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디플로도쿠스)] ||<-2><#F60> '''{{{#FFF {{{+1 디플로도쿠스 할로룸}}}[br]Diplodocus hallorum}}}'''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920px-Dubai_Mall_Dinosaur.jpg|width=100%]]}}} || ||<#F93> '''학명''' || ''' ''Diplodocus hallorum'' '''[br]Gillette, 1991 || ||<-2><#F96> '''분류''' || ||<#FC6>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FC6>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척삭동물문]]^^Chordata^^|| ||<#FC6> {{{#000 '''계통군'''}}} ||[[석형류]]^^Sauropsida^^|| ||<#FC6>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용반목]]^^Saurischia^^|| ||<#FC6> '''아목''' ||†용각아목^^Sauropodomorpha^^ || ||<#FC6> '''하목''' ||†용각하목^^Sauropoda^^ || ||<#FC6> [[생물 분류 단계#과|{{{#000 '''상과'''}}}]] ||†디플로도쿠스상과^^Diplodocoidea^^ || ||<#FC6>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디플로도쿠스과^^Diplodocidae^^|| ||<#FC6>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디플로도쿠스아과^^Diplodocinae^^ || ||<#FC6>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디플로도쿠스|디플로도쿠스속]]^^Diplodocus^^ || ||<#FC6>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디플로도쿠스 할로룸(''D.hallorum'')'''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68.media.tumblr.com/tumblr_mxyxb0X8nj1rmeji6o1_1280.jpg|width=100%]]}}} || || [[팔레오아티스트]] 브라이언 프랑크작(Brian Franczak)의 작품.[* [[http://paleobiology.tumblr.com/post/72676072050/dryptosaurus-seismosaurus-by-brian-franczak|이미지 출처]]]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archosaurmusings.files.wordpress.com/seismo4b.gif|width=100%]]}}} || || [[팔레오아티스트]] 마크 할렛(Mark Hallett)의 작품.[* [[https://archosaurmusings.wordpress.com/2010/11/18/interview-with-mark-hallett/|이미지 출처]]] || [목차] == 개요 == [[쥐라기]] 후기 북미에서 서식한 [[용각류]] [[공룡]]의 일종. == 연구사 == 과거에는 '지진 도마뱀'이라는 뜻의 세이스모사우루스(''Seismosaurus'')라는 속명을 부여받은 독자적인 속으로 여겨졌고, 몸길이 40~52m에 몸무게는 무려 100t에 육박하는 지구 역사상 최대의 육상동물로 추정되었었다. 하지만 후속 연구가 진행되면서 기존에 측정했던 크기보다 작았다는 사실이 드러났으며 설상가상으로 근연속으로 여겨지던 [[디플로도쿠스]]보다도 긴 꼬리의 비율이 사실상 디플로도쿠스와 큰 차이가 없다는 것이 밝혀지면서 결국 2006년 디플로도쿠스속에 통합되는 방향으로 재분류되었다.[* Lucas, S.G.; Spielman, J.A.; Rinehart, L.A.; Heckert, A.B.; Herne, M.C.; Hunt, A.P.; Foster, J.R.; Sullivan, R.M. (2006). "Taxonomic status of Seismosaurus hallorum, a Late Jurassic sauropod dinosaur from New Mexico". In Foster, J.R.; Lucas, S.G. (eds.). Paleontology and Geology of the Upper Morrison Formation. Bulletin of the New Mexico Museum of Natural History and Science. New Mexico Museum of Natural History and Science (bulletin 36). pp. 149161.] 이후 추정치도 많이 줄어들어 현 학계에선 몸길이 33m에 몸무게는 25t으로 추정한다.[* Paul, Gregory S. (2016). Princeton Field Guide to Dinosaurs: 2nd Editi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ISBN 978-0-691-16766-4.] 디플로도쿠스속에 속하는 동물이 다 그렇듯이 길이에 비해 체중이 적게 나가는 편이다. 2015년에 이루어진 디플로도쿠스과 공룡들에 대한 연구에서는 기존에 디플로도쿠스 롱구스로 분류되었던 화석들을 이 종으로 다시 재분류한 상태다.[* Tschopp E, Mateus O, Benson RB. A specimen-level phylogenetic analysis and taxonomic revision of Diplodocidae (Dinosauria, Sauropoda). PeerJ. 2015;3:e857.] == 등장 매체 == 세이스모사우루스라는 이름으로 불리던 시절에는 '지진 도마뱀' 이라는 속명이 갖는 이미지 때문인지 여러 공룡 관련 매체에서 디플로도쿠스보다도 더 많이 등장하였다. * [[이융남]] 박사가 출간한 도서 [[공룡학자 이융남 박사의 공룡대탐험]]에선 세이스모사우루스라는 이름으로 나온다. 물론 저때는 세이스모사우루스가 별개의 종으로 여겨졌기 때문에 저렇게 나온 것. * 다큐멘터리 영화로는 Dinosaurs Alive!에서 출연하였는데 2007년 작품이라서 그런지 여기서도 세이스모사우루스라는 이름으로 나온다. * [[고대왕자 공룡킹|공룡킹 어드벤처]]에서는 [[파라사우롤로푸스|파라파라]]가 소환하는 스킬로 등장. 파라파라를 대신해 몸빵을 맡는다. [[수페르사우루스]]와의 대결 플래그가 서 있다. 슈퍼사우루스와 막상막하로 싸우다가 슈퍼사우루스에게 밀렸다. 또한, 공룡킹 어드벤처 게임에서는 슈퍼사우루스와의 협공기도 가지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한 애니메이션 1기에서 출연했다. * [[동물의 숲 시리즈]]에도 화석으로 등장했다. 다른 화석들은 많아야 파츠 3개로 나누어진 반면 이 녀석은 [[놀러오세요 동물의 숲]] 기준 네 파츠로 이루어져 있으며, [[튀어나와요 동물의 숲]]에서는 다섯 파츠, [[모여봐요 동물의 숲]]에서는 무려 여섯 파츠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모동숲에서 [[브라키오사우루스]]가 네 파츠짜리 화석으로 등장해서 이제 네 파츠 이상 나누어진 유일한 화석은 아니다.] 디플로도쿠스와 같은 속임이 밝혀진 후 나온 튀동숲에서는 영문판 한정으로 [[디플로도쿠스]]로 명칭이 바뀌었으며[* 일본어판과 한국어판에서는 세이스모사우루스라는 명칭이 유지되었다.], 모동숲에서는 일본어판 및 한국어판에서도 디플로도쿠스로 변경되었다. * [[조이드]]에 나오는 기체 [[세이스모 사우루스]]의 모티브. * 웅진닷컴에서 나온 어린이용 과학 학습만화 <[[단숨에 깨치는 과학상식]]> 제 1권 공룡편에서는 타잔으로 둔갑하여 덩굴을 타고 이 나무에서 저 나무로 넘어다니던 짠 아저씨를 나무열매로 착각하여 먹으려 든다. 마지막 컷에서 알몸이 된 짠과 딩동 왈 "세이스모사우루스가 타잔 팬티를 먹어 버렸네." * [[수전전대 쿄류저]]에서는 세이스모사우루스의 힘을 가진 가디언즈 [[수전지]]인 비욘스모가 있다. [[분류:디플로도쿠스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