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143엔터테인먼트)] ||<-2> '''{{{+1 디지털마스타}}}[br]DM'''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디지털마스타.jpg|width=100%]]}}} || || '''{{{#fff 본명}}}''' ||이용학 || ||<|2> '''{{{#fff 출생}}}''' ||[[1978년]] [[1월 27일]] ([age(1978-01-27)]세) || ||[[서울특별시]] || || '''{{{#fff 직업}}}''' ||[[작곡가]], 프로듀서 || ||<|2> '''{{{#fff 소속사}}}''' ||[[143엔터테인먼트]] {{{-2 (총괄 프로듀서)}}} || || || || '''{{{#fff 링크}}}''' ||[[https://www.instagram.com/imfdm/|[[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작곡가]], [[랩퍼]], [[프로듀서]]. 現 [[143엔터테인먼트]]의 창립자 겸 대표 프로듀서. 12살이 되던 해인 1990년에 [[미국]]으로 이민을 가게 되었고, 1991년에 너티 바이 네이쳐를 접하게 되면서 힙합에 빠지게 된다. 그리고 고등학교에서, 예전부터 친구였던 [[마스타 우|진원]]과 후에 원타임 멤버가 된 [[테디(원타임)|테디]]를 만나게 된다. 이들은 SDT, 즉 South Dream Team이라는 팀을 결성하여 활동하게 되었다. 그러다가 조PD의 눈에 띄어 스타덤의 멤버가 되었고, 2000년 첫 앨범을 냈다. 이 앨범에는 물론 SDT가 참여하였다. SDT는 멤버들이 각자 YG 엔터테인먼트와 이현도 사단으로 흩어지면서 사라지게 되었고, 디지털 마스타는 2집을 준비하다가 Carsen이란 이름으로 활동하던 실력을 만나게 되었다. 조PD 4집에 참여해 어느 정도의 인지도를 키운 디지털 마스타는 실력과 DNS를 결성, 앨범을 발매하였으나 결과는 그다지 좋지 않았다. 이로 인해 조PD와의 갈등이 빚어졌고, 디지털 마스타는 조PD가 자신의 앨범 홍보를 충분히 해주지 않고 있다면서 퓨처 플로우를 탈퇴하였다.[* 당시 가장 잘 나가던 공중파 예능 프로그램 노브레인 서바이버에도 출연시켜줬으니 회사의 홍보가 방향을 잘못 잡았으면 몰라도 부족한 건 아니었다.][* [[주석(가수)|주석]]의 2집 앨범 수록곡인 'The Answer'라는 트랙이 디지털 마스타를 향한 조PD의 디스라고 보는 의견이 있었다. 이 노래에서 조PD는 "오락이나 하는 네놈이 무슨 놈의 음악을, 또 무슨 놈의 대박을"이라는 가사가 나오는데, 홍보 부족으로 DNS가 망했다는 디지털 마스타의 발언에 대한 일종의 반박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재밌는 건 이 트랙에 디지털 마스타도 참여했다는 것]이는 곧 퓨처 플로우의 와해로 이어졌다. 이후 아무런 소식이 없던 디지털마스타는, 돌연 2006년 새 앨범을 작업하고 있다는 발표를 하였고, [[엠넷]]의 방송에 여러 번 출연하였다. 곧이어 마스타 우의 2집 타이틀곡 〈Don't Stop〉의 뮤직비디오나 라이브 공연에 함께 출연했으며, 2008년에는 마스타 우와 함께 YMGA라는 팀을 결성하여 작업 중임이 알려졌다. 이 앨범은 2008년 10월 《Made in R.O.K.》라는 이름으로 발표되었다. 2010년에 들어와서는 주석 5집에 참여할 것이 주석 트위터를 통해 알려졌으나 실제로 참여하지는 않았다. 현재 그는 태완과 Blue Magic이라는 작곡 팀을 결성하고 대중작곡가로 활동 중이며, [[4minute]], [[엠블랙]], [[SUPER JUNIOR-M]], [[Dok2]] 등 다수의 아이돌 그룹, 뮤지션 곡을 작업해 좋은 반응을 얻었으며 새로운 연예기획사 디비즈니스 엔터테인먼트의 대표를 맡아 아이돌 그룹 [[디유닛]]을 프로듀싱하였다. 