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UCnovel 출신 작가, rd1=디메트로돈(작가))] ||<-2><#F60> '''{{{#FFF {{{+1 디메트로돈}}}[br]Dimetrodon}}}'''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Dimetrodon_limbatus_AMNH_4636.jpg|width=100%]]}}} || ||<-2> [[페름기]] 키수랄리아세~과달루페세 ^^{{{-1 아셀절~로드절}}}^^[br]295,000,000 년 전~270,000,000 년 전[br][[북아메리카]], [[유럽]] || ||<#F93><-2> '''학명''' || ||<-2> ''' ''Dimetrodon'' '''[br]Cope, 1878 || ||<-2><#F96>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척삭동물문]]^^Chordata^^|| || {{{#000 '''계통군'''}}} ||[[단궁류]]^^Synapsida^^|| || [[생물 분류 단계#계통군|{{{#000 '''계통군'''}}}]] ||†스페나코돈토이데아^^Sphenacodontoidea^^||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스페나코돈과^^Sphenacodontidae^^|| || [[생물 분류 단계#과|{{{#000 '''아과'''}}}]] ||†스페나코돈아과^^Sphenacodontinae^^||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디메트로돈속^^''Dimetrodon''^^'''|| ||<-2><#F96>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 ||<-2><#FFF>{{{#!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디메트로돈 림바투스(''D. limbatus'')^^{{{-1 [[모식종]]}}}^^[br]Cope, 1877 * †디메트로돈 보레알리스(''D. borealis'')[br]Leidy, 1854 * †디메트로돈 기가스(''D. gigas'')[br]Cope, 1878 * †디메트로돈 돌로비나누스(''D. dollovianus'')[br]Case, 1907 * †디메트로돈 기간호모게네스(''D. giganhomogenes'')[br]Case, 1907 * †디메트로돈 마크로스폰딜루스(''D. macrospondylus'')[br]Case, 1907 * †디메트로돈 나탈리스(''D. natalis'')[br]Romer, 1936 * †디메트로돈 보오네오룸(''D. booneorum'')[br]Romer, 1937 * †디메트로돈 켐파이(''D. kempae'')[br]Romer, 1937 * †디메트로돈 로미시(''D. loomisi'')[br]Romer, 1937 * †디메트로돈 밀레리(''D. milleri'')[br]Romer, 1937 * †디메트로돈 그란디스(''D. grandis'')[br]Romer and Price, 1940 * †디메트로돈 안겔렌시스(''D. angelensis'')[br]Olson, 1962 * †디메트로돈 오키덴탈리스(''D. occidentalis'')[br]Berman, 1977 * †디메트로돈 테우토니스(''D. teutonis'')[br]Berman ''et al''., 2001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Dimetrodon_gigashomog_DB.jpg|width=100%]]}}} || || 디메트로돈 기가호모게네스(''D. gigahomogenes'')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Dimetrodon_grandis.jpg|width=100%]]}}} || || 대중에게 흔히 알려진 이미지는 이 디메트로돈 그란디스(''D. grandis'') 종이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Dimetrodon_skeleton.jpg|width=400]]}}} || || 골격도 || [목차] [clearfix] == 개요 == [[페름기]] 전기~중기 초반까지 북아메리카와 유럽에 살았던 [[단궁류]]. 