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공룡 게임]][[분류:온라인 게임]][[분류:2008년 게임]][[분류:2011년 서비스 종료]] [[파일:dow21.jpg]] [목차] == 개요 == [[토이탱크 3D]]를 제작 및 서비스, [[아크로레이스]]를 공동제작했던 넷돌에서 아케이드 게임 [[공룡왕]]을 라이센스 제작하고, [[엔트리브]]에서 서비스한 온라인 게임. '''공룡''' 온라인 게임이란 점에서 주목을 받은 적이 있었고 [[지스타]] 2007, 2008에 출품된 적이 있었다. == 특징 == [[가위바위보]]를 해서 이긴 쪽이 공격을 하는 것을 반복해서 먼저 체력이 0이 된 쪽이 패배하는 간단한 방식의 게임이다. 가위바위보만 계속 이길 수 있다면 1성 공룡으로 6성 공룡을 잡는 진풍경도 일어날 수 있다는 의미.[[https://cafe.naver.com/common/storyphoto/viewer.html?src=https%3A%2F%2Fcafeptthumb-phinf.pstatic.net%2Fdata38%2F2009%2F2%2F18%2F7%2Fdinomachia_2%25BF%25F9_7%25C0%25CF_21%25BD%25C3_24%25BA%25D0_6%25C3%25CA_junmin9805.jpg%3Ftype%3Dw1600|#.]] 따라서 심리전과 운이 크게 영향을 주는 게임이라 볼 수 있다. 가위바위보에서 비긴 경우는 [[스페이스바]]를 연타해서 연타한 횟수 만큼의 대미지를 주게 된다. 물론 아무리 죽어라 연타해도 일반 공격보다는 대미지가 약하지만 말이다. 주로 인지도가 높은 공룡들이 주를 이루었으나 주파이사우루스, 후쿠이랍토르, 바라파사우루스, 불카노돈, 아바케라톱스, 주니케라톱스, 아르시노이케라톱스, 디케라톱스 등 듣보잡 공룡들도 은근히 섞여 있었다. 전체적인 고증은 봐 줄 만 했다.[* 특히 마니랍토라속 공룡들의 깃털 묘사.] 고증오류는 공룡들 크기가 다 비슷비슷했다는 점. [[ 파일:디노마키아03.jpg|근데 이건 공격의 강도가 강도인지라 어쩔 수 없는 문제이다.]] 또, 스피노사우루스의 크기가 티라노사우루스나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보다 크기가 더 작게 묘사되었다. 메갈로사우루스의 길이도 12m로 과장되었다. 메가랍토르의 갈고리발톱이 뒷발톱이 아닌 앞발톱으로 밝혀졌기 때문에 알로사우루스상과로 분류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마니랍토라속 공룡에 속해 있다.[* 메가랍토르가 마니랍토라에서 제외된 것은 2005년이다.] 골격 문제로 벨로키랍토르같은 소형 공룡들은 등장하지 않는다. 또한 익룡[* 아예 안 나오는건 아니고 배경과 스킬로 등장한다.], 장경룡, 어룡 등의 타 고생물도 존재하지 않는다. 게다가 오역 또한 존재하는데, 이리타토르를 '''이리태이터'''로 번역한다던지, 토르보사우루스를 난데없이 '''톨보사우루스'''라고 번역한 탓에 듣보잡 공룡으로 오해하는 유저들도 있었다. == 역사 == 2007년 베타 테스트를 통해 공개되었고[* 당시 타이틀은 '공룡온라인 디노마키아'] 2008년 2월에 회원이전 및 2차 클로즈 베타 테스트, 8월 클린베타를 거쳐 11월 12일에 정식 서비스를 시작하였다,[* 이때부터 '슈퍼공룡대전 디노마키아'로 타이틀이 변경되었다.] 정식 서비스 당시에는 싱글, 서바이벌만 있었고 1캐릭터당 공룡이 16마리밖에 없었으나,[* 그 당시 최강으로 평가받던 공룡이 기가노토사우루스, 안킬로사우루스, 디케라톱스였다.] 