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서울특별시]] --[[강서구(서울특별시)|강서구]] [[등촌동]]-- [[양천구]] [[목동(서울)|목3동]]에 위치한 [[재래시장|전통시장]]이다. 공식명칭은 '''목동깨비시장'''[* 골목형시장 육성사업에 선정되면서 변경된 이름으로, 변경 전 이름은 '''목3동시장'''이다.[[http://ycnews.kr/sub_read.html?uid=9352§ion=sc34|관련 기사]]]이나, '''등촌시장'''[* 역사가 오래된 명칭으로,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3874580|1994년 11월자 연합뉴스 기사]]에도 '''양천구 목동 등촌시장'''이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이라는 이름으로 더 유명하여 지역주민들 또한 지금까지 여전히 이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 이 시장 내에 위치한 프랜차이즈 점포 상당수가 "등촌시장점"이라는 이름을 사용한다,심지어 2017년 새로 오픈한 백종원 홍콩반점도 등촌시장점을 사용한다] 목3동에 소재한 시장이 등촌시장이라고 불리는 연유는, 과거 이 지역이 취락이 형성되지 않은 농경지였다는 데에 있다. 그러던 이 지역에 1971년 [[국군수도병원]][* 현재의 등촌2동 주민센터 북쪽에 자리하고 있었으며, 1999년 국군수도병원이 [[경기도]] [[성남시]]로 이전하면서 그 자리에 등촌 아이파크 아파트 단지가 건설되었다.]이 이전하고 개발이 본격화되면서, 새롭게 생겨난 주거지와 상권에 근방에서 가장 가까운 마을이자 '''등촌동'''의 어원이기도 한 [[http://www.gangseo.seoul.kr/site/dong/app/c1/page4.jsp?dcode=DC3|등마루촌]]의 이름이 공유되어[* 현재도 염창동에 소재한 '''등마루 아파트'''(1971년 준공)와 목3동에 소재한 '''등마루교회'''(1974년 창립) 등에서, '''등마루'''라는 이름을 이 지역이 공유하고 있었던 때의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시장에도 붙었고, 훗날 등마루가 등촌이라는 이름으로 바뀌어 불리게 되면서 시장의 명칭 또한 자연스럽게 등촌시장으로 변화했다고 볼 수 있다. 시장은 등촌로 변에 위치한 구[[제일]]은행 건물에서 시작해, 동쪽으로 목동중앙북로를 따라 약 300m, 다시 북쪽으로 목동중앙북로7길을 따라 약 150m 가량 이어지는 길이 중심축이 된다. 중심축에 해당하는 도로에는 농수산물, 생활잡화, 패션잡화 및 의류, 먹거리를 취급하는 점포가 주로 있다. 중심축을 벗어나면 남쪽으로는 포목점이, 북쪽으로는 음식점과 주점이 주로 위치한다. 시장과 가까운 공항대로 변에는 가구점이 다수 있어 '''등촌동 가구거리'''[* 이곳 역시 정확한 행정구역은 양천구 목3동이다.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control_no=cac59e3312ce30b6&p_mat_type=be54d9b8bc7cdb09|관련 논문]](p.83)에서도 그 사실을 찾아볼 수 있다.]라는 이름으로 불렸고, 현재는 다소 쇠락하였으나 여전히 몇몇 오래된 가구점이 남아 있다. 시장 주변은 전형적인 주택가로, 주택과 빌라가 빼곡히 들어찬 가운데 중소형 아파트 단지가 분포해 있다. 때문에 화곡시장이나 [[영등포시장]]과는 달리 실생활에 필요한 품목들로 상권이 형성되어 있다. ~~과일가게는 5개나 있다~~ ~~리얼 [[원미동 사람들]][* [[등촌역]]에서 [[서울 버스 606|606번]] 버스를 타면 원미동으로 갈 수 있다!!!]~~ 생활수요를 중심으로 하는 재래시장으로는 서울에 몇 안남은 사례. 상권은 비교적 활성화되어 있는데, 이는 시장의 입지가 주요 대형마트와 다소 떨어져 있고, 인접한 주거밀집지역인 [[강서구(서울특별시)|강서구]] 염창동, 등촌1동 및 등촌2동에 전통시장이 발전하지 못했기 때문에 이 지역 상권을 흡수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폭 9m 이하의 좁은 길을 따라 이어지는 일반적인 전통시장과는 달리, 등촌시장의 주 도로인 목동중앙북로는 양방향 차량통행이 가능한 폭 12m다. 