속명의 뜻은 '두 종류의 이빨' 혹은 '두 가지 크기의 이빨'. 그래서 한자로는 이치룡(異齒龍)이라고도 쓴다.[* Di가 숫자 2, Metro가 '크기의', Don이 이빨이라는 의미이기 때문. 비슷한 이름을 가진 [[디모르포돈]]은 '두 가지 형태의 이빨'(morph, 형태의) 이라는 뜻이다.] == 특징 == '가장 유명한 [[단궁류]]'[* [[파충류]]가 아니다. 과거 단궁류가 파충류의 아강으로 인식되었을 때에는 '포유류형 파충류'라고도 했지만 현재 단궁류가 파충류에서 완전히 독립되었기 때문에 별도의 [[단궁류]]로 취급한다.] 중의 하나로 유독 [[파충류]]를 매우 닮았고 결정적으로 [[스피노사우루스]]나 [[오우라노사우루스]] 등 신경배돌기가 높게 솟은 공룡과 유사한 특징적인 형태 때문에 유독 많이들 [[공룡]]으로 착각하는 편인데 전술했다시피 디메트로돈은 공룡이 아닐 뿐더러 사실 파충류조차 아닌 [[포유류]]로 이어지는 계통 중의 한 갈래인 단궁류에 속하는 종이어서, '''[[공룡]]보다는 오히려 [[인간]]에 더 가까운 종이다.''' [* 사실 너무나 머나먼 조상이라 인간과 가깝다고 하기에도 좀 어폐가 있는데, 분기 시점을 생각해보면 오히려 포유류보단 양서류에 가깝던 시절이다.]그래서 학습서적 등에서 [[익룡]] 및 [[지배파충류]], [[어룡]], [[수장룡]], [[모사사우루스류]]처럼 공룡과 닮았지만 사실 공룡이 아닌 종에 대한 설명을 할 참이면 대표적인 예시로 곧잘 거론되는 동물이기도 하다. == 생태 == 비슷하게 생긴 [[에다포사우루스]], [[세코돈토사우루스]]와 함께 [[페름기]]를 대표하는 동물 중 하나이며 지금의 [[북아메리카]]에 서식했던 당대 최상위 [[포식동물|포식자]]였다. 몸길이는 3~5m로 가장 큰 특징은 역시 등에 난 커다란 신경배돌기. 이걸로 [[체온]]을 조절했다는 설이 있지만 최근 연구는 이러한 신경배돌기가 체온 조절이 아닌 [[번식]]에서의 과시, 포식자, 경쟁상대의 위협 등 의사소통의 도구로 쓰였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는 디메트로돈과 근연관계에 있는 종들에게 몸의 크기와 돛의 크기 간의 상관관계가 드러나지 않는 점과 신경배돌기의 성장속도가 몸에 비교해서 지나치게 다른 점에 기인한다. 실제 작은 종이여도 몸 비례에 맞지 않는 큰 돛을 가지고 있는 경우와 몸집이 커도 신경배돌기를 가지고 있지 않는 경우가 발견되었다. 또한 돛의 크기가 지나치게 커져 몸과 비례하지 않은 시기가 있었다. 이런 발견들은 돛 체온조절설의 반례가 된다. 이러한 형식의 신경배돌기는 디메트로돈 이외도 다른 동물들에게도 나타난다.[* 이 신경배돌기가 싸울 때에는 도리어 걸림돌이 되었을 것이라는 설이 있는데 척추와 하나로 이어져 있어서 넘어져서 신경배돌기가 부러지기라도 한다면 그대로 척추가 부러져서 즉사했을 것이다.] 같은 단궁류인 에다포사우루스, 세코돈토사우루스, 공룡인 [[오우라노사우루스]], [[레바키사우루스]], [[스피노사우루스]], [[아크로칸토사우루스]] 등 그리고 의외로 [[로토사우루스]]나 [[애리조나사우루스]] 같은 [[위악류 생물 목록|위악류]] 중에도 이런 신경배돌기를 가진 종이 있었다. 아예 [[플라티히스트릭스]] 같은 [[양서류]]에도 신경배돌기를 달고 있는 종이 있었다. 흥미로운 사실은, 디메트로돈이 살던 지역 주변에서 [[초식동물]]이 화석으로 발견된 비율이 디메트로돈보다 적다는 것이다. 물론 발견비율이라 [[왜곡]]될 수는 있겠지만, 학자들은 이 당시 육상 생태계가 상당히 원시적이었고 오히려 민물 생태 쪽에 다양한 동물들이 살았기 때문에 디메트로돈이 민물 [[상어]]나 양서류 등과 같은 수상 동물들을 잡아먹고 살지 않았을까 하고 추측한다. 