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호소다 마모루 감독 연출 작품)] [include(틀:디지몬 어드벤처 시리즈)] ||<-2>
{{{#000000,#dddddd '''{{{+1 디지몬 어드벤처: 운명적 만남}}}''' (1999)[br]''Digimon Adventure''[br]''デジモンアドベンチャー''}}}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디지몬어드벤처극장판.jpg|width=100%]]}}} || ||<-2>{{{#!wiki style="margin: -16px -11px" ||<-5>
'''[[디지몬 애니메이션 시리즈|{{{#373a3c 디지몬 애니메이션 극장판 시리즈}}}]]''' || || - || ▷ || '''운명적 만남''' || ▷ || [[디지몬 어드벤처: 우리들의 워 게임!|우리들의 워 게임!]] ||}}}|| || '''{{{#000000,#dddddd 장르}}}''' ||{{{#!wiki style="margin: 0px 10px" [[애니메이션]], [[SF]], [[드라마]] }}} || || '''{{{#000000,#dddddd 감독}}}''' ||{{{#!wiki style="margin: 0px 10px" [[호소다 마모루]]}}} || || '''{{{#000000,#dddddd 각본}}}''' ||{{{#!wiki style="margin: 0px 10px" [[요시다 레이코]]}}} || || '''{{{#000000,#dddddd 원작}}}''' ||{{{#!wiki style="margin: 0px 10px" [[혼고 아키요시]]}}} || || '''{{{#000000,#dddddd 제작}}}''' ||{{{#!wiki style="margin: 0px 10px" 야마구치 아키히코, 타카이와 탄[br]타마무라 테루오, 토마리 츠토무 }}} || || '''{{{#000000,#dddddd 주연}}}''' ||{{{#!wiki style="margin: 0px 10px" [[후지타 토시코]], [[아라키 카에]], [[사카모토 치카]]}}} || || '''{{{#000000,#dddddd 촬영}}}''' ||{{{#!wiki style="margin: 0px 10px" 안도 시게루}}} || || '''{{{#000000,#dddddd 음악}}}''' ||{{{#!wiki style="margin: 0px 10px" [[아리사와 타카노리]]}}} || || '''{{{#000000,#dddddd 제작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토에이 애니메이션]]}}} || || '''{{{#000000,#dddddd 수입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온미디어]][br][[얼리버드픽쳐스]]}}} || || '''{{{#000000,#dddddd 배급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토에이]] [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얼리버드픽쳐스]] }}} || || '''{{{#000000,#dddddd 개봉일}}}'''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1999년]] [[3월 6일]][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23년]] [[10월 20일]]^^([[https://s.famitsu.com/news/202309/28318811.html|재개봉]])^^[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미개봉[* [[2003년]] [[5월 8일]]에 [[디지몬 어드벤처: 우리들의 워 게임!