이후 2020년에 [[143엔터테인먼트]]를 설립, 자사의 연습생 [[강예서]]와 [[마시로(Kep1er)|사카모토 마시로]]가 2021년 엠넷의 걸그룹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 [[걸스플래닛999]]에서 [[Kep1er]]의 멤버로 발탁되었고 2023년엔 자사의 첫 걸그룹 [[LIMELIGHT]]의 데뷔와 [[YG엔터테인먼트]] 출신 보이그룹 [[iKON]]을 영입하며 회사의 규모를 키우고 있다. == 작곡 및 참여 목록 == 1999 [[조PD]] In Stardom Version 2.0 Producer, Artist Debut. 2000 Digital Masta 1st album Producer, debut solo album. [[싸이]] 2nd ‘Life’, ‘2세의 처’ Lyricist , producer. [[이현도]] (完全) Hiphop. 조PD 3rd 조PD ChoPD.Net / Best In East. 2001 조PD Stardom In Future Flow Producer, featured 2001 대한민국 힙합 Album. 2002 주석 2nd Albume Welcome To The Infected Area featured artist. DNS Take Two Solo album producer. 대한민국 힙합 Album. 2008 [[YMGA]] Made In R.O.K Album. 2010 [[유키스]] Break Time‘ Rock Ya Body Producer 2011 [[엠블랙]] BLAQ Style ‘Oh Yeah Remix’. [[마이티마우스]] Mighty Fresh ‘상추와쇼리’. [[SUPER JUNIOR-M]] 태완미 (太完美; Perfection) ‘Off My Mind’. MBLAQ BLAQ Style 3D Edition ‘다시’. [[포미닛]] 4Minutes Left ‘거울아거울아’ Touch Too Hot 2 Handle Album Producer 2011 이기광(BEAST) Break Up ‘Break Up’. 양동근 스컬 영화 [[퍼펙트게임]]OST 음원발매. 2012 [[이정(가수)|이정]] Private 앨범발매. 2012 [[D-UNIT]] Debut Welcome To Business 2013 D-UNIT 늦잠 Part.2 2013 D-UNIT Affirmative Chapter. 1 D-UNIT [[빈지노]] Thank You. C-Luv [[버벌진트]] Luv Is Back ‘it’s OK ‘ C-Luv [[Dok2]] 나만믿어 C-Luv [[개리]] [[크러쉬]] 어디 갈래 D-UNIT 군대 보내기 싫은데 2013 D-UNIT 김피라 프로젝트 Part 2 ‘너야’ C-Luv Private Interview ‘Interview’. 2014 M.I.7 We The Best 소진, 도끼(DOK2) FINALE 2015 D-Business x [[용감한형제]] 공동제작 원펀치 Debut The Anthem 1, 도끼(DOK2), [[더 콰이엇]] #Jeilx 2015 언프리티 랩스타 2 FINAL X SEMI FINAL Part 2 트루디 (feat 소녀시대 티파니) ‘루디부기’. [[헤이즈]] (feat EXO 찬열) ‘돈벌지마’. 2018 MBC 예능 킬빌 제작 == 여담 == * 이전부터 디지털마스타 (DM) 이라는 활동명을 사용하였다. * 조PD, YG, 테디 등 당시 국내 최고였던 힙합 뮤지션,그룹과 함께 활동해온 듯하며 현재도 [[용감한형제]], [[Dok2]] 등 친분이 있는 듯 하다 * 과거 힙합씬 최고의 터프가이, 싸움꾼이란 별명이 있었을 정도로 상당히 거칠었다고 하며, 그와 SNS로 설전을 벌이던 버벌진트는 디지털 마스타를 마주치고 미안하다며 빌어 '벌벌긴트' 라는 별명이 생겼다. 지금은 예전만큼 거친 느낌은 아니며 소속 연습생들이 대장님이라며 대하는걸 보면 이제는 좀 자상해진 편인 듯. * 과거 디비즈니스 엔터테인먼트를 운영하였다. 대표 아티스트는 [[브레이브엔터테인먼트]]와의 협업으로 만들어진 [[1PUNCH]]가 있다. [[ONE(래퍼)|ONE]]은 디비지니스 소속이였으며, [[사무엘(가수)|PUNCH]]가 [[브레이브엔터테인먼트]] 소속이었다. [[분류:대한민국의 작곡가]][[분류:대한민국의 음악 프로듀서]][[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1978년 출생]][[분류:143엔터테인먼트 소속 아티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