근연종으로는 세코돈토사우루스와 [[스페나코돈]], [[크테노스폰딜루스]]가 있다. == 대중 매체 == [[파일:lost1960.jpg|width=500]] * 1960년에 개봉한 [[잃어버린 세계(영화)#s-3]]에 나왔지만, 제작진이 고증을 전혀 신경 안 쓰고 살아있는 '''[[악어]]에다가 돛을 붙여 놓은''' 것 뿐이다. 이외에도 이 영화에 나오는 공룡들은 악어나 [[도마뱀]]에다 장식을 붙여놓고 공룡이라고 우기는 허접한 특수효과로 악평이 많다. 이 영화 말고도 1940년에 나온 [[공룡 100만년]]과 1959년에 나온 마그마 탐험대도 현생 파충류에다 장식을 달아서 공룡이라고 내보냈다.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Fcfc_dimetrodon.jpg|width=500]] * [[다큐멘터리]]에서는 [[BBC]]의 [[공룡 이전의 생명체]]에서 등장. 극중에서는 에다포사우루스를 사냥하는 모습과 둥지를 놓고 두 암컷이 혈투를 벌이는 모습이 나온다. 한 가지 오류로 새끼 때부터 등에 신경배돌기가 있는 모습으로 나오는데 새끼 때는 신경배돌기가 없다가 자라면서 생겼을 가능성이 높은데, 사실 여기서 나오는 새끼의 모델은 성체의 모델을 그냥 축소시킨 버전이다. 이후 디메트로돈 한마리가 [[이노스트란케비아]]로 진화하는데, 순전히 연출일 뿐 같은 단궁류에도 디메트로돈이 속한 반룡류와 [[고르고놉스]]가 속한 수궁류는 별개의 계통이어서 실제 진화는 극 중 묘사처럼 진행되지 않는데다가 디메트로돈이 고르고놉스류의 조상이라는 증거는 없다. * [[쥬라기 월드: 더 게임]]에서도 전시 가능한 단궁류로 나온다. * [[쥬라기 월드: 도미니언]]에서는 모식종이 등장. 동굴 속에서 [[앨런 그랜트]], [[엘리 새틀러]], [[메이지 록우드]] 일행을 추격한다. 자세한 내용은 [[디메트로돈(쥬라기 월드 시리즈)]] 문서 참고. * [[폭룡전대 아바레인저]]에서 [[폭룡]] 디메트로돈이 등장한다. 등 뒤의 돛이 전기톱 마냥 돌아가는 칼날 역할을 하며 공격한다. *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에서는 운고로 분화구 지역에 테러닥스와 함께 서식하고 있다. * [[공룡시대]] 1편에서도 4족보행을 하는 [[칼이빨]]로 잠깐 나왔는데, 리틀풋이 칼이빨들 중 가장 분노에 휩싸인 칼이빨인 [[티라노사우루스]] 칼이빨을 피해 숨은 동굴에서 지나가면서 등장.[* 물론 실제 디메트로돈은 고생대의 동물이여서 중생대의 공룡과 공존하지 않았다. 이는 [[만화적 허용]]일 뿐이다.] * [[버스데이즈 - 시작의 날 -]]에서 등장한다. * [[ARK: Survival Evolved]]에서도 등장한다. 단 한국어 번역 한정으로 "디메트로'''노'''돈" 이라는 오역을 달고 나왔다. 중립적인 성향을 띄고 있으며, 길들이면 '[[에어컨]]' 역할을 한다. * [[https://youtu.be/DPjSI2S-wpo|디메트로돈을 주제로 한 노래]] * MCU의 영화 [[이터널즈(영화)|이터널즈]] 오프닝에 나온 처음 나온 [[데비안츠]]가 날개를 펼치기 전의 모습이 디메트로돈과 비슷하게 생겼다 . === 디메트로돈을 모티브로 한 캐릭터 === * [[꼬마공룡 딩크]]- 샤일러의 부모님[* 정작 샤일러는 [[에다포사우루스]]가 모티브다. 실제로 디메트로돈과 에다포사우루스는 과 단위에서 다른 종이다.] * [[다이노 코어]] - 디메트로돈(일반/메카 다이노), 디메트킹 * [[비스트 워즈 네오]] - [[슬링(BWN)|슬링]] * [[슈퍼전대 시리즈]] * [[폭룡전대 아바레인저]] - [[폭룡#폭룡 디메노코돈 / 다이노 디메트로사우루스|폭룡 디메노코돈]] * [[기사룡전대 류소우저]] - [[기사룡#s-3.1|디메볼케이노]] * [[조이드]] - 게이터, 디메트로돈[* 둘 다 돛을 레이더로 사용한다.], 디메펄서, 디메트로프테라 * [[화석 파이터]] - 디메론 * [[다이노트럭스]]-쏘우메트로돈 [[분류:스페나코돈아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