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민주당(미국) 2024년 대통령 선거 경선 후보)] ||<-2>
{{{#white '''미합중국 제116-118대 연방 하원의원[br]{{{+1 딘 벤슨 필립스}}}[br]Dean Benson Philips'''}}}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ean_Phillips_117th head shot_medium.jpg|width=100%]]}}} || ||<|2> '''출생''' ||[[1969년]] [[1월 20일]] ([age(1969-01-20)]세) || ||[[미국]] [[미네소타|미네소타주]] [[세인트폴]] || || '''출생명''' ||딘 벤슨 페퍼[br]Dean Benson Pfefer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학력''' ||[[브라운 대학교]] {{{-2 (경제학 / [[학사|B.S]])}}}[br][[미네소타 대학교]] 세인트폴 {{{-2 (경영학 / [[MBA]])}}} || || '''정당''' ||[include(틀:민주당(미국))] ([include(틀:미네소타 민주농민노동당)]) || || '''경력''' ||연방하원의원 {{{-2 (2019~ / 미네소타 제3선거구)}}} || [clearfix] [목차] == 개요 == 미국의 정치인. 현재 미네소타 3구의 연방하원의원이다. [[2024년 미국 대통령 선거]] [[2024년 미국 민주당 대통령 후보 경선| 민주당 경선]]에서 현직 대통령 [[조 바이든]]에게 도전하기 위해 대선 출마를 선언했다. 의회에서는 [[신민주연합]]과 [[문제 해결 코커스]] 소속인만큼 상당히 온건한 성향을 지니고 있으며, 매우 부유한 것으로 알려져있다. == 생애 == === 정계 입문 === [[2018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2018년 미국 중간선거]]를 앞두고 미네소타 3구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민주당 경선에서 콜 영을 상대로 81.6% 득표율로 승리해 본선에 진출한 필립스는 지역구 6선의 [[공화당(미국)|공화당]] 소속 [[에릭 폴슨]]과 맞대결을 펼치게 됐다. 민주당에서는 1961년 이후 3구에서 승리한 적이 없었고, 2년전 선거에서도 에릭 폴슨 하원의원이 56.9%로 승리를 거둔 바 있었다. [[미니애폴리스]]를 둘러싼 교외 선거구로 구성되어 있었는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반감으로 교외 지역 유권자 표심이 민주당 쪽으로 쏠린 블루 웨이브(Blue Wave)의 흐름을 타고 55.6% 득표율로 공화당의 폴슨을 꺾고 무려 58년만에 선거구를 탈환하는 주인공이 되었다. === [[2024년 미국 대통령 선거]] === 2023년 10월 26일, 전격적으로 대통령 선거 출마를 선언하면서 민주당 경선 레이스에 합류했다. [[로버트 F. 케네디 주니어]] 등 특이한 후보들을 제외한 현직 선출직 정치인 중에는 바이든 대통령에게 도전한 민주당 내 첫번째 정치인이다. 계속해서 출마 의사를 저울질하고 있긴 했는데 연초에는 대선 경선 합류 의사를 밝혔다가, 8월 중순에는 출마 의사를 철회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던 바 있다. 이후 다른 의원들에게 당내 경선에 참여할 것을 촉구했지만 아무도 후보로 등록하지 않자 본인이 직접 나서게된 것. 사실 10월 2일, 당직(하원 정책통신위원회 의장)에서 물러나면서 출마가 유력시되기는 했다. 대선 레이스 합류가 상당히 늦었기 때문에, [[네바다주|네바다]]에서 진행되는 경선에는 참여할 수 없게 되었다. 경선이 조기에 시행하는 주 경선 투표지에 늦지 않게 이름을 올릴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것이 첫번째 과제다. 한편 바이든 대통령이 [[뉴햄프셔]] 프라이머리 순서를 [[사우스캐롤라이나]] 뒤로 미루고, 뉴햄프셔에서는 이에 반발하여 중앙당의 허락 없이 프라이머리 일정을 독단적으로 앞당기면서 뉴햄프셔에 관심이 쏠리게 되었다. 뉴햄프셔에 대한 징계의 의미로 바이든 대통령이 뉴햄프셔 프라이머리를 거부할 가능성이 높은 가운데, 필립스가 뉴햄프셔에 공을 들이기 시작했다. 바이든 지지자들은 이를 경계하여 바이든 기명투표(write-in) 캠페인을 시작하기도 했다. 그러다보니 민주당 내부에서 비판의 목소리가 당장 터져나왔는데 사우스캐롤라이나 민주당을 대표하는 정치인이자 바이든의 가장 강력한 우군인 [[짐 클라이번]]이 인종적 다양성과 유색인종을 위한 민주당 중앙당의 결정[* [[사우스캐롤라이나]] 프라이머리를 [[뉴햄프셔]] 프라이머리보다 앞에 진행하려고 한 결정을 뜻한다.]을 무시하는 처사라고 날을 세웠고, [[캐서린 코테즈 매스토]]도 네바다를 패스한 후보는 본선에 갈 수 없을 것이라고 비판했다. 2023년 11월 2일, 캠페인 출범 이후 첫 여론조사에서 [[메리앤 윌리엄슨]]에도 뒤쳐지는 6%에 그쳤다.[[https://thehill.com/homenews/campaign/4289406-phillips-trailing-williamson-in-new-poll/|#]] 자신의 선거 캠페인을 이끌어갈 관리자로 공화당 출신으로 2008년 대선 당시 [[존 매케인]] 캠프에서 일했던 스티브 슈미트(Steve Schmidt)를 선택했다.[* [[2012년]] 영화 <[[게임 체인지]]>에서 [[우디 해럴슨]]이 연기했던 인물로 유명하다. 스티븐 슈미트는 <[[MSNBC]]> 와의 인터뷰에서 해당 영화가 당시 상황을 잘 표현했다며 극찬했다.[[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69433|#]]] 민주당 현직 대통령에게 도전하는 입장이다보니 민주당 내에서는 자신을 도울만한 선거 전문가를 찾기 어려운 상황인 점이 반영 된 것으로 보인다.[[https://abcnews.go.com/538/curious-case-dean-phillipss-minute-primary-challenge/story?id=104482909|#]] == 둘러보기 == [include(틀:미국 제117대 하원의원)] [include(틀:미국 제118대 하원의원)] [[분류:1969년 출생]][[분류:세인트폴 출신 인물]][[분류:미국의 남성 정치인]][[분류:개명한 인물]][[분류:기업인 출신 정치인]][[분류:브라운 대학교 출신]][[분류:미네소타 대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