12월쯤에 남극 대륙 맵과 팀전 모드가 추가되었고 무기, 스킨, 연승보상 시스템의 추가와 2009년 1월 8일부터 티라노사우루스, 스테고사우루스, 트리케라톱스 등 48종의 공룡이 추가되었다. 4월에는 고성공룡엑스포 참여로 엑스포 마스코트 '온고지신' 얼굴 바꾸기 스킨이 출시하였고 치명타/방어 갑옷,가죽, 무기류가 추가되었고 무한도전 시스템이 추가되었으며 공룡의 성능을 표시하는 power 라는 글자도[* 기존에는 power 자의 ower 위에 숫자가 뜨는 방식이었다.] p단위로 간소화되었다. 그러다 2009년 8월 대규모 업데이트를 진행했는데, 어두운 분위기였던 홈페이지 디자인, 타이틀 로고, 인트로 화면 등이 교체되었고 3계열로 분리되어 있었던 유저들의 캐릭터들을 모두 통합시켰으며, 사라진 캐릭터들은 경험치에 비례하여 캐시를 지급했다,게다가 처음에 시작할 때 선택할 수 있는 공룡도 1캐릭터당 1마리로 바뀌었고 그리고 게임 시점도 왼쪽으로 고정되었고, 공룡마다 스킬이 있는 시스템으로 바귀었고, t 스킬마저 없애버렸다. 그러나 뼈공룡 출시 이후 유저 수가 줄어들었고 업데이트, 이벤트도 2010년 이후에는 아예 끊겼고 결국 2년간 소수의 유저들로 연명해오다 2011년 서비스를 종료하였다. == 맵 == * 엘크혼 화산 * 루마니아 해변 * 중국 사천성 숲 * 사하라 습지 * 러쉬모어 산림 * 아프리카 카루분지 * 솔트레이크 건기 * 몽골의 불타는 절벽 * 파타고니아 초원 * 한국 고성 호수 * 남극 대륙[* 2008년 12월에 추가된 맵.] == 모드 == === 싱글 === [[파일:Dinokin.jpg]] 기본적인 1대 1 플레이 모드, t스킬은 최대 4개까지 사용이 가능하다. === 팀전 === [[파일:Dinote.jpg]] 2명의 팀끼리 승부를 겨루는 모드. t스킬은 1개까지 사용이 가능하고 팀과 체력을 공유한다.연승을 할 경우에는 팀과 끝까지 연승을 해야 연승이 유지되었다. === 서바이벌 === [[파일:Dinosv.jpg]] 3.4.5명의 플레이어들이 한 명만 살아남을 때까지 싸우는 개인전 모드. 서바이벌 모드 특성상 힐링 같은 특수 필살기는 사용이 불가능했고 가위바위보 게임 특성상 속칭 '''다굴''' 로 4명이 1명을 첫 턴 만에 탈락시키는 경우도 있다,[[https://cafe.naver.com/common/storyphoto/viewer.html?src=https%3A%2F%2Fcafeptthumb-phinf.pstatic.net%2Fdata38%2F2009%2F1%2F28%2F25%2F6b2cf62f_song_inuk.jpg%3Ftype%3Dw1600|#]] === 3디노 === [[파일:Dino207.jpg]] 2007년 베타 시절에 존재했었던 모드. 대략 1유저당 가위.바위.보 속성 캐릭터를 가지고 있어야 플레이가 가능했었다. 공룡당 체력을 따로 가지고 있었고 특이하게 공룡 3마리가 다같이 등장하고 승리 시에는 3마리가 포효를 하고 패배 시에는 3마리가 쓰러지게 된다. 2008년 초반 3차베타 까지 존재했었고 4차 베타 때 사라졌다. === 무한도전 === [[파일:디마데이노스.jpg]] 무한도전의 중간보스인 '데이노스'의 모습. [[파일:data00008892.jpg]] 무한도전의 최종보스인 '기가스'의 모습. 무한도전은 이 게임의 PVE 컨텐츠로, 원래라면 챕터가 계속 생길 것으로 보였으나, [[서비스 종료|지금으로선 볼 방법이 없어졌다.]] 