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딕손 시기.png]] [[파일:딕손 시장.png|width=100]] || ||||<:>'''딕손'''[br]Диксон || || 설립 || 1915년 || || 인구 || 319 (2021) || || 상위 행정 구역 || [[파일:크라스노야르스크 지방 기.svg|width=25]] [[크라스노야르스크 #s-2|크라스노야르스크 변경주]] || || 국가 || [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 || || 좌표 || 북위 73°30′30″, 동경 80°31′28″ || || 시간대 || UTC+7 || || 전화번호 || +7 39152 || || 우편번호 || 647340, 647341 || || 사이트 || [[https://dikson-taimyr.ru]][* https://를 빼야 접속된다.] || ||<-2>[include(틀:지도, 장소=Диксон)]|| == 개요 == 러시아 [[크라스노야르스크 #s-2|크라스노야르스크 변경주]] [[타이미르 반도]] 최북단 해안에 위치한 도시형 주거지(Посёлок городского типа)로, 엄밀히는 도시로 분류되지는 않으며 세계에서 가장 북쪽에 위치한 도시형 주거지로 알려져 있다. 또한 카라 해에 위치한 러시아에서 가장 북단에 위치한 [[항구]]이며 세계 최북단 정착촌이다. 도시의 이름인 딕손은 19세기 말 세계 최초로 북극 북동항로를 완주한 사람인 [[스웨덴]] 탐험가 닐스 아돌프 에릭 노르덴시욀드(Nils Adolf Erik Nordenskiöld)의 탐험 당시 이곳을 방문한 [[스웨덴]] 상인의 이름인 오스카르 딕손에서 따왔다고 한다. 인구는 2010년 센서스 기준 676명이었으나 2021년 조사에서는 절반이 넘게 감소한 319명으로 기록되었다. 다른 북극권 도시들과 다르지 않게 폐건물들이 꽤 많아 음산한 분위기를 풍긴다. 현지인들에 따르면 [[북극]]의 [[수도]]라는 별명이 있다고 한다. 19세기 말 [[러시아 제국]] 정부의 북극 탐사 지원에 따라 [[예니세이 강]] 하구에 건설이 허가되었다. 그 후 [[방사선]] 기상 관측소와 지구물리학 관측소가 설립되었다. [[소련]] 시기 북극 개발 정책과 군사도시화로 한때 인구가 4,000명이 넘던 시기도 있었으나 지금은 10분의 1 정도로 줄었다. 기온은 위도에 비해서 생각보다는 춥지 않은 편이지만 한겨울 밤 기온은 물론 영하 몇십 도까지 내려가고, 늦겨울 낮에는 영하 10도 가량으로 꽤나 따뜻하다. 위도가 북위 73도이기 때문에 [[백야]]와 [[극야]] 현상이 발생하며 [[오로라]]도 자주 관찰된다. [[쾨펜의 기후 구분]] 기준 한대 툰드라 기후(ET)를 보인다. [[수능]] [[세계지리]] 과목을 공부한 적이 있다면 북극권 기후의 예시로 들어본 적이 있을 수도 있는 이름이다. [[분류:크라스노야르스크 지방]][[분류:러시아의 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