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Dis_Astranagant.jpg]] [목차] == 개요 == || 개발 || [[시바 곳초]] || || 제조 || [[제 발마리 제국]] || || 생산형태 || 개수기 || || 전고 || 22.3m || || 중량 || 58.8t || || 장갑재질 || 즈필드 크리스탈 + 그 외의 재료 || || 동력원 || 디스 레브 || || 파일럿 || [[쿼브레 고든]] || [[파일:gun of dis.jpg]] ディス・アストラナガン / DIS ASTRANAGANT [[게임]] 《[[슈퍼로봇대전]]》에 나오는 메카닉. 《[[제3차 슈퍼로봇대전 α]]》에서 주인공기의 후계기 중 1기로서 등장했다. 사용자는 [[쿼브레 고든]]. [[이명]]은 '''총신'''(銃神).[* 쿼브레, 잉그램, 아스트라나간에 관련된 모든 설정들이 총과 관련되어 있으며, 디스는 그 정점에 있음을 의미한다.] 이름의 [[디스]](Dis)는 '명계의 왕'이라는 의미다. == 설명 == [[제3차 슈퍼로봇대전 알파]]의 주인공기 중 1기인 [[벨그바우]]의 후속기. 작품 중반에 [[벨그바우]]를 포획하여 수수께끼의 동력원인 딘 레브[* 3차 알파 내에서 제대로 된 설명이 없다. 단지 딘 레브의 데이터로 디스 레브가 완성된 점, 인류보완계획의 안티 AT 필드에 대해 쿼브레가 딘 레브와도 디스 레브와도 다르다고 하는 점을 미루어 사람의 의사, 또는 영혼에 관계된 동력원이라 추정된다.]의 데이터를 얻은 덕분에 완성된 프로토타입의 디스 레브와 [[아스트라나간]]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해 만들어진 파츠를 벨그바우에 이식해 새로운 아스트라나간으로서 부활시킨 기체. 아스트라나간의 원래 주인인 오리지네이터 [[잉그램 프리스켄]]만이 조종할 수 있기 때문에, 시바는 당초 잉그램에 빙의한 쿼브레를 이 기체에 흡수시켜 자기 뜻대로 조종하여 아스트라나간을 자신의 계획에 이용할 계획이었던 것 같으나 쿼브레가 잉그램을 먹어버리고 자신으로서 존재하게 되어버리면서 계획은 무산되고, 이 기체는 그대로 쿼브레의 것이 되었다. == 동력원 == 탑재하고 있는 디스 레브는 악령, 사령, 원령 등의 어긋나 있는 존재들을 불러모아 윤회전생의 길로 이끔으로서 죽음과 신생 사이의 [[레이브레이드|틈새의 힘]]을 얻는 동력원이다. '[[이데(전설거신 이데온)|무한력 이데]]를 대표격으로 하는 정(正)의 무한력을 사용하는 로봇 = [[이데온]]을 비롯한 [[슈퍼로봇]]들', 부(負)의 무한력을 사용하는 로봇 = [[케이사르 에페스]]'라면 그 어느 쪽에도 속하지 않은 틈새의 힘을 사용하는 존재이다. 알기 쉽게 말하자면 [[악령]]을 모아 '''[[성불]]시켜서''' [[힘]]을 얻는 것이다. 어느 쪽이냐면 사후의 혼을 심판하는 [[명왕]]이라고 할 수 있겠다. 악령 외에도 주변의 온갖 안좋은 걸 끌어들여서 동력원으로 삼는 기체이기 때문에 그런 것을 읽을 수 있는 염동력자나 무한력에 얽힌 자들은 이 기체에 본질적인 거부감을 가지게 되며 디스 레브의 진실을 아는 자들은 모두 두려워 한다. 