무한도전은 그냥 스테이지를 계속 클리어해서 최종보스까지 쓰러뜨리면 끝인 간단한 모드이다. 입은 피해는 다음 스테이지로 가도 회복되지 않으며 대신에 중간중간에 체력을 약간 회복시켜주는 구간이 있다. 기본적으로 심리전 게임이라는 것을 감안했는지, 적 공룡이 하는 말을 힌트 삼아서 행동을 예측하는 것이 기본. 다만, 적이 처음으로 내는 것은 잡몹이건 최종보스건 간에 무조건 자신의 보너스 속성[* 수각류는 무조건 가위 타입, 각룡류는 무조건 보 타입에 보너스를 받는 것이 아니라, 공룡마다 각각 보너스를 받는 타입이 따로 있다. 예를 들어서 [[알베르토사우루스]]는 기본적으로 수각류라 가위 타입이지만 공격에 보너스를 받는 속성은 바위 타입이다.][* 참고로 중간보스인 데이노스는 가위, 최종보스인 기가스는 보가 보너스 타입이었다.]인 것을 내니까 처음에는 적이 뭐라고 하던 간에 흔들리지 말고 그냥 무시하면 된다. 적은 '남자라면 바위!' 같은 식으로 힌트를 줬는데, 초반에는 그냥 적이 하는 말을 그대로 믿고 해도 무방하기 때문에 심리전이고 뭐고 없다고 봐도 되지만, 중반부터는 [[페이크]]를 치기 시작하며, 제한시간이 끝나가기 직전에 힌트를 줘서 당황하게 하거나, 심지어 아예 힌트조차 안 되는 잡말을 하기까지 한다. 게다가 이 정도쯤 되면 적 공룡의 능력치도 어마어마해지기 때문에 자신이 6성 공룡이라도 가지고 있지 않는 이상 능력치빨로 밀어붙이기도 힘들었었다.[* 다만 1성 기본공룡으로도 최종 스테이지까지 가는 것도 꽤 쉬웠다.] == 캐릭터 == [[파일:디노마키아_카이.jpg]] *카이 [[파일:디노마키아_바우.jpg]] *바우 [[파일:디노마키아_보미.jpg]] *보미 == 등장 공룡 == 알뽑기에서 '''뽑을 수 있는''' 공룡은 '''굵은 글씨'''로 표기한다. === 가위 공룡 === 이 게임에서는 [[수각류]]를 이빨 공룡에 포함시켰다. 아쉽게도 갈리미무스 같은 타조형 공룡들과 테리지노사우루스 무리는 나오지 못했다. ==== 1성 ==== * '''[[알리오라무스]]''' * [[모놀로포사우루스]][* 처음 선택할 수 있는 3마리 공룡 중 하나이다.] * '''[[마시아카사우루스]]''' * '''[[주파이사우루스]]''' ==== 2성 ==== * [[프로케라토사우루스]] * '''유타랩터'''([[유타랍토르]]) * 크리욜로포사우루스([[크리올로포사우루스]]) * '''[[후쿠이랍토르]]''' * [[케라토사우루스]] * '''인도스쿠스'''([[인도수쿠스]]) ==== 3성 ==== * '''이리태이터'''([[이리타토르]]) * 메가랩터([[메가랍토르]]) * [[바리오닉스]] * '''[[양추아노사우루스]]''' * '''네오베나터'''([[네오베나토르]]) * [[딜로포사우루스]] ==== 4성 ==== * '''스코미무스'''([[수코미무스]]) * '''[[알티스피낙스]]''' * [[알베르토사우루스]] * '''[[다스플레토사우루스]]''' * [[카르노타우루스]] * 마준가톨루스([[마준가사우루스]]) ==== 5성 ==== * '''[[스피노사우루스]]''' * [[알로사우루스]] * [[토르보사우루스]] * [[아크로칸토사우루스]] * '''[[메갈로사우루스]]''' * '''[[라자사우루스]]''' ==== 6성 ==== *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 * [[기가노토사우루스]] * '''[[타르보사우루스]]''' * '''[[티라노사우루스]]'''[* 빨간색 6성 공룡으로, 이빨공룡 중 가장 강하다.] === 바위 공룡 === 