|우리들의 워 게임!]]과 함께 [[투니버스]]를 통해 방송하면서 처음 공개되었다. 이후 얼리버드픽쳐스에서 [[디지몬 어드벤처 라스트 에볼루션: 인연]] 특별상영회 및 영화관 개봉 당시 동시에 상영.]}}} || || '''{{{#000000,#dddddd 화면비}}}''' ||{{{#!wiki style="margin: 0px 10px" }}} || || '''{{{#000000,#dddddd 상영 시간}}}''' ||{{{#!wiki style="margin: 0px 10px" 20분}}} || || '''{{{#000000,#dddddd 월드 박스오피스}}}''' ||{{{#!wiki style="margin: 0px 10px" }}} || || '''{{{#000000,#dddddd 일본 박스오피스}}}''' ||{{{#!wiki style="margin: 0px 10px" 9억 엔}}} || || '''{{{#000000,#dddddd 국내 스트리밍}}}''' ||{{{#!wiki style="margin: 0px 10px" [[https://serieson.naver.com/movie/detail.nhn?productNo=5160908|네이버 시리즈]]}}} || ||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000000,#dddddd 상영 등급}}}]]''' ||{{{#!wiki style="margin: 0px 10px" '''[[7세 시청가|[[파일:7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height=50]] {{{#000000,#dddddd 7세 관람가}}}]]'''}}} || || '''{{{#000000,#dddddd 공식 홈페이지}}}''' ||{{{#!wiki style="margin: 0px 10px" }}} || [목차] [clearfix] == 개요 == 1999년 3월 6일 개봉한 '''[[디지몬 어드벤처 시리즈]]의 첫 번째 [[극장판]]이자, [[디지몬 어드벤처]]의 프롤로그'''. 2000년대 초반 투니버스에서 '디지몬의 탄생'이라는 부제를 붙여 더빙해 방영하였다. 하지만 '''원제는 별도 부제가 없다.''' 이는 애당초 이 영화가 TV판 제작이 확정적이지 않았을 때부터 기획되어, 이 작품만으로도 완결성을 지을 수 있도록 제작됐기 때문. 이후 TV시리즈가 방영되면서 결국 결과적으로 TV판 홍보애니가 되었고 이에 따라 인터넷 커뮤니티 초창기 시절 일부 팬들은 팬픽에서 만든 '운명적 만남'이라는 제목으로 호칭했는데, 20여년 이후 [[얼리버드픽쳐스]]에서 '''진짜 '운명적 만남'이라는 부제를 달고''' [[디지몬 어드벤처 라스트 에볼루션: 인연]]과 동시에 개봉하면서 공식이 되어버렸다. 동시상영작은 [[유희왕(극장판)]], [[닥터 슬럼프]]: 아라레의 깜짝 부웅 2가지이다. DVD와 BD는 [[우리들의 워 게임!]]과 합본 출시. [[2016년]]에 토에이 측에서 [[https://www.amazon.co.jp/dp/B00M1LHOSC|1999년부터 2006년까지의 디지몬 극장판을 합본으로 출시한 바 있다.]] == 상세 == 작중 시점은 [[1995년]] [[3월]].[* [[디지몬 어드벤처]]에서 4년 전의 시점이다.] [[디지몬 어드벤처]]의 [[주인공]]인 야가미 타이치([[신태일(디지몬 시리즈)|신태일]])와 그의 여동생인 야가미 히카리([[신나리]])가 어렸을 때[* 작 중 둘의 나이는 각각 7살, 4살] [[코로몬]]을 만났을 때의 이야기. 