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이탈리아의 없어진 자동차 브랜드)] ---- ||<-2>
'''{{{#FFFFFF {{{+3 Dino}}}}}}''' [br] {{{#FFFFFF 디노}}} || ||<-2><:> [[파일:dino cars logo.jpg|width=170px]] || ||<:> '''{{{#FFFFFF 정식 명칭}}}''' ||dino || ||<:> '''{{{#FFFFFF 한국어 정식 명칭}}}''' ||디노 || ||<:> '''{{{#FFFFFF 설립일}}}''' ||[[1957년]] || ||<:> '''{{{#FFFFFF 해체}}}''' ||[[1976년]] || ||<:> '''{{{#FFFFFF 소재지}}}''' ||[include(틀:국기, 국명=이탈리아)] || ||<:> '''{{{#FFFFFF 업종}}}''' ||자동차 제조업 || ||<:> '''{{{#FFFFFF 모기업}}}''' ||[[페라리]] || [목차] [clearfix] == 개요 == 1960년대 이후 [[페라리]]에서 만든 6기통 스포츠카 전용 브랜드.[* 모든 모델이 6기통이었던 것은 아니다. 8기통 모델도 존재한다.] 이름의 기원은 창업주 [[엔초 페라리]]의 아들인 알프레도 디노 페라리의 별명이다. 병으로 일찍 죽은 그를 기억하기 위해 아버지 엔초는 [[페라리]]의 모든 6기통 모델에 아들의 별명인 디노라는 이름을 붙이고 디노 디비전 산하로 판매했다. 1950~60년대 페라리는 오직 V12, V8 엔진을 탑재한 모델 밖에 없었고[* 이마저도 V8엔진은 레이싱 모델에만 있었고 양산차에는 없었다.] 때문에 6기통 엔진을 장착한 [[포르쉐]]에 비해 가격 경쟁력이 떨어졌다. 따라서 페라리에도 6기통 모델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하지만 6기통 모델이 [[페라리]]의 고성능 이미지의 하락을 불러올것이라 예상한 [[엔초 페라리]]는 6기통 모델 개발을 별로 내켜하지 않았다. 결국 엔초는 세르히오 피닌파리나에게 1965년 파리 모터쇼에 출품할 미드엔진 컨셉을 디자인하길 요구했다. 하지만 페라리 이름이 아닌 디노라는 별도의 디비전으로 출시하기로 했다. 단종 후 오랜 시간이 지난 2010년대에 엔트리 스포츠카 시장이 커지자, 페라리 측에서는 디노의 부활을 진지하게 논의하기 시작했고, 비록 디노라는 이름은 붙지 않았지만 [[페라리 296 GTB|그 결과물]]이 2021년에 등장하게 되었다. == 생산 차량 == [include(틀:디노의 차량)] * [[디노 206|206 / 246]] * [[디노 308|308 / 208]] == 둘러보기 == [[분류:이탈리아의 없어진 자동차 제조사]][[분류:페라리]][[분류:1957년 설립]][[분류:1976년 해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