이 게임에서는 [[이구아노돈]]티드에 속하는 공룡, [[용각류]], [[검룡류]], [[곡룡류]]를 꼬리 공룡에 포함시켰다. ==== 1성 ==== * '''[[스켈리도사우루스]]''' * 가르고일레오사우루스[* 처음 선택할 수 있는 3마리 공룡 중 하나이다.] * '''[[다켄트루루스]]''' * '''루펭고사우루스'''([[루펜고사우루스]]) ==== 2성 ==== * '''[[후아양고사우루스]]''' * [[폴라칸투스]] * '''[[켄트로사우루스(검룡)]]''' * [[불카노돈]] * [[렉소비사우루스]] * '''아칸토폴리스''' ==== 3성 ==== * '''[[파노플로사우루스]]''' * '''리오자사우루스'''([[리오하사우루스]]) * '''탈라룰루스'''([[탈라루루스]]) * [[사이카니아]] * [[에드몬토니아]] * [[노도사우루스]] ==== 4성 ==== * [[사우로펠타]] * [[오우라노사우루스]] * [[투오지앙고사우루스]] * '''[[살타사우루스]]''' * '''우에르호사우루스'''([[우에로사우루스]]) * '''유오플로케팔루스'''([[에우오플로케팔루스]]) ==== 5성 ==== * [[바라파사우루스]] * [[슈노사우루스]] * [[아마르가사우루스]] * '''[[카마라사우루스]]''' * '''[[타르키아]]''' * '''슈부티사우루스'''(추부티사우루스) ==== 6성 ==== * [[파랄리티탄]] * [[안킬로사우루스]] * '''아르헨티노사우루스'''([[아르겐티노사우루스]]) * '''[[스테고사우루스]]'''[* 빨간색 6성 공룡으로, 꼬리 공룡 중 가장 강하다.] === 보 공룡 === 이 게임에서는 이구아노돈티드를 제외한 [[조각류]], [[각룡류]], [[후두류]]가 뿔 공룡에 포함된다. ==== 1성 ==== * [[주니케라톱스]][* 처음 선택할 수 있는 3마리 공룡 중 하나이다.] * '''브라키케라톱스''' * '''[[아바케라톱스]]''' * '''[[몬타노케라톱스]]''' ==== 2성 ==== * [[카스모사우루스]] * [[아켈로우사우루스]] * [[파키리노사우루스]] * '''[[에이니오사우루스]]''' * '''[[안키케라톱스]]''' * '''[[호말로케팔레]]''' ==== 3성 ==== * [[스티라코사우루스]] * [[람베오사우루스]] * [[드라코렉스]] * '''센트로사우루스'''([[켄트로사우루스(각룡)]]) * '''[[무타부라사우루스]]''' * '''[[스티기몰로크]]''' ==== 4성 ==== * [[파키케팔로사우루스]] * [[히파크로사우루스]] * [[파라사우롤로푸스]] * '''[[모노클로니우스]]''' * '''[[마이아사우라]]''' * '''야하르토사우루스'''([[작샤르토사우루스]]) ==== 5성 ==== * 아르리노케라톱스([[아르히노케라톱스]]) * [[사우롤로푸스]] * [[친타오사우루스]] * '''[[코리토사우루스]]''' * '''[[펜타케라톱스]]''' * '''[[토로사우루스]]''' ==== 6성 ==== * 샤르노사우루스([[카로노사우루스]]) * 디케라톱스([[네도케라톱스]]) * '''[[올로로티탄]]''' * '''[[트리케라톱스]]'''[* 빨간색 6성 공룡으로, 뿔 공룡 중 가장 강력하다.] == 필살기 == 이하 기술들은 공룡왕에서 스킬 이름을 바꾼 것들이다. 다만 액션이 꽤 과장되어 있어서 공룡은 둘째치고 사람이 하기에도 벅찰 지경인 비현실적인 공격이 대다수이다. 시전시 나레이션이 기술 명을 외치는 것이 특징.