디지몬 어드벤처가 TV에서 방영하기 '''하루 전'''에 처음 상영됐다. [[호소다 마모루]]가 연출.[* 극장판을 만들고 있을 때는 극장판 제작은 결정되었지만, TV판을 만들지는 아직 정해지지 않은 상태였다고 한다. 호소다 마모루에게 연출을 맡겼을 때 주위에서는 "무모하지 않냐, 그보다 호소다 마모루라니 누구?"라는 반응이었다고 한다. 호소다는 "예고편을 만드는 것은 싫다"며 연출이라고는 몇 편 해보지도 않은 신인 연출가 주제에 각본을 고쳐달라고 투정했다. (참고로 이 작품의 각본가는 나중에 [[케이온!]]과 [[걸즈 앤 판처]]를 맡는 요시다 레이코) 왜냐하면 아직 [[TVA]]가 결정되기 전이라, 만일 TV판이 제작이 무산되는 경우 이 영화는 만든 의미가 없어져 버리니 TV판 제작이 없던 일이 되더라도 한 편의 영화로써 스토리가 성립되도록 신경썼다고 한다. 스토리는 [[빅토르 에리세]]의 영화 "[[벌집의 정령]]"에서 모티브를 가져왔다. (호소다는 [[빅토르 에리세]] 팬이다.) 한 소녀가 영화 [[프랑켄슈타인]]을 보고 '몬스터'에 대해 호기심을 갖는다는 내용인데, 몬스터와 소녀의 만남과 몬스터의 정체에 대한 의문의 여지를 남겨뒀다.] 한국에선 [[KBS]]에서 [[디지몬 어드벤처]] 본편을 첫 방영. 후에 [[투니버스]]에서 더빙해 방영했다. 스토리는 매우 간단하다. 현실세계에 떨어진 디지타마에서 부화한 [[깜몬]]이 코로몬이 되어서 두 남매와 코로몬이 함께 지내다가 그 코로몬이 [[아구몬]], [[그레이몬]]으로 진화해 현실에 나타난 [[패롯몬|다른 디지몬]]과 싸우고 사라진다는 내용이다.[* 이때 아구몬은 파트너를 얻지 못한 탓에 회수된 것이라고 한다. 최초로 진화의 힘을 보여주고 [[선택받은 아이들]]이라는 시스템의 초석을 마련한 [[신나리]] 쪽이 디지몬의 파트너가 될 자격을 가지고 있었지만 아구몬에 걸맞는 파트너는 아직 자격을 갖추지 못한 [[신태일(디지몬 시리즈)|신태일]] 쪽이었기 때문이라고.] 이 부분은 디지몬 어드벤처의 선택받은 아이들이 선택받게 된 계기가 된 사건이기도 하다. 그렇기 때문에 이 극장판을 보지 않고 디지몬 어드벤처를 곧바로 보게 된다면 이해되지 않는 부분이 생기는데, 대표적으로 아이들이 현실로 돌아간 직후 빛의 언덕에서 4년 전 폭탄 테러 사건의 진실을 떠올리는 장면. 그리고 21화에서 신나리가 현실세계로 온 코로몬을 어색해 하지 않는 장면도 있다.[* 코로몬을 어떻게 아냐는 태일의 물음엔 그냥 '알고 있었다'고 대답했지만. 아마 극장판 당시의 기억이 잠재적으로 남아있었던듯.] 어드벤쳐 TVA 본편 29화에서 다뤄진다. 다만 분위기와 작품 묘사가 [[TV판]]과 상당히 다르기 때문에, TVA와는 다른 맛이 느껴진다.[* 일단 전체적으로 분위기가 훨씬 어둡고, 디지몬의 느낌 자체가 디테일하다. 본편의 만화라는게 확실히 느껴지는 만화다운 그림체와는 달리 진짜 괴수를 보고있는 느낌. 특히 작중 등장하는 그레이몬이 본편의 그레이몬과 상당히 차이가 나는데, 본편의 꼿꼿이 서고 배가 나온 우스꽝스러운 공룡의 모습이 아니라 진짜 가로로 서고 날씬하며 제대로 된 공룡, 아니 '''괴수'''처럼 생겼다.] 같은 감독이 맡은 21화에서도 크기는 작지만, 아구몬의 공격 묘사가 기존의 소년물이 아닌, 이 극장판에서와 같은 괴수와 같은 모습으로 그려진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성장기 디지몬인 [[아구몬]]이 격렬하게 싸우는 것을 볼 수 있다. 성장기 디지몬이 이렇게 화끈하게 싸우는건 [[디지몬 세이버즈 더 무비 궁극파워! 버스트 모드 발동!!|디지몬 세이버즈 극장판]]과 본 작이 전부다.[* 상단에 '격렬하게' 라고는 했지만 사실 작화가 유동적인거지 아구몬이든 그레이몬이든 몸 자체는 그렇게 많이 움직이지 않는다. 