'''"하늘아래 존귀한, 기가세븐이 왔도다!"'''[* 기가세븐의 합체 완료 구호이자 첫 대사.] >'''"기가세븐의 앞길을 막는 자, 그 누가 있겠는가?"''' >'''"그대와는 더 이상 마주할 수 없구나. 슬프도다...!"'''[* 요새봇을 댐 밑으로 몰아넣고 떠내려가게 한 뒤, 승리를 장담하면서 한 대사.] >'''"기가세븐의 길을 막는자. 낙엽처럼 스러질지니! 슬프도다."'''[* 기가세븐 데뷔전의 승리대사.] >'''"물렀거라! 용의 기운이, 솟아나는도다!!!"'''[* 자폭하는 요새봇을 들고 우주로 날아오르면서 한 대사.] >[[또봇 트라이탄|'''"그대들이 믿어주는 한, 난 언제나 그대들 곁에 있을지니, 기쁘도다!"''']][* 자폭하는 요새봇을 저지하고 돌아온 후 파일럿들에게 말한 대사. 단, 이 대사가 기가세븐에게 있어서는 사실상 마지막 대사였다.] == 완구 == === 7단 합체 기가세븐 === [[https://www.youtube.com/watch?v=gSWOd6cOPE8&feature=player_detailpage|예상보다 빨리 완구가 발매되었다.]][* 가격은 [[헬로 카봇]]의 [[카봇 스톰 #s-1.1|현대차 디자인의 펜타스톰 일반판]]과 동일한 12만원.] 완구에서는 어드벤처 Y의 로터 부분을 수리검형 무기로 구현했다.[* 이 로터 무기는 작중에서 써먹은 적이 없다. 또한 이 무기가 소울 블레이드 자체의 초기설정인 듯 했지만, 극중에서 나온 소울 블레이드는 그냥 양 팔에 에너지를 모아 X자 형태로 손을 교차하면서 참격을 날리는 형식으로 나왔다.] 그리고 특정 버튼을 누르면 기가세븐의 대사가 출력되는 기믹도 있다(물론 기믹 특성상 건전지가 필요하다. 기종은 LR44 수은 전지이며, 테라클 파츠에 3개 들어간다.).[* 기본적으론 기가세븐의 등장 대사와 기술명, 그리고 기술 쓴 후에 남기는 코멘트가 있으며, 대사 출력 버튼은 테라클에게 있다. 단, 배터리 교환 방식이라 방전되면 교체해야 한다. 그리고 기가세븐의 대사 출력은 기본적으로 랜덤이지만, 그 랜덤 대사 중 처음 누를 때 기술명을 얘기하고 다시 버튼을 누르면 십중팔구 그 직후에 나오는 대사를 한다.] 단점은 태권 K에 해당하는 부분인 허리의 허벅지 관절이 본체의 무게를 이기지 못할 정도로 약한 편이다. 그래서 자주 꺾여져서 뒤로 넘어지기가 쉬운 편이다.[* 2021년에 판매한 재판 완구는 덜하지만, 그래도 태권 K 파츠를 다룰 때 주의해야 하는 점은 여전하다.] 그 외에 DX 완구에는 작은 박스가 하나 더 있는데, 이것은 잉여 부품(대표적으로 또키)들을 보관하는 역할을 한다.[* 단, 기가세븐 초판 완구에는 없었던 걸로 추정되며, 현재는 또봇 V의 합체 세트(마스터 V 6단, 기간트세이버, 킹포트란 등)에도 이 박스를 동봉해서 판매하고 있다.] 완구에서의 휠은 Z, D, 카고가 애니메이션의 X의 휠과 중복이다.[* 어드벤처 X 또한 개별완구의 휠과 애니메이션의 휠 디자인이 다르다.] 또한 각 차들의 크기가 극중과 다른데, 극중에선 테라클이 카고와 비슷한 크기인데 완구에선 테라클과 Y의 크기를 키우고 K를 제외한 나머지 또봇들을 줄여서 크기 차이가 심하다. 물론 합체용 완구인 만큼 어쩔 수 없는 일. 대신 기가세븐으로 합체한 상태에선 또봇 시리즈 전체의 합체 또봇들 중 가장 크며, 특히 V의 마스터 V 6단 세트도 키에선 기가세븐보다 작다. 그리고 2021년 7월에 정식으로 재판매가 이루어졌다. [[https://youtu.be/mek7MGiDE7M|미국 리뷰어 리뷰]] 이후 중국에서도 기가세븐을 발매한 바 있지만, 이쪽은 기아의 라이센스 기간이 끝난 후에 나온 터라 기존 기아차 디자인을 했던 X, D, Z, 카고의 모양이 조금 다르게 되었다.[* 특히 X의 경우 에볼루션 버전과 거의 비슷하게 나왔다.] 이하 내용은 기가세븐 DX 완구에서만 나오는 전용 대사다. >'''"나의 임무는 그대들과 대도시를 지키는 것이로다!"''' >'''"기가세븐 만큼 강한 자가 있겠는가?"''' >'''"대도시의 평화를 방해하는 자, 용서하지 않겠도다!"''' >'''"나는 매우 자비롭도다!"''' >'''"기가세븐의 위대한 공격을 보여주마!"''' >'''"다음에는 더 강한 모습으로 다시 만나자꾸나!"''' >'''"그대들에게 승리의 기쁨을 전하노라!"''' >'''"파일럿들이여, 응답하길 바라노라."''' ==== 블랙 에디션 ==== === MINI 기가세븐 === 2021년 7월에 정식으로 출시되었다.[* 차이점은 설명서 내용이 영어에서 한글로 수정되었고, 카고가 또봇 V로 표시된 것에 대해 이건 또봇 카고의 해외 수출명이라고 부연 설명을 추가한 것이 핵심이다.] 디럭스랑 비교시 음성 기믹 삭제 및 일부 가동 관절이 없어지긴 했지만, 디럭스와 달리 하반신의 태권 K에 붙는 카고와 Z의 결합력이 안정적으로 적용된 것이 특징. ==== MINI 기가세븐 블랙 에디션 ==== 2022년 9월에 출시한 미니 기가세븐의 색 변경판.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또봇, version=875)] [[분류:변신자동차 또봇/등장 메카]][[분류:또봇]][[분류:합체 또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