마지막에는 디스 레브 때문에 부의 무한력 그 자체라 할 수 있는 [[케이사르 에페스]]의 표적이 되기도 하였다. [[악령]]을 근원으로 하는 점은 같지만 디스 아스트라나간은 악령을 [[성불]]시켜서 [[힘]]을 얻기 때문에 악령 그 자체인 케이사르 에페스에게는 설정상으로는 [[이데온]]을 능가하는 최고의 상성빨을 자랑한다. 어쨌든 극도로 위험한 기체이며 현재는 원래의 주인이었던 쿼브레(=잉그램)에 의해서 안정을 되찾고 있을 뿐이다. 당초 쿼브레가 제어하지 않았다면 주변의 온갖 [[영혼]]을 다 흡수해서 [[폭주]]해버렸을 것이라고 한다. 티플러 실린더가 아직도 내장되어 있는 지는 알 수 없으나 일단 [[아스트라나간]]의 일부 부품이 남아있는 모양이며 공간 전이, [[평행세계]]로의 이동도 가능하다. 그러나 OGs에서 쿼브레의 증언으로 유추하건데, 원조 아스트라나간과 달리 자유자재로 하는 것은 힘든 모양이다. == 기타 == 3차 알파 마지막에 케이사르 에페스에게 공격당한 후폭풍으로 다른 세계로 날아가 버렸으며, 이후 쿼브레와 함께 다른 세계를 이동하며 평행 우주를 지키기 위해 활약하게 된다. 현재로선 모든 세계 중 알파 시리즈의 세계에서 탄생한 쿼브레와 디스 1대 만이 존재하고 있으며 이것이 [[슈퍼로봇대전 OG 시리즈|다른 세계]]로 이동하고 있는 것으로 다른 세계에서 탄생하거나 개발되었단 보고는 전혀 없다. 디자인은 무기질적인 기존의 [[아스트라나간]]과 달리, 마치 [[생물]]과 같은 유기적인 디자인이다. [[타천사]] 이미지였던 기존 아스트라나간과 달리 디스는 ''''[[악마]]'''' 그 자체의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 일각에선 바퀴벌레를 닮았다고 해서 '고키트라나간'(고키=[[바퀴벌레]])라고도 부른다. 이 디자인을 한 것은 [[여신전생 시리즈]]에서 ''''악마화가''''로 유명한 [[카네코 카즈마]]. == 무장 == [youtube(O-fxYfaRruo)] * 라암 샷건 라암 라이플의 산탄총 버전. 실탄은 산탄총으로 변경되었지만 빔은 여전히 라이플로 사용이 가능한듯 하다. * Z·O 사이드 아스트라나간의 무장인 Z·O 소드의 강화형 무장. [[낫]] 모양이다. 라암 샷건과 조합해 자유자재로 길이를 바꿀 수 있는 격투 무장. 모든 무장이 다 사격인데 이것만 유일하게 격투라서 참 뼈아프다. 문제는 적으로 나올 때는 사격 무장.. 칼날의 빛깔이 참으로 기이하다. 더 찾아보려면 인터넷에서 '[[다마스커스강]]'으로 검색바람. * 건 슬레이브 기존의 건 슬레이브와 달리 마치 [[박쥐]]같은 날개가 달린 총모양으로 보다 악마적 이미지가 강하다. 박쥐 날개 말고는 아스트라나간의 건 패밀리어와 비슷한 디자인이지만 이건 광선이 나간다. 또한 색깔도 휘황찬란. * 메스 앳셔(Meth Asher) 어깨의 장갑을 전개해 광범위 광선을 발사한다. 연출이 액시온 버스터와 유사하므로 그 강화형 무장이라 생각되지만 자세한 건 불명. 3차 알파에선 ALL무장. 메스는 [[히브리어]]로「죽음」이란 뜻으로, 이름이 에메트Emeth에서 메스로 바뀌는 것은 히브리 설화의 [[골렘]] 이야기에서 따온 것으로 보인다. 골렘에게 생명을 주는 인인 '생명Emeth'에서 맨 앞의 E를 지우면 '죽음Meth'가 되어 죽는다는 설화다. * 아인 서프 아우르(Ain Suph Aur) 아스트라나간처럼 10개의 [[중성자별]]을 소환해 목표물 주위에서 고속 회전시켜, 시간 역행을 일으켜 소멸시킨다는 디스 아스트라나간의 궁극기. 