특히나 아구몬의 경우 육탄전 한번 안하고 진화를 한다.] 단, [[디지몬 세이버즈]]와는 다르게 어드벤쳐 극장판은 아구몬이 덩치가 커져서 성장기라는 느낌이 안든다. 덧붙여 본편에서의 언급에 따르면 이 때의 코로몬은 원시종이다. 당시 디지털 월드와 현실의 시간 차이[* 현실의 1분 = 디지털 월드의 1일. 즉, 극장판이 어드벤처에서 4년 전의 시점이니, 계산해보면 디지털 월드 시점으로는 '''약 5760년 전'''이다.]을 생각해 보면 이 코로몬과 그 진화체들이 괴상하리만치 크기가 커다랬던 것도 이해가 될 듯 하다.[* 현실의 원시 시대와 비슷하다고 보면 된다. 그 옛날에는 거대했던 생물들이 시대를 거치면서 점점 작아졌다.] 나리의 호루라기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바로 쓰러진 코로몬(그레이몬)이 다시 눈을 뜨게끔 한 것이다. 그 외에도 나리는 호루라기 소리로 의사 표시를 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짧게 삑! 하면 긍정, 길게 삐이익 하면 부정의 뜻. 이 극장판에서 나리가 보여준 진화의 힘이 [[선택받은 아이들]] 시스템의 초석이 되었다. 한편 태일은 본질적으로 가진 성향인 '''용기'''로 아구몬을 그레이몬으로 진화시켰는데[* 정확하게는 진화 자체는 나리의 힘으로 한 것이다. 태일이 한 건 아구몬이 가진 힘을 이끌어낸 것.], 이 힘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게 [[문장(디지몬)|문장]]이다. 애니메이터로는 [[이소 미츠오]], [[하마스 히데키]], [[아라이 코이치]], [[타케우치 노부유키]], [[이시하마 마사시]], [[사이 후미히데]], [[마스나가 케이스케]] 등이 참여했다. 작화로도 좋은 평을 받는 작품이다. == 평가 == [include(틀:평가/IMDb, code=tt2049430, user=7.5)]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digimon-adventure, user=3.6)] [include(틀:평가/키노포이스크, code=dejimon-adobench-1999-624762, user=없음)] [include(틀:평가/야후! 재팬 영화, code=161758, user=2.97)] [include(틀:평가/엠타임, code=261934, user=없음)]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1303927, user=9.1)] [include(틀:평가/왓챠, code=mOgBKLA, user=4.0)]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68044, light=75)] [include(틀:평가/네이버 영화, code=127889, expert=없음, audience=없음, user=없음)]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126497, expert=없음, user=6.7)] [include(틀:평가/라프텔, code=18695, user=4.3)] [include(틀:평가/MyAnimeList, code=2961, user=7.58)] 기본적으로 디지몬 어드벤처, 그걸 넘어 디지몬 시리즈 영상화의 첫 스타트를 잘 끊었다는 평가가 많다. TVA와 다른 작화와 분위기 때문에 취향은 갈리지만 20분짜리 짧은 분량의 극장판인지라 작화 퀄리티는 준수하다. 본편과 이어지는 설정을 충실히 담고 있고, 인간과 디지몬의 첫 만남[* 설정상 첫 만남은 아니다. 