[* 나레이션 성우는 [[전광주]]가 맡았다.] === 가위 === * 쉐이크 빅 슈플렉스 * 디노 러쉬 * 런닝 파워 슬램 * 시소밤 * 백 브레이커 * 디노 파워밤 * 디노 쵸크슬램 * 페이스 브레이커 * 에어 쵸크 슬램 === 바위 === * 빅 테일 스매쉬 * 콤보 테일 * 더블 스피어 * 테일 락 * 스크류 스피어 * 스피닝 킥 * 롤링 백 스플래쉬 * 파워 스피어 === 보 === * 에어 슬램 * 디노 스피어 * 피스톤 히팅 스로우 * 디노 스윙 * 플라잉 스피어 * 멀티플 슈플렉스 * 플라잉 파일 드라이버 * 스크류 드라이버 === T스킬 === 스킬 외의 보조 스킬. 2009년 8월 업데이트 이후 전부 사라졌다. * 카운트 블로우[* 공룡왕과 베타테스터 시절에는 '''워치 유어 백'''이었다.] 공격 후 작은 파키케팔로사우루스를 소환해 공격한다. * 힐 링 * 파워 다운[* 공룡왕과 베타테스터 시절에는 '''브레이크 더 피니쉬''' 이었다.] 독도마뱀 3마리를 소환해 공격력을 차감한다. * 다이하드 체력이 부족한 상태에서 시조새를 소환한 뒤 공격당하면 체력을 1로 만드는 스킬. * 태그매치 공격 후 자신의 분신을 소환해 공격하는 스킬. * 아웃 오브 컨트롤 * 디펜스 헬퍼 공격 후 스테고케라스 3마리를 소환해 자신이 공격당할 시 상대를 공격한다. == 아이템 == * 일격필살 자신의 공격력을 모두 끌어올려 데미지를 먹일 수 있는 아이템. 사용후 기술을 발동시 무지막지한 데미지가 들어간다. * 전적초기화 * 컬러닉네임(빨강) * 오토레디 * 강퇴반사 * 슈퍼방장 * 얼굴바꾸기(뿔공룡) * 얼굴바꾸기(갑옷공룡) * 얼굴바꾸기(목긴공룡) == 장식류 == 치명타나 방어가 있는 장식류는 각각 (c).(d)로 표기한다. *은 착용 등급으로 표기. === 가위계열 === ==== 스킨 ==== * 야생의 질긴 가죽 *~****** * 별난 별자리 가죽 **~****** * 두꺼운 암흑 갑옷 **~****** * 광전사의 화염 갑옷 ***~****** * 바람 무늬 골렘 갑옷 ****~****** * 용맹스런 전사 갑옷 *****~****** ==== 이빨 ==== === 바위 계열 === ==== 스킨 ==== ==== 꼬리장식 ==== === 보 계열 === ==== 스킨 ==== ==== 뿔 ==== == 서비스 종료 == 초기에는 TV 광고도 하고, 경남 공룡 엑스포 이벤트도 했고, 업데이트도 그럭저럭 자주 했는데 언제부터인가 업데이트를 하지 않게 되고 그대로 유저들을 상대로 방치플레이를 하게 된다. 당연히 유저들은 떠나기 시작했고 나중에는 들어갈 수 있는 방이 있으면 다행일 수준으로 유저가 없어지게 된다. 그리고 2011년 12월 30일 서비스 종료를 하게 되었다. 게임이 3년 정도 서비스를 했는데 '''1년 반짝하고 나머지는 전부 공백'''이었다.(...) == 기타 == * 강퇴반사과 슈퍼방장이라는 심히 초딩스러운 아이템도 있었다. 강퇴반사는 방장의 강퇴를 반사하고, 슈퍼방장은 강퇴반사를 반사한다. [[http://m.humoruniv.com/board/read.html?table=pds&number=487300|강퇴반사, 슈퍼방장.]] 참고로 저 링크에서는 넥슨 게임이라 써있는데 '''디노마키아는 엔트리브 게임이다.'''[* 하지만 [[크레이지 아케이드]]의 슈퍼반장은 과반수 투표를 하지 않고 강퇴하는 아이템이라는 차이가 있다.] * 2009 고성 세계공룡엑스포 때에는 교육용 게임으로 나왔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