무장의 이름은 여전히 인피니티 실린더고, 아인 서프 아우르은 기술명이다. 히브리 어로 '무한광'을 의미한다. 기술 사용 시 '''"테트라크튀스 그라마톤(Tetractys grammaton)"'''[* 테트라크튀스는 수비학에서 말해지는 성스러운 숫자 '10'(1+2+3+4=10)을 가리키는 희랍어로, 곧 테트라크티스 그라마톤은 "성스러운 열 글자"라는 뜻이 된다. 곧 Ain Suph Aur를 가리키는 것. 이는 성스러운 네 글자라는 뜻을 갖는, [[YHWH]]를 가리키는 '테트라 그라마톤'을 약간 고친 것.]이라는 주문을 외우며 극 중 묘사에 의하면 쿼브레와 잉그램이 완전히 하나되지 않으면 이 기술은 사용할 수 없는 듯하다. 발사할 때와 중성자별 소환 시에 마법진[* 히브리어 알파벳이 마법진에 나온다. 알파벳 순서대로...]이 출현하는 등 원조에 비해서 마술적인 면과, 발사할 때 가슴판의 장갑을 강제로 뜯는 듯이 벌리는 등의 오컬트틱한 연출이 특징적. 발동시 쿼브레가 취하는 컷인은 원조 아스트라나간의 인피니티 실린더 사용 시의 잉그램의 자세와 동일하며 이 때 잉그램과 쿼브레가 빙의하는 듯한 연출과 함께 쿼브레의 머리 색이 잉그램과 같은 본래의 푸른색으로 바뀌게 된다. 딴 건 그렇다쳐도 기술 연출이 쓸데 없이 길어서 보려면 꽤 각오를 해야한다. 구형 PS2의 경우 이 기술을 사용하면 느려짐 현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 게임에서의 성능 == || || 초기치 → 10단 → 15단 || || HP || 6400 → 9400 → 10900 || || EN || 200 → 350 → 425 || || 운동성 || 135 → 195 → 225 || || 장갑 || 1500 → 2150 → 2475 || || 지형대응 || A A B S || || 사이즈 || M || || 이동력 || 9 || || 이동타입 || 공육 || || 기능 || 디플렉트 필드 HP회복(소) EN회복(소) 검장비 || || || 무기명 || 사정거리 || 공격력(초기 → 10단 → 15단) || 명중 || 크리티컬 || 탄수 || EN || 필요기력 || 지형대응 || || || 사 || 라암 샷건(PLA) || 1~5 || 3800 → 5400 → 6900 || +25 || +20 || 15 || - || - || A A B S || || || 격 || Z·O 사이즈 || P 1~4 || 4200 → 5800 → 7300 || +35 || +50 || - || - || - || A A A S || 배리어 관통 || || 사 || 건슬레이브 || 2~9 || 4500 → 6100 → 7600 || +40 || +20 || 10 || - || - || A A B S || || || 사 || 메스 앗샤(ALL) || 1~7 || 5000 → 6600 → 8100 || +25 || +30 || - || 40 || 110 || A A B S || || || 사 || 아인 소프 오울 || 3~10 || 6000 → 7600 → 9100 || +20 || +35 || - || 70 || 140 || S S B S || 사이즈보정무시, 배리어 관통 || 아군 최상위(이거보다 높은 건 개조가 안되는 마크로스7의 시빌(150) 뿐이다)로 하이 뉴 건담(125)을 능가하는 운동성, 최대 10칸까지 가는 사정거리, 소대 전체 데미지 1500 경감의 무소비 광역배리어 디플렉트 필드로 마징카이저(1800)를 능가하는 장갑[* 초기치가 1500을 넘는 건 슈퍼계에서도 마징가 시리즈를 비롯해 얼마 안된다. 