엄밀히 따지면 어드벤처 본편 세대의 선택받은 아이들과 디지몬의 첫 만남이다.]을 아련하게 잘 연출했다. 특히 세기말 감성과 분위기가 Ravel의 Bolero와 세련되게 잘 어우러지면서 전체적인 완성도를 높여주며 어른이 되어 다시 보았을 때도 이 감정선을 잊지 못하게 해준다. [[신태일(디지몬 시리즈)|신태일]]과 [[신나리]]의 어렸을 적 귀여운 모습을 잘 그려내서 좋아하는 팬들도 많다. == 흥행 == === [[일본]] === || [[파일:305883hxk29.png|width=100%]] || || 일본판 포스터 || === [[대한민국]] === [[한국]]에서는 [[온미디어]]가 수입하여 [[2004년]]에 [[투니버스]]에서 방영했다. 그러나 하필이면 [[2009년]]에 온미디어가 [[오리온그룹]]에서 [[CJ그룹]]으로 넘어갈 때 디지몬 극장판 시리즈의 판권이 '''넘어가지 않았다'''. 온미디어 매각 협상 당시 양 그룹 모두가 [[세계금융위기]] 때문에 경영 상황이 긴박했기 때문에, 회사 매각 관련해서 판권 이전 여부에 대해 명확히 규정해두지 않아서 사달이 난 것이다. [[신의 괴도 잔느]], [[소년탐정 김전일/애니메이션|소년탐정 김전일]], [[원피스(애니메이션)|원피스]], [[디지몬 시리즈]] 같은 '''모든 [[토에이 애니메이션]] 계열 애니메이션의 판권이 [[온미디어]]에서 [[CJ E&M]]으로 넘어가지 않았다'''. 토에이 측에서 CJ그룹으로의 판권 이전을 거부한 것으로 추정된다. [[오리온그룹]]과 [[CJ그룹]]이 [[토에이]]와 협상을 해서 이전하는 판권 범위를 명확히 했으면 어땠을까 하는 아쉬운 지점이다. 결국 토에이는 한국 내 판권자를 전부 상실했고, 토에이 작은 이후 [[한국]]에 개별적으로 수입된다. 토에이 작품은 [[1970년대]]부터 [[2003년]] 이전까지 [[한국방송공사]]에서 수입하다가[* 일부는 [[MBC]]나 [[SBS]]에서 방영한 것도 있다.] [[2003년]]부터 [[온미디어]]와 협상해서 극장판은 온미디어한테 넘겼는데[* 본편의 방영권은 당시 디지몬 시리즈 판권을 가지고 있던 [[대원미디어]] 계열의 [[대원방송]]으로 넘어갔다.], [[2009년]] 온미디어가 [[CJ E&M]]으로 팔리면서 토에이 판권은 한국에서 '''증발'''하고 말았다. 이렇게 판권이 붕 떠 있다가 [[2020년]] [[얼리버드픽쳐스]][* 이보다 앞서 [[디지몬 어드벤처 tri.]]를 수입한 적이 있다.]에 의해 모든 역대 극장판이 재수입됐다.[* [[대원방송]]에서 방영했던 [[디지몬 세이버즈 더 무비 궁극파워! 버스트 모드 발동!!|디지몬 세이버즈 극장판]]도 이곳에서 재수입했다.] [[영상물등급위원회]]의 심의는 TV판 시절의 심의를 그대로 받았고, 따라서 [[영화]]에는 적용되지 않는 7세 관람가가 지정됐다. 얼리버드 측에서는 한국어판 판권 문제 때문인지 재더빙을 하지 않고, [[일본어]] 원판에 [[한국어]] [[자막]]만 재수입했다. 한국에서의 극장 개봉은 [[디지몬 어드벤처 라스트 에볼루션: 인연]]과 연속 상영되는 형태로 이루어졌는데 2020년 5월 23~24일 이틀간 [[서울극장]] 특별상영회에서 상영이 되었으며, 2021년 2월 17일에 인연이 [[CGV]]에서 정식 개봉을 하면서 간접적인 형태지만 운명적 만남도 극장에서 정식 상영되었다. == 삽입곡 == 대표적인 삽입곡은 극장판 초반부와 전투신 등에 삽입된 [[모리스 라벨]]의 [[볼레로#s-2]]이다. 라벨의 대표적인 발레 음악이지만, 이 극장판을 본 대부분의 사람들에서는 여기에 삽입된 곡으로 더 유명하다. == 기타 == [[파일:Wb76FMY.jpg]] >'우린 너무 빨리 만났었다. 그때 우리 세상에선, 디지몬의 출몰은 충격이었다... '''그래서 내가, 이곳으로 왔다.''' >-한국어 더빙- >---- >그건, 아직 이른 만남이었다. 