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 {{{+1 떡붕어}}}[br]Japanese white crucian carp}}}'''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떡붕어(어류).jpg|width=100%]]}}} || || [[학명|{{{#000 '''학명'''}}}]] || ''' ''Carassius cuvieri'' '''[br]Temminck & Schlegel, 1846 || ||<-2> {{{#000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척삭동물문]](Chordata) ||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조기어강]](Actinopterygii) ||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잉어목(Cypriniformes) ||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잉어과(Cyprinidae) ||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붕어속(''Carassius'') || ||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떡붕어(''C. cuvieri'')'''|| 학명: Carassius cuvieri 영어: Japanese (white) crucian carp 일본어: 源五郎鮒 / ゲンゴロウブナ [목차] [clearfix] == 개요 == 잉어목 잉어과의 민물고기. 일본 원산의 '''외래종'''이다. == 특징 == 성체의 경우 토종 [[붕어]]보다 조금 더 큰 50cm까지 자라며, 외형상 토종 붕어와 비슷하게 생겼지만 등이 높게 굽어있는 모양이며 몸뚱이가 더 넓어 구분하기는 쉽다. 원래는 [[일본]] [[비와호]]에 서식하는 일본의 토종어류였으나, [[1972년]]에 [[베어 그릴스|좋은 단백질 공급원]]으로 각광을 받고 도입된 외래어종이다. 하지만 과거에 너무 무차별적으로 들여온 외래 어종들이 대체로 생태계에 문제를 일으켰던 것과 비슷하게 떡붕어 역시 토종붕어보다 번식력도 강하고 환경에 적응도 잘 하는 탓에 오히려 토종 붕어가 위협을 받을 정도가 되어서 전형적인 외래어종 도입의 부작용 사례로 손꼽히기도 한다. 사실상 이 바닥의 원조급. 더군다나 같은 잉어과에 속하는 근연종이라서 다른 외래어종처럼 토종 붕어의 서식지를 밀어내는 문제보다 토종 붕어와 자연 교잡종이 생겨나는 탓에 토종 붕어의 개체수가 크게 줄어드는 심각한 상황[* 종간 잡종은 대개 2대째는 번식이 안 되기 때문이다. 잉어와의 자연 종간 잡종인 잉붕어란 것도 있다.]을 초래하기도 했고, 이 문제는 [[현재진행형]]이다. 낚은 것을 가져다 먹는 사람이 꽤 있는 토종 붕어와 달리 얘는 맛도 떨어지고 잡고기 취급하는 탓에 [[낚시]]로 잡아도 바로 [[방생]]해 버린다는 것도 떡붕어가 늘어난 데 어느 정도 도움이 되었을 것이다. 그래도 하도 흔하다보니 어쨌든 음식점에선 높은 확률로 이걸 요리에 쓴다고 한다. 그리고 단단한 배갑과 복갑 때문에 성체 한정으로 인간을 제외한 천적이 없다시피 한 [[붉은귀거북]], [[중국줄무늬목거북]] 등의 외래종 거북류[* 심지어 이쪽은 한국에서 식재료로 쓰이는 일이 사실상 없다시피 하며, 기껏해야 몇몇 유튜버들이 일부러 잡아서 먹는 경우가 전부다.]와 달리, 이쪽은 인간 외에도 물새([[왜가리]], [[백로]], [[해오라기]], [[민물가마우지]] 등), [[맹금류]]([[물수리]] 등), [[수생곤충]]([[물방개]], [[게아재비]], [[장구애비]] 등), [[가물치]], [[수달]] 등의 천적이 존재한다. 떡붕어의 경우 [[월척]]을 넘겨도 월척으로 쳐 주지 않는다.[* 토종 외에는 무조건 월척으로 안 쳐 준다. 비슷한 잉어쪽 교잡종인 잉붕어(=향붕어)도 마찬가지다.] 붕어찜이나 [[매운탕]] 같은 요리를 할 경우에 식감이나 맛도 토종에 비해 한끗 떨어지기 때문에 민물요리를 좋아하는 낚시꾼들은 그닥 반기지 않는 어종. 하지만 한편으로는 월척, 식용으로 안 쳐 줄 뿐이지 떡붕어를 대상어로 하는 전층 낚시도 국내에 보급되어 있는 편이며, 아예 고기로 쳐 주지도 않던 과거와 달리 낚시 전문 잡지에서도 잡는 방법이나 조황, 대어 잡은 낚시인을 소개해 주는 등 요즈음은 대접이 많이 좋아졌다. 일본에서는 최고의 게임 피시로 각광받고 있기도 하다. 여담으로 [[미야베 미유키]]의 에도 시대물 시리즈 중 '하루살이 上' 편에서 떡붕어에 관한 언급이 스쳐지나가듯 나온다. [[http://blog.yes24.com/blog/blogMain.aspx?blogid=superglue&artSeqNo=7307105|양념을 발라 구워내는 떡붕어 요리]][* 언급상 생으로 말린 걸 양념장 바르고 구워낸다고 하는데 정작 구글링해서 검색해보면 [[후나즈시]](붕어초밥)에 관한 글은 있어도 붕어구이에 관한 일본 쪽 글은 찾아볼 수가 없다. 다만 붕어구이는 이를 의미하는 한자어도 있긴 하니 붕어나 떡붕어가 구워먹기가 아주 불가능한 생선은 아니긴 하다. --먹기 더럽게 불편하니 그러지.--]에 대한 언급에서 나온다. [[분류:붕어속]][[분류:생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