충분히 슈퍼계.], 정신 커맨드 혼과 조합되어 주인공 기체 중 최강의 화력 등이 조합되어 수치상으로는 3차알파 최강의 주인공 기체이다.[* 허나 정신기나 섬멸력등 종합적인 성능은 [[AS 알레그리아스]]한테 밀린다.] 쿼브레의 강력함도 거들어서 매우 강력하다. 단 [[맵병기]]가 없고 P병기가 Z·O사이즈 밖에 없어, 실질적 활용도는 [[AS 알레그리아스]], [[진 용호왕]]보다 떨어질 수도 있다… 고는 하나 쿼브레 단독 소대로 돌격시켜도 혼자서 맵에 구멍 숭숭 내는건 일도 아니다. 그런데 이건 난이도 자체가 낮은 3차 알파 특성상 어지간한 주역급 기체는 누구라도 할 수 있다.[* 상당히 너프를 먹은 [[뉴 건담]]도 혼자 던져 놓으면 핀판넬 ALL무기와 [[아무로 레이]]의 사기적인 회피율 때문에 다 작살낸다. 단지 공격력이 좀 후달려서 시간은 디스 아스트라나간보다 더 걸리겠지만 말이다.] == 극중에서의 활약 == * [[제3차 슈퍼로봇대전 α]] [[시바 곳초]]가 개발, 첫 등장시 공간도약으로 마법진에서 악마가 소환되듯이 등장하였다. 파일럿이 없는 상태로 등장해서 주변에 원혼들을 끌어모으며 폭주했으나 쿼브레가 과감히 이 기체에 올라타 완전히 제어하는데 성공한다. 작중에서는 디스가 아니라 그냥 [[아스트라나간]]이라고 불리며 사실상 원조와 동일시된다. 3차 알파의 종결 이후 [[인과율]]의 수호를 위해 쿼브레와 함께 다른 평행 세계로 떠났다. * [[슈퍼로봇대전 OG 디바인 워즈]] 제1화, 잉그램의 꿈으로 추정되는 장면에서 원조와 대결했다. 25화에서는 위기에 처한 SRX 팀을 구해내기 위해서 등장하여 SRX와 합체, [[DiSRX]]가 되었다. 26화에서는 DW 세계에서의 임무를 모두 마치고 다른 세계로 가는 듯한 묘사가 있으며, [[슈우 시라카와]]는 이 기체를 ''''열쇠''''라고 부른다. OG 세계관에서 열쇠라고 호칭되는 기체는 다른 세계를 이동할 수 있는 기체들이다. 대표적으로 [[엑서런스(슈퍼로봇대전 시리즈)|엑서런스]], [[컴패터블 카이저]] 등이 있다. * [[제2차 슈퍼로봇대전 OG]] [[최종보스]] [[아다마트론]]의 무기 연출 중에서 실루엣만으로 등장한다. 여기서 [[유제스 곳초]]가 친절하게 '검은 총신'이라고 안내를 해준다. 유제스는 크로스패러다임 시스템과, 자기 자신의 [[허구의 기억]]을 통해서 [[슈퍼로봇대전 알파]]가 존재하던 세계의 기억을 불러왔던 모양. * [[슈퍼로봇대전 OG 문 드웰러즈]] 기체에 관한 언급은 없었지만 파일럿인 쿼브레의 전신이 되는 아인 발쉠이 등장하였다. 차기작에서의 정식 참전을 위한 '''인자'''가 하나씩 모이고 있는 듯. == 관련 문서 == * [[슈퍼로봇대전/오리지널 메카닉]] [[분류:제 발마리 제국]][[분류:아스트라나간 시리즈]][[분류:슈퍼로봇대전 시리즈의 오리지널 기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