그때 우리 세계에서는 만나선 안될 괴물이었다... '''그래서 지금, 나는 여기에 있다.''' >-일본어 원판- * [[Butter-Fly]]가 흘러나오는 엔딩 장면은 명장면. 더불어 엔딩 직전에 나오는 마지막의 태일(타이치)의 대사는 디지몬 팬들에게는 큰 의미가 있는 명대사이며 어린 아이의 목소리에서 소년의 목소리로 바뀌는게 백미이다. [[그레이몬]]을 끌어안는 타이치의 모습도 디지몬 어드벤쳐의 상징적인 장면이라고 할 수 있다.[*스포일러 [[디지몬 어드벤처 라스트 에볼루션: 인연]]과 같이 상영할 때는 이 마지막 장면이 잘렸다. Butter-Fly가 중복으로 나와서 그런 듯 한데, 디지몬 팬들에게 반응이 굉장히 나쁘다.] TV판 버전과 달리 "그래 그리 쉽지는 않겠지~"로 시작하는 하이라이트 가사 소절부터 시작하며 첫 소절 부분이 무반주로 시작하다가 하이라이트가 다시 한 번 반복되는 부분에서 반주가 삽입되는데, 상술한 영상과 시너지를 이루어서 굉장한 임팩트를 준다.[* 이는 디지몬 어드벤처 원판에서 아포카리몬을 무찌르고 선택받은 아이들이 디지몬들과 헤어질 때 한 번 더 쓰였다. 정확히는 마지막 장면에 미나의 모자가 날라가는 장면에서 재생된다.] 이 때문인지 한국에서 버터플라이 하면 이 디지몬 어드벤처 극장판 버전을 더 인상깊게 기억하고 있는 팬들이 많다. 실제로 [[Butter-Fly]]가 한국에서 펀딩되어 발매되었을 때도 이 무반주 삽입판이 부제가 붙지 않은 기본형으로, 무반주 도입부가 없이 곧장 본곡이 시작하는 원곡판이 외려 우리들의 워 게임 ver.라는 부제를 달고 수록되었다. * [[모리스 라벨|라벨]]의 '[[볼레로]]'가 뭐냐고 하면 몰라도 디지몬 극장판 BGM이라고 하면 아는 사태가 종종 발생한다. 이후로도 볼레로는 디지몬 어드벤처의 극장판에 단골로 사용되었다. 본편[* 호소다 마모루가 감독을 맡았던 21화가 대표적.]에도 가끔 나온다. * 2층 침대의 경우 [[신태일(디지몬 시리즈)|태일]]이가 윗층을 쓰고 [[신나리|나리]]가 밑층을 쓰고있다. 디지몬 어드벤처에서는 반대로 [[신나리|나리]]가 윗층을 [[신태일(디지몬 시리즈)|태일]]이가 밑층을 쓰고 있다. 디지몬 어드벤처 02에는 사춘기 때인지라 남매 서로 전처럼 같은 방을 쓰지 않고 따로 쓰고 있다. * 더빙판에서 태일과 나리의 아빠가 만취해 퇴근하면서 엘리베이터를 타고 집에오는 도중 "나리 나리 개나리~ 아니 신나리~"라는 [[언어유희]] 노래를 부른다. 또한 [[미코(디지몬 어드벤처)|미코]]의 이름이 정발에서 나비인데 여기선 그냥 원문 그대로 더빙되었다. * 본편인 어드벤쳐에서는 현실세계편으로 간 직후, 빛의 언덕에서 이 일이 다시금 언급되는데 꽤나 오래전의 일인지라 대부분의 아이들은 기억하질 못했고 그나마 정석이 기억하고 있었으나 현실 세계에서는 해당 사건이 폭탄 테러로 인한 일로 종결지어졌다고 한다. 아이들은 비슷한 거구의 싸움인 가루다몬과 맘몬의 싸움을 보고서야 해당 사건의 진상을 기억해냈고 선택받은 아이들은 공통적으로 빛의 언덕에서 그레이몬과 패롯몬의 싸움을 목격한 아이들 중 하나라는 사실을 알게된다. * 덧붙여 태일이와 나리는 코로몬이 진화하여 아구몬, 그레이몬이 되었음에도 코로몬으로 지칭한다. 코로몬이 아구몬으로 진화한 뒤로는 대사가 없어서 아구몬 이후의 명칭은 알지 못했기 때문.[* 그당시 아구몬, 그레이몬 언급이 없었다.] [[분류:디지몬 어드벤처]][[분류:디지몬 애니메이션 시리즈/극장판]][[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분류:1999년 애니메이션 영화]][[분류:호소다 마모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