다만 저녁시간대나 주말 휴일에는 유동인구가 많고 좌판상인도 많기 때문에, 내비게이션이 이 길을 안내하더라도 반드시 돌아갈 것.[* 저녁시간대에는 마을버스가 인파를 헤집고 시장길을 지나는 모습을 매일 볼 수 있다. (심지어 살짝 오르막이다!) 어떻게 지금까지 사고 한 번 안나고 운행해왔는지 신기할 정도.] 단, 시장 한복판에 선채로 몇분을 밍기적거리고 싶다면 진입해도 좋다. 시장의 이미지를 부각시키기 위해 점포마다 도깨비 모양의 조명이 달려 있으며, 시장입구에는 도깨비 캐릭터를 이용한 포토존이 설치되어 있다. 이 포토존에는 자신의 손을 넣고 거짓말을 하면 경보가 울리는 '''깨비 진실의 입'''이라는 이름의 재미있는 장치가 되어 있다. 시장 중앙에는 고객지원센터가 위치하고 있으며, 공동화장실이 위치함과 더불어 대형마트에서나 볼 수 있는 배송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2017년 3월 기준으로 배송비는 1km 이내는 1,000원, 그 이상의 거리는 2,000원이다. [[https://ko-kr.facebook.com/mok3dongmarket/|페이스북 페이지]]와 [[https://blog.naver.com/mokmsg3238/220936062651|네이버 블로그]]를 운영 중이며,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kr.webadsky.app.kkebimarket&hl=ko|안드로이드 앱]]도 개발되어 있다. == 찾아오는 길 == 9호선 '''[[등촌역]]'''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다. 4번 출구로 나와 정면에 보이는 [[배스킨라빈스]] 매장에서 시작하는 목동중앙북로 7길에서부터 시장이 시작된다. 6번 출구로 나올 경우에는 도보로 130m 정도 이동하여 공항할인마트(구 [[SC제일은행]])를 찾으면 쉽게 시장길로 들어설 수 있다. [[서울특별시 시내버스|시내버스]]로 접근할 경우에는 중앙차로 버스정류장인 '''등촌역.강서보건소'''에서 하차하면 편리하다.[* [[김포 버스 60]], [[김포 버스 60-3]], [[부천 버스 70-2]], [[부천 버스 70-3]], [[김포 버스 88]], [[서울 버스 601]], [[서울 버스 602]], [[서울 버스 604]], [[서울 버스 605]], [[서울 버스 606]], [[서울 버스 661]], [[서울 버스 5616]], [[서울 버스 5712]], [[서울 버스 6514]], [[서울 버스 6623]], [[서울 버스 6632]], [[서울 버스 6714]], [[서울 버스 6716]], [[김포 버스 8000]]이 정차한다.] 단, 목동 방면에서 접근할 때는 '''등촌역6번출구.목동깨비시장'''에서 하차한다.[* 서울 버스 602, [[서울 버스 650]], [[서울 버스 654]], 서울 버스 5616, 서울 버스 6623, [[서울 버스 6629]], 서울 버스 6714, [[서울 버스 6715]], 서울 버스 6716이 정차한다.] [[마을버스]]로는 [[서울 버스 양천01]]과 [[서울 버스 양천02]]가 시장길 일부를 가로지르며, 양동중학교 방면에서 목동중앙북로7길로 우회전하는 지점에 시장과 가장 가까운 정류장이 있다. 정류장에 표지판은 따로 없으나, 시장을 이용하기 위해 승하차 승객들이 많아 찾는 것은 어렵지 않다. == 주변 시설 == 등촌시장의 시작을 알리는 스탠다드차타드은행과 끝에서 더 가면 [[양동중학교(서울)|양동중학교]]가 있다. 양동중학교로 올라가는 언덕 너머에는 [[염창역]] 인근의 양천구목2동시장이 있으나 상권의 규모와 다양성에서는 등촌시장에 미치지 못하며, 때문에 목2동 주민들 또한 등촌시장을 이용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이미 목2동 시장은 2010년대 이후부터 침체기에 들어서며, 2020년인 현재에는 시장이라기보다는 식당이 늘어선 먹자골목이 되어있다. 일부 점포가 남아있지만 사실상 시장으로서의 생명은 없어진 셈] [[분류:서울특별시의 재래시장]]